[[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일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MysticalElf-JP-Manga-DM-color.png|width=300]] || 한글판 명칭 ||<-4>'''홀리 엘프'''|| || 일어판 명칭 ||<-4>'''ホーリー・エルフ'''|| || 영어판 명칭 ||<-4>'''Mystical Elf'''||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빛 || 마법사족[* 왜 요정족으로 하지 않았는지 의문이다.] || 800 || 2000 || 원작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몬스터 중 하나. 의외로 등장 역사가 매우 긴 카드로, [[카이바 세토]]와 최초의 대결(애니판에서는 [[유희왕(TVA)|토에이판]] 한정)에서부터 등장했다. 즉 [[블랙 매지션 걸]]보다도 먼저 쓰인 최초의 미소녀 카드다.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YGO-010_Headhunting.png]] 이때는 2000이란 높은 수비력으로 벽 몬스터의 기능을 해줬지만, 카이바가 [[미노타우로스(유희왕)|미노타우로스]]에 [[거대화(유희왕)|거대화]]를 장착시키는 바람에 결국 파괴된다. 이 때 유우기가 전에 소환했던 다른 몬스터들과 마찬가지로 미노타우로스의 도끼에 의해 '''[[참수|목이 뎅겅 날아가버리는]]''' 것으로 연출된다. || [[파일:EFTdXkgU4AAWtIh.jpg|width=100%]] || || [[푸른 눈의 백룡]]과의 합동 공격 '[[홀리 엘프-홀리 버스트 스트림|홀리 버스트 스트림(ホーリー・バーストストリー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 더빙판에서는 '멸망을 부르는 [[폴리우레탄|홀리 우레탄]]'.]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는 '''자신의 공격력을 다른 몬스터에게 옮겨줄 수 있는 특수 능력'''을 발휘하여 [[어둠의 유우기]]가 [[죽은 자의 소생]]으로 부활시킨 [[푸른 눈의 백룡]]을 강화시켜 [[플레이어 킬러|짝퉁 카이바]]의 백룡을 관광보내고 승리한다. OCG에도 이 효과가 적용되어 효과 몬스터로 나왔으면 꽤 쓰였을 만한 카드.[* ①: 이 카드가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할 때, 이 카드의 공격력을 0으로 하고 자신의 필드 위의 몬스터의 공격력을 이 카드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마법사족은 상급 몬스터라도 공격력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몬스터들이 공격력 3000을 넘지 못한다.] 또한 준결승전에서는 [[여자]]라서 [[쿠자크 마이]]가 사용한 [[유혹의 섀도우]]를 무시하는 활약을 하기도.[* ②: 이 카드는 상대 카드의 효과로 인해 공격 선언을 할 수 없다.] || [[파일:mary.png|width=100%]] || [[파일:tumblr_onctvqlvrU1u76hl0o1_640.jpg|width=100%]] || || 메리 공주 || 본 모습 || >'''"부탁해! 메리 공주! 홀리 엘프!"''' >---- >[[유희왕 듀얼링크스]], [[모크바(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의 전용 대사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듀얼 퀘스트 편에서는 [[카이바 모쿠바]]와 쏙 빼닮은 '메리'라는 공주[* 성우는 [[센다이 에리]]/[[차명화(성우)|차명화]].]의 본래 모습으로 등장했다. 그 영향인지 모크바의 전용 대사가 존재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오오오카 치쿠젠]]이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벽으로 꺼내두었다가 나중에 [[카오스 위저드]]의 융합 소재로 사용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왕의 기억 편|왕의 기억 편]]에서는 [[파라오와 여섯 신관|아이시스]]가 소환한 정령으로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스컬 비숍]]이 [[오스틴 오브라이언]]과의 듀얼에서 [[마도 잡화상인]]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등장했으며, 시리즈 최종 듀얼인 유우기vs[[유우키 쥬다이]] 전에서는 [[무토우 유우기]]가 첫 턴에 소환한 뒤 [[디멘션 매직]]의 코스트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왔다. === 반다이판 === [[파일:MysticalElf-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홀리 엘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ホーリー・エルフ'''|| || 영어판 명칭 ||<-4>'''Mystical Elf'''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백마족 || 800 || 2500 || ||<-4>방어의 주문으로 맹공을 버틴다!|| ||<-4>'''~룰 ⑦~'''[br]전투 종료 후, 카드뭉치에서 카드를 1장 뽑아, 패에 넣는다.|| 배색이 [[유희왕(TVA)|토에이판 유희왕]]에서 등장한 모습에 맞춰 사람처럼 흰 피부에 녹색 머리인 것이 특징이다. === 컬렉터즈 카드 === [[파일:MysticalElf-G1-JP-HFR.jpg]] || 한글판 명칭 ||<-4>'''홀리 엘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ホーリーエルフ'''|| || 영어판 명칭 ||<-4>'''Mystical Elf'''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3> 몬스터 || || 레벨 || 공격력 || 수비력 || || 4 || 800 || 20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MysticalElf-DM2-JP-VG.png|width=100%]] || [[파일:MysticalElf-DM3-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 한글판 명칭 ||<-4>'''홀리 엘프'''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ホーリー・エルフ'''|| || 영어판 명칭 ||<-4>'''Mystical Elf'''|| ||<-5> 일반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DM2]])}}}[br]효과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DM3]]~[[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6.] || 백마족 || 마법사족 || 800 || 2000 || ||<-5>가냘픈 엘프지만 성스러운 힘으로 몸을 지켜내며 수비력이 매우 높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DM2]])}}}|| ||<-5>성스러운 기도로 아군의 푸른 눈의 백룡을 파워업.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DM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5>자신 필드의 푸른 눈의 백룡을 파워압시키는 효과.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DM1에서부터 등장. 공격력 800 미만의 [[엘프(유희왕)|엘프]] 몬스터와 천사족 몬스터를 융합시켜 소환할 수도 있다. 능력치상 기본적으로는 벽 역할 밖에 못하니, [[엘프(유희왕)#댄싱 엘프|댄싱 엘프]]나 [[엘프(유희왕)#윙 에그 엘프|윙 에그 엘프]] 등 융합 소재가 갖춰지는 경우라 해도 오히려 어태커로 쓰기에 더 나은 [[발키리(유희왕)|발키리]]를 꺼내는 데 방해만 되는 경우가 허다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부터는 원작 [[듀얼리스트 킹덤]]에서의 활약을 반영했는지 자신 필드의 [[푸른 눈의 백룡]]의 공격력 / 수비력을 500 포인트 강화하는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가 되었다. 다만 효과 발동 후에는 자신도 공격 표시로 필드에 남아버리니 쓰기 좋은 편은 아니다. 더구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상급 몬스터가 되어버린 것은 물론, 이 카드는 유우기 덱 버전에서밖에 사용할 수 없는 것에 반해 [[푸른 눈의 백룡]]은 카이바 덱에서밖에 투입할 수 없게 되어있다. 카이바 덱 버전에서 융합으로 만들어내는 방법은 있지만 융합한 몬스터는 효과를 써먹지 못하므로, 패 융합으로 만들어내고 나서 제물을 확보할 필요가 생긴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아군의 모든 빛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을 800 상승시키는 리버스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온다. 자신도 강화 대상에 포함되는데다, 이 게임에서는 리버스 효과가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하므로 레벨 4에 실질적으로 수비력 2800이나 하는 괴물딱지가 된다. 여러 장 있으면 그만큼 강화 수치도 비례해서 올라가니 융합이나 [[어둠의 엄습]] 등을 써먹어주면 공격력이 4000을 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또한 해당 게임에서는 [[로가디언]]의 필수 제물로 필요한 카드로 지정되어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card100017080_1.jpg|width=100%]] || [[파일:홀리싴엘프.png|width=98%]]||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MysticalElf-JP-Manga-DM-NC.png]]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권의 57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홀리 엘프, 일어판 명칭=ホーリー・エルフ, 영어판 명칭=Mystical Elf,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2000, 효과외1=가냘픈 엘프지만 성스러운 힘으로 몸을 지켜내며 수비력이 매우 높다.)] 수비력이 높다는 플레이버 텍스트에 맞게 바로 통상 소환이 가능한 하급 몬스터이면서 수비력이 2000이나 되기 때문에 옛날에는 [[암석 거인]]과 함께 벽 몬스터로 많이 쓰였다. 종족을 제외하면 [[하프의 정령]]과 능력치가 일치한다. 본래 홀리 엘프의 최고 레어도는 [[슈퍼 레어]]였으나 한국에서 진행한 유희왕 1만종 돌파 기념 캠페인을 통해 전세계 최초로 시크릿 레어 사양의 홀리 엘프가 등장하였다. 해당 카드는 이벤트에 참여한 사람들 중 추첨을 통해 단 100장만 배포하는데, 그 귀하다는 호르아크티조차 10000장이 배포되었음을 생각하면 100장만 배포되는 홀리 엘프 시크릿의 가치는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기대되어 가격에 거품이 꼈으나 지금은 가격을 내려도 팔리지 않는 애물단지로 전락하였다. 애초에 높은 레어도에 적은 수량으로 풀렸다고 해도 큰 상징성은 없는 홀리 엘프가 넘사벽 상징성을 지닌 호르아크티를 넘어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었으나 해당 카드에 당첨된 유저들의 농간에 가격 거품이 심하게 꼈고 그 결과 고점에 물린 사람들이 속출하였다. 2020년 9월 22일 1만종 돌파 캠페인의 당첨자가 [[보드게임 갤러리]]에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oardgame&no=2522694|홀리 엘프 시크릿의 실물]]을 인증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볼륨(유희왕)|Vol.2]] || 없음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스타터 박스|EX STARTER BOX]] || 없음 || [[노멀]] || 일본 || 절판 || || 幻の召喚神-PHANTOM GOD- || PG-01 || [[슈퍼 레어]]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박스|EX-R STARTER BOX]] || EX-01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2 || DL2-043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遊戯編- Volume.2]] || SY2-006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 BE1-JP120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第7期)]] || BE01-JP103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3|スターターデッキ(2013)]] || ST13-JP004 || [[노멀]] || 일본 || 절판 || || [[결투왕의 기억|決闘王の記憶-決闘者の王国編-]] || 15AY-JPA14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4|スターターデッキ(2014)]] || ST14-JP008 || [[노멀]] || 일본 || 절판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デュエリストエントリーデッキVS]] || VS15-JPS02 || [[노멀]] || 일본 || || || 第3回Yu-Gi-Oh! UNITED DUEL TOURNAMENT || SBPR-JP007 || [[시크릿 레어|시크릿 레어 BLUE Ver.]] || 일본 || 절판 ||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 LOB-EN062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 SDY-001 || [[노멀]] || 미국 || 절판 ||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Evolution]] || SYE-002 || [[노멀]] || 미국 || 절판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 DB1-EN120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 LCYW-EN005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 2013|Super Starter: V for Victory]] || YS13-EN004 || [[노멀]] || 미국 || 절판 || || [[스타터 덱 2014|Super Starter: Space-Time Showdown]] || YS14-EN008 || [[노멀]] || 미국 || 절판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Saber Force Starter Deck]] || YS15-ENF02 || [[노멀]] || 미국 || 절판 || || [[결투왕의 기억|Yugi's Legendary Decks]] || YGLD-ENA14 || [[노멀]] || 미국 || || || Speed Duel: Attack from the Deep || SBAD-EN003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 SDY-K00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 LOB-K06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에볼루션]] || SYE-KR002 || [[노멀]] || 한국 ||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 BP1-KR120 || [[노멀]] || 한국 || 절판 || || [[스타터 덱 2013]] || ST13-KR004 || [[노멀]] || 한국 || 절판 || || [[스타터 덱 2014]] || ST14-KR008 || [[노멀]] || 한국 || 절판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세이버 포스]] || VS15-KRS02 || [[노멀]] || 한국 || || || [[결투왕의 기억|결투왕의 기억 - 듀얼리스트 킹덤 편 - 스페셜 세트]] || 15AY-KRA14 || [[노멀]] || 한국 || || || 10000종 돌파기념 이벤트 카드 || TTPR-KR001 || [[시크릿 레어]] || 한국 || 100장 한정 배포[br]절판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홀리 엘프(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카오스 위저드]] === 홀리 엘프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 [[다크 엘프(유희왕)|다크 엘프]] === === [[홀리 엘프-홀리 버스트 스트림]] === === [[홀리 엘프의 축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