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47013 0%, #047013 20%, #047013 80%, #047013)" '''{{{#fff 대한민국 1,2,4,5대 국회의원}}}[br]{{{#fff {{{+1 홍길선}}}[br]洪吉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rokps.or.kr/130.jpg|width=100%]]}}} || ||<|2> '''출생''' ||[[1904년]] [[7월 1일]] || ||[[경기도]] [[수원시]] || || '''사망''' ||[[1980년]] || || '''본관''' ||[[남양 홍씨]]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1904년 [[경기도]] [[수원시|수원군]]에서 태어났다. 삼일학교, [[경성부]] [[배재학당|배재고보]], [[일본]] [[도쿄]] 무사시노 음악학교를 졸업하였다. 1929년 수원양조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사장]]을 맡았다. 그리고 수원금융조합 조합장, 수원양조주식회사 사장, 수원주조조합 이사장, [[동아일보]] 수원지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8.15 광복]] 후, 수원상공회의소 제2대~제3대 회장, [[대동청년단]] 수원지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동청년단 후보로 경기도 수원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49년 민보단을 통합한 [[대한청년단]] 수원군단부 단장을 지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기도 수원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4년 초 민주국민당을 탈당하고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후보등록을 하였다가 사퇴했다. 1955년 [[민주당(1955년)|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이후 민주당에서 구파에 속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에서 경기도당 위원장, 중앙당무위원, 정책위원 등을 지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당 구파동지회에 가입하였다가, 12월 [[신민당(1960년)|신민당]]창당에 참여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경기도 수원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병희(1926)|이병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민당(1967년)|신민당]]에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제6대 국회의원]]을 지냈던 [[김두한]]에 밀렸다. 1972년 [[제헌동지회]] 의원들과 [[10월 유신]] 지지를 선언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경기도)] [[분류:1904년 출생]][[분류:수원시 출신 인물]][[분류:남양 홍씨(당홍)]][[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대동청년단 국회의원]][[분류:민주국민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0년) 국회의원]][[분류:1980년 사망]][[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