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롯데 자이언츠/투수)] ||
'''{{{#fff 홍민기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96번}}}''' || || [[윤여훈]][br](2015~2019) || {{{+1 →}}} || '''홍민기[br](2020)''' || {{{+1 →}}} || [[김정주(야구선수)|김정주]][br](2021)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8번}}}''' || || [[최하늘]][br](2020) || {{{+1 →}}} || '''홍민기[br](2021)''' || {{{+1 →}}} || [[김동우(1995)|김동우]][br](2022)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06번}}}''' || || 백왕중[br](2016) || {{{+1 →}}} || '''홍민기[br](2023~)''' || {{{+1 →}}} || [[현역#s-4]]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n_Ki_Hong_Lotte_Giants.png|width=100%]]}}} || ||<-2> '''롯데 자이언츠 No.106''' || ||<-2> '''{{{+2 홍민기}}}[br]Hong Min-Ki''' || ||<|2> '''출생''' ||[[2001년]] [[7월 20일]] ([age(2001-07-20)]세)|| ||[[대전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법동초 - [[한밭중학교|한밭중]] - [[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 || '''신체''' ||185cm|85kg|| || '''포지션''' ||[[투수]]|| || '''투타''' ||[[좌투좌타]]|| || '''프로입단'''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s-3.2|2020년 2차 1라운드]] (전체 4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20~)||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12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 [[정보통신|통신병]]으로 복무.][br]{{{-2 (2021년 11월 8일 ~ 2023년 5월 7일)}}}|| || '''연봉''' ||3,100만원 (2023년)|| || '''SNS''' ||[[https://www.instagram.com/minki__1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롯데 자이언츠]]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등학교]] 입학 후 1학년(2017년) 때부터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할 만큼 야구 실력이 좋았다. 2학년(2018년) 때에는 부상으로 인하여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야 모습을 드러내었고, 3학년(2019년) 때에는 팀의 에이스이자 주축 선수로 활약할 가능성이 높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ibakorea&logNo=22122981481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관련 내용]]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KBO 리그 신인드래프트]] 1차 지명에서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의 [[신지후]]와 경쟁할 것으로 보였으나, [[한화 이글스]]는 [[신지후]]를 선택하면서 2차 지명으로 내려오게 되었다. 2차 지명으로 내려온 후 당초 [[kt wiz]]나 [[LG 트윈스]]에 지명될 것이 유력했으나 두 팀이 각각 [[강현우(야구선수)|강현우]]와 [[김윤식(야구선수)|김윤식]]을 뽑았고, 2차 1라운드 전체 4번으로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되었다. 2019년 9월 27일, 계약금 1억 6,000만원에 계약을 맺었다.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360|관련 기사]] 고교 통산 성적은 32경기 75이닝 ERA 4.68 2승 7패 81탈삼진[* 9이닝당 9.72탈삼진을 기록했다.] 64볼넷[* 9이닝당 7.68볼넷을 기록했다.] 3피홈런[* 9이닝당 0.35피홈런을 기록했다.] 1.75 WHIP를 기록했다. === [[롯데 자이언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tte_Giants_Min_Ki_Hong_Rookie_Draft.jpg|width=100%]]}}} || ==== 2020 시즌 ==== 아무래도 원석 유형의 선수인 만큼 퓨처스 리그 등판을 한 번이라도 할 수 있을까 싶었으나 시즌 전에 치러진 교육리그에서 가끔씩 모습을 드러냈다. 5월 8일 [[LG 트윈스]]와의 퓨처스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모두의 예상을 깨고 퓨처스 리그 데뷔를 빨리 이루어냈다. 그러나 3이닝 3피안타(1피홈런)[* [[박지규]]에게 만루홈런을 허용했다.] ERA 18.00 4볼넷 6실점(6자책점)을 기록하며 호되게 신고식을 치렀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경기가 시작되자마자 볼넷을 여러 번 내주며 제구가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다가 만루홈런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0이닝 6실점(6자책점)으로 화려하게 산화했는데, 그 직후 3이닝 1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위의 경기에서 어깨에 통증을 느꼈고, 검사 결과는 상부 관절와순 손상 진단을 받아 남은 시즌을 그대로 재활에만 집중했다. ==== 2021 시즌 ==== 팔꿈치 문제로 재활에 들어갔다고 한다. 6월 초반에 복귀 예정이었지만 6월 중순으로 미뤄진 걸 보면 재활이 조금 지지부진한걸로 보인다. 6월 26일 약 1년 3개월만에 실전 등판을 가졌으나 볼넷만 두 개를 내주며 무너졌다. 당초 뽑을 때부터 5년 이상을 내다본 원석 유형의 선수인만큼 아프지 않고 실전등판을 마쳤다는 데 의미를 두어야 할 듯하다. 7월 3일 2번째 등판을 가졌고 1이닝 1볼넷 무실점을 기록했다. 7월 27일 청백전에 등판했고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최고 구속은 145km/h. 이후 또 사이버투수였다가 9월 19일 간만에 2군 경기에 등판하여 1이닝 1삼진 무사사구 1실점을 기록하고 통산 첫 승리투수가 되었다. 9월 28일 1군에 콜업되었다. 9월 30일에 1군 '''데뷔전'''을 치렀고, 첫 타자를 땅볼로 잘 잡았지만, 이후 연속 볼넷을 내주며 제구에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후에 나온 투수가 분식을 해서 최종적으로 ⅓이닝 2볼넷 1실점을 기록했다. 공 14개 모두 패스트볼을 던졌으며 최고구속은 143km/h로 다소 아쉬웠다. 시즌 종료 후 11월 8일에 [[우강훈]]과 같이 현역으로 동반 입대를 했다. 전역일은 2023년 5월 7일. ==== 2023 시즌 ==== 5월 7일 전역하고, 약 2주 후 군보류 해제되어 배번 106번을 받았다. 육성선수로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소속선수 추가 등록이 되면서 정식 선수로 시작한다. 전역 이후에 8월이 다 되어가도록 1군 콜업은 커녕 퓨처스 출장 소식도 없다. 그러다 드디어 9월 5일 상무 전에서 등판했고 1이닝 1BB 1실점, 최고구속은 150km/h를 기록했다. 제구 난조는 아쉽지만 군 복무 기간 동안 실링을 뚫은 점은 고무적이지만 이번 시즌 이주형이 [[키움 히어로즈]]로 이적한 뒤 잠재력이 만개하면서 그 영향으로 일부 롯데 팬들한테 곱지 못한 시선을 받고 있다. ==== 2024 시즌 ==== 새로 부임한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이 주목한 선수 중 하나다. 같이 지목한 선수들은 [[정성종]], [[이진하]], [[우강훈]]. == 피칭 스타일 == 이상적인 신체 구조와 유연성이 돋보이며 최고 151km/h, 평균 140후반의 포심 패스트볼을 던지는 [[좌완 투수]]이다. 포심 외에도 투심과 슬라이더를 던지며 전역 이후엔 커터와 체인지업을 연습중이라고 한다. 하지만 제구가 불안한 것이 단점인데, 당장 고교 3학년 성적만 봐도 9이닝당 탈삼진이 10개를 훌쩍 넘어가지만 동시에 볼넷도 5개를 넘어간다. [[고효준]]을 연상해보면 쉽다. 즉, 프로에서 많이 손봐야하지만 잠재력을 높이 살만한 원석에 가까운 유형이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20 ||<|3> [[롯데 자이언츠|롯데]] ||<-15> 1군 기록 없음 || || 2021 || 1 || ⅓ || 0 || 0 || 0 || 0 || 27.00 || 16.8 || 21.33 || 0 || 0 || 2 || 0 || 6.00 || -0.04 || || 2022 ||<-15> 군 복무([[현역병|현역]])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1 || ⅓ || 0 || 0 || 0 || 0 || 27.00 || 16.8 || 21.33 || 0 || 0 || 2 || 0 || 6.00 || -0.04 || == 여담 == * 2021년 4월 6일 [[MBC]] <[[아무튼 출근!]]>에 인터뷰를 하며 잠깐 출연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BxE6ljXp1E|영상]][* 11:49 ~ 11:54]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롯데 자이언츠/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1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전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롯데 자이언츠/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