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洪憲[br]Hóngxiàn}}} == 개요 == ||<-2><#000096> '''[[중화민국|{{{#fff 중화민국}}}]]{{{#fff 의}}} [[연호|{{{#fff 연호}}}]]''' ||<#000000> '''[[중화제국|{{{#fff 중화제국}}}]]{{{#fff 의}}} [[연호|{{{#fff 연호}}}]]''' ||<-2><#000096> '''[[중화민국|{{{#fff 중화민국}}}]]{{{#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민국기년|민국]](民國)[br]{{{-2 ([[1912년|1912.]] [[1월 1일|01. 01.]] ~ [[1915년|1915.]] [[12월 31일|12. 31.]])}}}}}}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위안스카이|{{{#fff 홍헌제}}}]][br]홍헌(洪憲)[br]{{{-2 ([[1916년|{{{#fff 1916.}}}]] [[1월 1일|{{{#fff 01. 01.}}}]] ~ [[1916년|{{{#fff 1916.}}}]] [[3월 22일|{{{#fff 03. 22.}}}]])}}}}}}'''}}}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민국기년|민국]](民國)[br]{{{-2 ([[1916년|1916.]] [[3월 23일|03. 23.]] ~ 현재)}}}}}} || 중국 대륙에 3개월 10일 동안 들어섰던 [[중화제국(1915~1916)|중화제국]]의 연호였다. 1912년 [[신해혁명]]으로 [[선통제]]가 물러나고 [[중화민국]]이 들어섰다. [[위안스카이]]는 권력욕을 드러내며 임시 대총통이었던 [[쑨원]]을 몰아내고 스스로 대총통의 자리에 올랐다가 나중에는 황제에 오르겠다는 야심을 품었다. 이를 위해 위안스카이는 여론전을 벌이며 군주제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주안회나 미국 출신의 프랭크 J. 굿나우를 정치고문으로 맞이하기도 했다. 1915년 12월 11일 위안스카이는 참정원을 소집하여 황제로 추대되었고 12월 12일 중화제국을 선포했다.([[홍헌제제]]) 12월 31일에는 '''홍헌'''이라는 연호를 선포해서 1916년 1월 1일부터 사용했다. 그러나 위안스카이는 [[호국전쟁]]에 직면했고 결국 3월 22일 홍헌체제를 취소하여 제위에서 물러난 뒤 3월 23일 중화민국 대총통으로 복귀했으며 홍헌 연호 또한 폐지되었다. 이 때문에 홍헌 연호의 사용기간은 83일에 불과하다. [[분류:중국의 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