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성군의 로)] [include(틀:화순군의 로)] ---- ||<-4> {{{#fff {{{+1 '''화보로'''}}}[br] 和寶路 | Hwabo-ro }}} || || ← [[진도군|{{{#!html진도}}}]] {{{#!html방면}}}[br][[녹색로(전라남도)|녹색로]] ||<-2><#0018a8> [[18번 국도|{{{#!html
18번
국도
}}}]] || [[구례군|{{{#!html구례}}}]] {{{#!html방면}}} →[br][[송재로]] || || ← [[정읍시|{{{#!html정읍}}}]] {{{#!html방면}}}[br][[남문로(광주)|남문로]] ||<-2><#0018a8> [[22번 국도|{{{#!html
22번
국도
}}}]] || [[순천시|{{{#!html순천}}}]] {{{#!html방면}}} →[br][[화순로(화순)|화순로]] || || {{{#!html
기 점}}} ||<-2><#0018a8> [[29번 국도|{{{#!html
29번
국도
}}}]] || [[서산시|{{{#!html서산}}}]] {{{#!html방면}}} →[br][[너릿재로]] || || ← [[해남군|{{{#!html해남}}}]] {{{#!html방면}}}[br][[오성로(화순)|오성로]] ||<-2> [[55번 지방도|{{{#!html
55번
국가지원지방도
}}}]] || [[금산군|{{{#!html금산}}}]] {{{#!html방면}}} →[br][[너릿재로]] || || {{{#!html
기 점}}}--[[금천면(나주)|나주]] ~ 춘양--[* [[58번 지방도]]의 시점은 나주 금천면이지만, 시점부터 산포, 남평, 다도, 화순군 도암면을 거쳐 춘양면까지 구간은 아직 길이 없다. 최근 '금천-도암' 구간이 [[https://www.news1.kr/articles/?4413825|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2> [[58번 지방도|{{{#!html
58번
국가지원지방도
}}}]] || [[부산광역시|{{{#!html부산}}}]] {{{#!html방면}}} →[br][[개기로]] || ||<-4> '''{{{#fff 노선 번호}}}''' || ||<-4> '''[[18번 국도]]'''[br]'''[[22번 국도]]'''[br]'''[[29번 국도]]'''[br]'''[[55번 지방도]]'''[br]'''[[58번 지방도]]''' || ||<-4> '''{{{#fff 기점}}}''' || ||<-4>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초당리 초당교차로 || ||<-4> '''{{{#fff 종점}}}''' || ||<-4>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 [[너릿재터널]](구터널) || ||<-4> '''{{{#fff 연장}}}''' || ||<-4> 44.7km || ||<-4> '''{{{#fff 관리}}}''' || ||<-4> [[익산지방국토관리청]], [[화순군]] || ||<-4> '''{{{#fff 왕복 차로 수}}}''' || ||<-4> 4~6차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초당리 초당교차로에서 출발하여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 [[너릿재터널]](구터널)에서 끝나는 도로. [[18번 국도]], [[22번 국도]], [[29번 국도]], [[55번 지방도]], [[58번 지방도]]의 일부이며, 도로의 이름은 화순과 보성의 각 앞글자에서 따왔다. == 특징 == [[광주광역시]]와 [[화순군]]을 비롯하여 [[보성군]], [[장흥군]], [[고흥군]]을 이어주는 중요한 도로이다. 광주와 화순은 [[너릿재터널|이미 그 중요성 때문에]] 일찍 왕복 4차선이 되었고, [[2002년]]에는 '화순~능주' 구간이 왕복 4차선으로 개통된 데 이어 [[2010년]]에 '능주 ~ 보성' 구간의 확장이 완료되면서 모든 구간이[* 단, 쌍봉교차로는 처음 개설할 당시 '''[[남장수IC|평면교차로]]'''였으나 이후 개량을 거쳐 입체교차로로 변환함.] 입체교차로를 가진 왕복 4차선 도로가 되었고, 이후 [[영암순천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지금껏 많이 이용했던 [[22번 국도]] - [[15번 국도]] 경로보다 더 빠르게 갈 수 있게 되었으며, [[장흥]]에서도 [[29번 국도]] - [[839번 지방도]] 경로와 [[29번 국도]] - [[18번 국도]] - [[2번 국도]] 경로 대신에 전자보다 편하게 갈 수 있으며, 후자보다 더 빠르게 갈 수 있는 경로가 생겼다. == 주요 구간 == 크게 [[보성군]] 구간과 [[화순군]] 구간이 있다. * 보성 구간(초당교차로 ~ [[예재터널]]) * 시작점인 초당교차로에서 [[녹색로(전라남도)|녹색로]]와 만난다. 초당교차로부터 춘정교차로까지 [[18번 국도]] 구간이다. * 춘정교차로에서 [[18번 국도]]와 분기하며, 여기서 '''[[남해고속도로#s-4|남해고속도로(영암-순천)]] [[보성IC]]'''와 만난다. [[29번 국도]]의 시작점이며, 이 교차로부터 화순IC까지 [[29번 국도]]의 단독구간이다. * 녹차터널 * 신천교 * 신기교차로에서 [[예재로]]와 만난다. * 예재터널에서 [[보성군]] 구간이 끝난다. 이후 [[화순군]]으로 넘어간다. * [[화순]] 구간([[예재터널]] ~ [[너릿재터널]]) * 예재터널을 나온 이후부터 괴화교차로(가칭)까지 상하행선이 쭉 벌어진다. 보성 방향은 확장 전의 도로를 그대로 쓰고 있으며, 광주 방향은 터널을 뚫어서 괴화교차로(가칭)에서 만난다. 그 때문에 이양면 구례리 람덕마을의 경우, 확장 전 도로가 2차선 도로여서 우측으로 진출입을 했었는데 현재는 [[강변북로|'''좌측''' 1차선에서 진출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쌍봉교차로에서 [[쌍산의로]]([[843번 지방도]]), [[학포로]]와 만난다. 현재는 입체교차로지만, 개통 당시에는 '''[[남장수IC|신호등이 달린 평면교차로였다.]]''' 그 때문에 안그래도 차들은 과속을 일삼고, 모든 교차로가 다 입체였음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나타난 평면교차로때문에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 [[2014년]]에 평면교차로가 폐쇄될 때까지 이 쌍봉교차로에서만 [[교통사고]]로 사망자 6명, 부상자 26명이 나왔다. 그래서 한동안 [[29번 국도]]는 ''''죽음의 도로''''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고, 단속카메라와 안전설비 보강 등이 이루어졌다. 평면교차로 폐쇄 이후 [[2016년]]에 입체교차로 공사를 시작하여 [[2019년]]에 끝냈다. * 또한 쌍봉교차로부터 [[화순읍]] 대리1교차로까지 [[학포로]]와 거의 나란하게 올라가며 각 교차로마다 만나는데, 이는 [[학포로]]가 확장 이전에 [[29번 국도]] 구간이어서 그렇다. * 송정교차로에서 [[학포로]]와 다시 만나고, 이 교차로부터 이양교차로까지 이양면소재지를 우회하기 때문에 이양면소재지와 청풍면소재지로 가려면 이 교차로에서 빠져야한다. * 이양터널 ~ 이양교 ~ 이양2터널(가칭) 구간에 추후 [[839번 지방도]]가 만날 예정이다. 이는 '유치~이양 지방도 확포장공사' 때문인데, 확장공사의 종점이 바로 이 지점이다. * 이양교차로에서 [[학포로]]와 다시 만난다. 보성 방향에서는 송정교차로까지 이양면소재지를 우회하기 때문에 이양면소재지, 청풍면소재지를 가려면 이양교차로에서 빠져야한다. * 금능교차로에서 [[개기로]]([[58번 지방도]])와 만난다. 원래 [[58번 지방도]]의 시작은 [[나주]] 금천이지만, 시작점부터 [[화순]] 춘양까지 '''아직 길이 없기 때문에''' 실질적인 시작점은 이 교차로가 된다. * 입교교차로에서 [[차풍로]]와 만난다. 이 교차로부터 용두터널까지는 '능주 ~ 보성' 구간이 2차선이었을 때 잠깐동안이지만 왕복 4차선이었다. 보성방향으로 이 교차로 직전인 용두터널 입구 인근부터 쌍봉교차로 앞까지 [[구간단속]]을 시행하고 있다. * [[용두터널]]은 유독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는데, [[2013년]] [[12월]]에는 한달 전인 11월에 일어난 쌍봉교차로 사고의 충격이 채 가시기 전에 용두터널 인근에서 사고가 일어나 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 이후로도 크고 작은 사고가 많이 발생했다. 항상 안전운전하자. * 석정교차로와 춘양교차로에서 각각 [[춘양로(화순)|춘양로]], [[개천로]]와 만난다. 석정교차로는 광주 방향으로 왕래할 수 있지만 보성 방향에서 출입만 가능하고, 춘양교차로는 광주 방향으로만 왕래가 가능하다. 춘양면소재지로 진입할 때 이 점을 유의하자. * 춘양교차로 이후 광대교, 도산교를 건너면 한천면에 진입하며, '능주 ~ 보성' 확장 공사의 시작점이 바로 이 구간부터였다. 그리고 도산교 인근에서 공사를 하던 중 구석기가 다량 나오게 되어 발굴 조사가 있었다. * 모산교차로에서 [[학포로]]와 또 만난다. 원래는 광주 방향으로만 왕래가 가능했지만, 한천면 주민들의 불편으로 [[2014년]]부터 양방향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개선공사가 이루어져 [[2016년]] 9월 28일부터 양방향 진출입이 되었다. * 능주교차로에서 능주면소재지로 진입할 수 있으며, 도곡면으로 가려면 이 도로에서 빠져야한다. * 능주교차로 ~ 백암교차로 사이에는 어르신들이 만든 [[복숭아]] 판매대가 구석구석마다 존재하는데, 수요가 있다고 판단했던지 능주농협에서 아예 보성 방향으로 [[농협 하나로마트]]를 휴게소 형태로 개업했었다. * 화순IC에서 [[화순로(화순)|화순로]]([[22번 국도]])와 만나고, 화순IC부터 교리교차로까지 [[22번 국도]]와 중첩이다. 이후에 고가도로가 나타나는데, '화순 ~ 광주간 광역도로(현 [[너릿재로]])'를 만들면서 화순에서도 고가도로를 만들어 신호 없이 빠르게 갈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대리1교차로, 대리2교차로로 진입하려면 화순읍 방향으로 빠져야한다. * 대리1교차로에서 [[학포로]]와 마지막으로 만나고, 대리2교차로에서 [[오성로(화순)|오성로]]([[55번 지방도]]), [[서양로(화순)|서양로]], [[칠충로]]와 만난다. * 이후 고가도로 구간이 끝나고 교리교차로에서 바로 [[너릿재로]]와 직결된다. [[화보로]]는 너릿재 방향으로 빠져야 갈 수 있으며, [[29번 국도]]와 [[22번 국도]]가 다시 분기한다. [[22번 국도]]는 [[화보로]]로 이어지며, [[29번 국도]]는 [[너릿재로]]로 이어진다. * [[너릿재터널]]에서 [[화보로]]가 끝난다. [[너릿재터널]]을 지나면 [[남문로(광주)|남문로]]로 이어지며, [[광주광역시]]로 넘어간다. [[22번 국도]]는 [[남문로(광주)|남문로]]로 이어진다. == 대체도로 == 요약하면 '''없다.''' 이미 이 도로가 '쌍봉교차로 ~ 대리1교차로'로 사용하고 있던 [[학포로]] 구간(구 [[29번 국도]] 구간)을 대체하며, [[화순읍]]의 교리IC부터 [[너릿재터널]]까지 구간은 전남 일일 통행량 1위에 빛나는 관계로 이미 우회로를 만들고([[55번 지방도]] [[오성로(화순)|오성로]] - 앵남교차로 - [[칠구재터널]]([[지강로]], [[817번 지방도]]) 구간), 이마저도 부족해 [[너릿재터널]] 구간 바로 옆에 '''[[너릿재로|새로운 광역도로]]'''를 만들었을 정도다. 계획상으로 '광주 ~ 고흥 간 고속도로(이하 광주고흥고속도로)'가 있으나, 계획으로만 남아서 실질적인 대체도로는 딱히 없다고 봐야 한다. 그러나 광주~고흥 고속도로 건설 사전기획 조사를 위한 2023년 예산 중 3억원이 [[21대 국회]]에서 반영되었다. [[https://www.gwangju.go.kr/boardView.do?pageId=www789&boardId=BD_0000000027&seq=14376&movePage=1|보도자료]], [[https://media.gwangju.go.kr/view/bd09b23fa83bea4035af2b585fd581a8.ht|문서뷰어]] == [[대중교통]] == === [[철도]] 및 [[도시철도]] === [[경전선]]이 [[화보로]]를 거의 따라가지만 이 도로상에 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 [[버스]] === ==== [[화순군 농어촌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 * [[화순군 농어촌버스]] * [[화순 버스 318|318(-1)]]을 제외한 전 노선 : [[너릿재터널]] ~ 교리IC * [[화순 버스 218-1|218-1 구례리 경유 노선]] : 쌍봉교차로 ~ 람덕마을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버스 진월177|진월177번]]을 제외한 [[광주 버스 228|228번]], [[광주 버스 지원152|지원152번]] : [[너릿재터널]] ~ 교리IC ==== [[시외버스]] ==== * [[시외버스 광주-보성|광주 ~ 보성(직통)]] : 교리IC ~ 덕림교차로[* 나머지 시간대는 [[22번 국도]] - [[15번 국도]]로 돌아간다.] * [[시외버스]] 광주-[[장흥시외버스터미널|장흥]], [[회진시외버스터미널|회진]] : [[너릿재터널]]~교리IC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 이중 장평을 경유하는 노선은 교리IC ~ 이양교차로 구간까지 운행한다.] == 교통량 == == 주요 시설 == * --능주[[농협]] [[농협 하나로마트|하나로마트]] 원지점--[* 2023년 1월부로 영업 종료.], 능주농협주유소 * 지석강휴게소 * [[한국도로공사]] 보성지사 == 기타 == * 이 도로로 인해 [[광주광역시|광주]]에서 [[보성군|보성]]까지 접근성이 크게 향상됐으며, 이후 [[남해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영암 - 순천)]] 개통으로 인해 [[고흥군|고흥]], [[벌교읍|벌교]], [[장흥군|장흥]] 지역에서 [[광주광역시|광주]]로 접근성이 향상됐다. * 전 구간이 제한속도 80km/h 이지만, 선형이 고속도로급으로 잘 되어 있다보니 과속이 빈번하다. 보통 보성에서 광주 시계까지 30분 안으로 갈 수 있을 정도이며, 거기에 남광주교차로까지 38분 안으로 가는 건 기본이라고. 그 때문에 사고도 빈번하게 일어나 한동안 '''죽음의 도로'''라는 오명을 얻었다. 그래서 이 도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화순군 구간은 단속 카메라를 많이 설치했으며, 최근 보성방향 '용두터널 ~ 쌍봉교차로' 구간에 [[구간단속]]을 설치했다. * 개인이 운영하는 휴게소가 각 방향마다 하나씩 있으며, '화순 ~ 능주' 구간에는 [[복숭아]] 판매대도 존재한다. 이 때문인지 능주[[농협]]에서는 아예 보성방향으로 [[농협 하나로마트|하나로마트]]를 개업해 휴게소 형태로 영업했었다. 하지만 [[2023년]] 1월부로 영업을 중단했다. 그래서 지금은 주유소만 남았다. [[분류:보성군의 도로]][[분류:화순군의 도로]][[분류:18번 국도]][[분류:22번 국도]][[분류:29번 국도]][[분류:55번 지방도]][[분류:58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