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1490|{{{+1 '''NGC 1490'''}}}]][br]그물자리의 타원은하||<:> {{{+1 ←}}} ||<:> {{{#000000 {{{+1 ''' NGC 1491'''}}}[br]페르세우스자리의 산개성단 }}} ||<:> {{{+1 →}}} ||<:> [[NGC 1492|{{{+1 '''NGC 104'''}}}]][br]에리다누스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5><:> [[샤플리스 목록|{{{#FFFFFF '''샤플리스 천체'''}}}]] || ||<:> [[Sh2-205|{{{+1 '''Sh2-205'''}}}]][br]기린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Sh2-206'''}}}[br]페르세우스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207|{{{+1 '''Sh2-207'''}}}]][br]기린자리의 발광성운 || ||||<-3><:> {{{#FFFFFF NGC 1491[br]{{{+3 '''화석 발자국 성운'''}}}[br]Fossil FootPrint Nebula}}} || ||<-3>{{{#!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파일:Fossil-Footprint.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4h 03m 15.9s || || {{{#FFFFFF 적위}}} || +51° 18′ 54″ || || {{{#FFFFFF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3366aa 페르세우스자리}}}]]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8.3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전리수소영역|{{{#3366aa 전리수소영역}}}]][br] [[발광성운|{{{#3366aa 발광성운}}}]] || ||<-2> {{{#FFFFFF '''거리'''}}} || 9.800 [[광년|{{{#3366aa 광년}}}]][br]3,020 [[파섹]] || ||<-2> {{{#FFFFFF '''지름'''}}} || 21 광년 || ||<-2> {{{#FFFFFF '''겉보기 크기'''}}} || 30' X 30' || ||<-3> {{{#FFFFFF '''명칭'''}}} || ||<-3> 화석 발자국 성운 [[NGC|{{{#3366aa NGC}}}]] 1491 , [[Sh2]]-206 || [목차] == 개요 == {{{+1 화석 발자국 성운/Fossil FootPrint Nebula}}} 화석 발자국 성운은 페르세우스자리 방향으로 약 9,800 광년 떨어진 [[발광성운]]이다. == 상세 == 1790년 12월 28일 [[윌리엄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된 발광성운으로 다른 유명한 페르세우스자리 천체들이 있는 부분에서 서쪽으로 많이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해 있어 그다지 유명한 성운은 아니다. 성운은 [[O형 주계열성]]인 BD +50 886과 [BDS2003] 62 성단등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으며 성운의 직경은 대략 21 광년 정도로 추산되고 있는 중이다. 성운 내부엔 중성 밀도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소구체가 발견되었으며 성운의 남부와 서부 경계쪽은 [[불꽃 성운]]과 구조, 속도장등의 물리적 특성이 비슷하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전리수소영역]] * [[페르세우스자리]] * [[발광성운]]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