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화성27-1.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화성시 마을버스 27-1번}}} || ||<-2><:>기점||<:>경기도 화성시 진안동(병점역.화성청년지원센터)||<-2><:>종점||<:>경기도 화성시 석우동(동탄보건지소.우체국)|| ||<|2><:>종점행||<:>첫차||<:>08:10||<|2><:>기점행||<:>첫차||<:>09:10[*추정시간 카카오버스 첫막차 통과시각으로 추정한 결과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막차||<:>16:30||<:>막차||<:>17:00[*추정시간 카카오버스 첫막차 통과시각으로 추정한 결과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2><:>평일배차||<:>90~130분[* 카카오버스 기준]||<-2><:>주말배차||<:>'''미운행'''|| ||<-2><:>운수사명||<:>[[금오운수]]||<-2><:>인가대수||<:>3대[* 폐선 직전에는 '''1대'''만 운행했다.]|| ||<-2><:>노선||<-4><:>병점역(1번 출구) - (→ 화성보건소 → 병점홈플러스 → 신창미션힐.송화초교 →) - 대창그린아파트 - 정든공원 - 한마음초사거리 - 능동초등학교 - 능동은행사거리 - 센트럴파크 - 메타폴리스 - 동탄1동행정복지센터 → 예당예원초 → '''동탄보건지소.우체국(회차점''') → 대우푸르지오.예당고등학교 → 동탄1동행정복지센터 → 이후 역순|| === 개요 === 금오운수에서 운행했던 마을버스 노선이다. === 역사 === * 17번과 27번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자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에는 지선 노선들이 으레 그렇듯이 1대로 운행했다. * 2016년 1월 4일부터 [[화성 버스 700|700번]]이 능동마을로 들어오지 않게 되면서, 능동마을은 가뜩이나 없던 대중교통이 더 열악해졌다.[* 뒷쪽에 능동마을입구부터해서 7-1번, 15번, 62-1번, 98번에 공항버스까지 다니는 동탄원천로가 있지만, 능동초.중.고교 연선은 정말 버스노선이 없다.] 이 때 신차를 투입해 3대로 다니게 되었지만 배차간격이 여전히 긴 편이라 이용률이 그렇게 높아지지는 않았다. 그래서 능동중.고교 학생들은 모두 뒤쪽 큰도로([[동탄원천로]])나 아래쪽 큰도로([[동탄지성로]])로 가서 버스를 탄다. * [[:파일:20220530_155715.jpg|2022년 4월 21일부터 첫차가 빨라지고 막차가 심하게 늦어졌으며, 주말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 2023년 1월 1일부로 운행 종료되었고, 이후 GBIS에서도 삭제되면서 완전히 폐선되었다. 기존 27-1번 구간은 [[화성 버스 17-1|17-1번]]이 노선 변경 후 대체 운행한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571882&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B.8F.99.ED.83.84&page=1|관련 게시물]] 사실상 17-1번에 통폐합되는 셈이다. === 특징 === * 27번, 27-2번과 달리 병점역사거리에 서지 않고, 병점역 1번 출구 앞으로 가니 주의해야 했다. * 능동마을 내부로 들어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길어 수요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 그린시티 3대(1327~8, 9922호) 중 1대로 운행했다.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화성 마을버스 27, version=46, paragraph=2)] [[분류:화성시의 마을버스]][[분류:2022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