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화성시)] [include(틀:화성시의 교통)] [목차] == 개요 == [[화성시]]의 교통에 대해 다루는 문서. 동부/동탄출장소와 본청 관할 지역의 교통망이 완전히 달라 둘을 다른 지역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으며, 본청 관할 지역도 [[봉담읍|봉담]]-[[향남읍|발안]]-[[우정읍|조암]] 축과 [[남양읍|남양]]-[[송산면(화성)|송산]]-[[서신면|서신]] 축도 교통망이 다르다. === 동부/동탄출장소 관할 지역 === 도로의 경우 [[1번 국도]]가 [[경부선]]과 나란히 [[병점]] 지역을 관통하며, [[경부고속도로]][* 2019년 12월 현재 전구간 지하화 공사 중이다.]가 [[수서평택고속선]]과 나란히 [[동탄신도시]]를 관통한다. 화성시 동부 지역은 위치상 수도권 남부 개발의 거대한 두 축이었던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가 만나는 곳이기에 안양, 영등포(경부선 축)으로의 이동과 분당, 강남(경부고속도로 축)으로의 이동이 모두 편리하다. 시외버스의 경우 인근에 위치한 [[수원종합버스터미널]] 또는 [[오산역환승센터]]를 이용한다. 동탄역에 버스터미널이 예정되어 있지만, 완공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철도의 경우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이 [[급행열차]] 정차역으로써 [[병점]] 지역과 [[동탄신도시]]의 전철 수요를 담당하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병점역 바로 아래 위치한 역인 [[세마역]] 이남으로 운행하지 않으므로 [[세마역]] 이남부터는 배차간격이 두배로 길어진다.], [[수서평택고속선]](SRT) [[동탄역]]이 고속철도 수요를 담당하고 있고 탑승률이 준수하다. 분당선은 아직 관내에 없지만 수원 영통구의 [[망포역]]이 동탄/병점의 분당선-버스 환승 결절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현재 예정된 철도 노선으로는 안양 인덕원에서 출발해 수원을 거쳐 동탄까지 오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동탄인덕원선]], 1호선(반월~오산)과 2호선(병점~장지동)으로 으로 각각 개통되는 [[동탄 도시철도]][* 아직 착공 전이라 노선이 변경될 수 있다.]와 동탄신도시를 시종착으로 하는 대심도급행전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의 A노선이 있다. 사실 [[동탄신도시]]와 가장 인접한 전철역으로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서동탄역]]이 있는데, 서동탄역은 주소상으로는 [[오산시]] 외삼미동이다. 이때문에 오산시가 역명을 삼미역으로 짓자고 주장했으나 원래 역을 짓게 된 이유가 동탄신도시 교통편의를 위해 건설된 점, 결정적으로 건설비용 전액을 화성시가 부담한 점 때문에 역명이 원안 그대로 서동탄역으로 확정되었다. 하지만 동탄 지역 주민의 대부분이 서동탄역 대신 위치와 배차간격이 훨씬 더 좋은 [[병점역]]을 여전히 이용중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2023년 10월 확정된 서동탄역 - 동탄역 1호선 연장이 개통되고 서동탄역 주변에 진행중인 개발사업이 완료되어 서동탄역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되면 어느정도 해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광역급행버스 M4108|서울역행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2011년 1월 말부터 운행 중이다. 사실 동탄 주민들을 입주할 때 교통 분담금이란 명목으로 상당한 금액을 지출했다.[[동탄역]] 건설에도 투입되었겠지만. === 본청 관할 지역 === 남양, 봉담, 향남의 경우 자동차전용도로 같은 [[서해로]], [[삼천병마로]], [[매송고색로]], [[화성로]] 등이 있으며 [[비봉매송로|비봉매송도시고속도로]]와 [[봉담과천로|봉담과천도시고속도로]]가 있어서 서울 방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봉담에서는 30분이면 [[사당역]]에 도착할 정도. 또한 [[서해안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일개 면 지역에서도 [[나들목]]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으며, 인접 지역인 [[안산시]], [[수원시]], [[평택시]] 방면 이동도 각각 [[본오매송로]], [[매송고색로]] 및 [[서부로(경기도)|서부로]], [[포승향남로]] 등을 이용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서신, [[비봉면(화성)|비봉]], [[마도면|마도]] 등 면 지역이 분포되어 있는 탓에 편도 1차선 도로의 비율이 높으며, 경기도이지만 시골길을 질주하는 기분을 만끽하기 좋다. 시외버스의 경우 화성시 서남부에 있는 [[조암터미널]]을 제외하고 제대로 된 [[버스 터미널]] 하나 없었지만, 2015년 [[향남환승터미널]] 완공 이후 시외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향남환승터미널]]로 이동한다. 다만 아직은 노선이 많지 않아서 많은 이들이 [[수원역]]을 이용하고 있다. 철도의 경우 [[수도권 전철 수인선|수인선]]이 2020년 9월 12일 개통되어 [[수도권 전철 분당선|분당선]]과 하나로 뭉쳐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이 되었고, [[어천역]]에서는 인천발 [[KTX]]가 정차할 예정이다. 또한 [[서해선]] 복선전철이 들어설 예정이며 [[향남역]], [[화성시청역]](신남리), [[서화성남양역]][* 정확히는 남양읍 문호리 200m옆, 송산면 고정리와 약 2km 떨어진 간석지]에 [[국제테마파크역]]이 들어올 예정이다. 다만 현재는 철도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하나 밖에 없고]], 그마저도 [[매송면]]에 지어지기 때문에 수원 방면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 현재 [[송산그린시티]], [[남양뉴타운]], 비봉택지지구, 봉담1, 2지구, 동화지구, 향남1•2신도시, 효행지구(일부 [[평동(수원)|오목천동]])가 개발 중에 있으며 [[어천역]] 주변에도 택지개발이 진행중이다. == 철도 == * ''' 현재 운행중인 노선 ''' || '''노선''' || '''역명''' || '''행선지''' || ||<|2>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1]]]] || '''[[서동탄역|{{{#0d3692 서동탄}}}]]'''[*A [[오산시]]에 위치해 있지만, 동탄쪽 생활권이며 역도 [[화성시]]가 지었다.] ||[[병점역|병점]]·[[구로역|구로]]·[[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병점역|{{{#0d3692 병점}}}]]''' ||[[서동탄역|서동탄]]·[[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수서평택고속선|[[파일:SRT BI.svg|width=76]]]] || '''[[동탄역|{{{#5a2149 동탄}}}]]''' ||[[수서역|수서]]·[[평택지제역|평택지제]]·[[부산역|부산]]·[[광주송정역|광주송정]] 방면|| ||<|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31]]]] || '''[[어천역|{{{#f5a200 어천}}}]]''' ||<|2>[[청량리역|청량리]]·[[수원역|수원]]·[[안산역|안산]]·[[연수역|연수]]·[[인천역|인천]] 방면|| || '''[[야목역|{{{#f5a200 야목}}}]]''' || ===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파일:GreatTraineXpress.svg|width=35]] GTX-A]]: --[[동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 [[서동탄역]][*A], --[[동탄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5]] 수도권 전철 서해선]]: --[[국제테마파크역]]--, ~~[[서화성남양역]]~~ * [[신안산선|{{{#f04938 ●}}} 신안산선]]: --[[국제테마파크역]]--, ~~[[서화성남양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15]]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어천역]], [[야목역]] * [[동탄인덕원선|{{{#4d8a7d ●}}} 동탄인덕원선]]: --[[반월나노시티역]], [[능동역]], [[메타역]], [[동탄역]], [[서동탄역]][*A]-- 본청 관할 지역은 수원 방면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신분당선]]이 먼 미래에 [[향남읍]], [[봉담읍]]을, [[서해선]]이 서화성남양, 시청, 향남을 지날 예정이며 일단 2020년 9월 12일에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어천역]]과 [[야목역]]이 개통되긴 했다. 동부출장소 관할 지역 주민들 대부분은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을 이용한다. 동탄, 기배동, 화산동에서 병점역으로 가는 버스가 많아 이용이 용이하기 때문. [[서울]] 도심이나 강남은 버스를 이용하는게 빠르나 서울 서부로 갈때에는 영등포, 신도림, 가산디지털단지방면 이동시에는 급행도 있는 1호선이 최고다. [[동탄신도시]] 서쪽 외곽 끄트머리에 있는 서동탄역이 동탄에서 그나마 가깝기는 하지만 일부 열차만 들어오는 지선인데다, 역 바로 앞까지 가는 둘 뿐인 버스노선(709, 709-1)의 배차간격이 막장이기에 대부분은 병점역을 이용하지 서동탄역을 이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애초에 들어가는 길이 왕복 2차로의 좁은 길과 수많은 불법주정차 차량들을 통과해야 해서 접근성이 많이 떨어진다. 어쨌든 동탄신도시가 생기면서 퇴근시간 1호선은 과거보다 훨씬 혼잡해졌다. 과거에는 퇴근시간이라도 천안행 1호선 전철은 그럭저럭 탈만했는데 동탄신도시 조성 이후 부터는 그야말로 아비규환이다. 천안행 전철 특성상 배차간격도 긴데다가 수원이나 병점에서 내리기 전까지는 꼼짝도 않는 승객들이 많아서 심할 때는 8시 이후에나 여유로운 승차가 가능할 정도다. 1호선 [[병점기지선]]을 병점역-서동탄역-[[솔빛나루역]]-동탄역 구간으로 연장하자는 주장이 있으며, 국회의원 공약 등으로 나오면서 주목을 받았다. 2023년 10월 12일 동탄인덕원선 차량기지 인입선 구간을 이용한 1호선 [[서동탄역]] - [[동탄역]] 연장안이 최종 확정되었다.[*B [[http://www.d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593|「이원욱 동인선 노력 결실 맺어, 동인선 1호선 입출고선(동탄역~서동탄역) 직결 확정」]], 대한뉴스, 2023-10-18] 수원의 [[망포역]]도 많이 이용한다. 웬만한 버스들이 망포역까지 가기 때문에 쉽게 갈 수 있으며, 기흥, 수지, 분당 등지로 갈 때는 병점역보다 망포역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한 실정이다. --말만 화성이지 남수원이다-- [[동탄역]]에서 시종착하는 [[동탄인덕원선]]이 설계 단계에 있으며, [[GTX A]]선이 [[동탄역]]에 정차할 예정이다. 2024년 개통 예정. GTX A는 동탄에서 용인, 분당(판교)을 거쳐 수서역과 삼성역, 이후 서울역 등을 지나 일산 킨텍스, 파주 운정신도시까지 연결된다. 현재 [[신분당선]] 연장 떡밥이 돌고 있으나 아직 구상단계에 있을 뿐이고 [[향남읍]]에서는 '''"[[서해선]] 복선전철 지하화 요구"''', '''"약속대로 신분당선 연결하라"'''라는 현수막이 걸려있다. 일단 호매실~봉담[* [[오목천역|확정되기 이전에 가칭 봉담역이었던 역]]이 아닌, [[봉담읍]]내에 신설되는 역이다.] 구간이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면서 추진될 가능성은 보이고 있다. 또한 화성시 서부지역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이도역|오이도]]~[[수원역|수원]] 구간이 개통되어 2020년 9월 12일부터 [[어천역]]과 [[야목역]]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단 두 역은 시가지에서 좀 떨어진 편이다. 서해선도 2023년 개통 예정.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 [[신안산선]]이 [[국제테마파크역]], [[서화성남양역]]에 정차하며 [[화성시청역]]과 [[향남역]]도 개통 예정이다. === [[동탄 도시철도|트램]] === [[파일:동탄 신교통 노선도.jpg]]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탄 도시철도)] 오산시에서 동탄역을 거쳐 [[망포역]]으로 가는 노선 1번과, [[병점역]]에서 동탄1신도시를 거쳐 동탄역, 호수공원까지 가는 노선 2번이 새통될 예정이다. 실제로 동탄2신도시의 동탄대로 및 동탄순환대로에는 중앙분리대 대신 큰 화단이 있는데, 이것이 트램의 선로 자리이다. 그러나 건설이 확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산시와 연결되는 곳의 선로 자리 부족과 예산 문제 등으로 실제 개통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 || '''노선''' || '''역명''' || || [[수서평택고속선|[[파일:SRT BI.svg|width=50]]]] || '''[[동탄역|{{{#5a2149 동탄}}}]]''' || || [[인천발 KTX|[[파일:KTX BI.svg|width=50]]]] || '''[[어천역|{{{#005daa ~~어천~~}}}]]''' || || '''노선''' || '''역명''' || ||<|4> [[서해선]] || || '''[[서화성남양역|~~서화성남양~~]]''' || || '''[[화성시청역|~~화성시청~~]]''' || || '''[[향남역|~~향남~~]]''' || [[동탄신도시]]에 고속철도역인 [[수서평택고속선]] [[동탄역]]이 위치해있다.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을 경유하는 수서행, 부산행, 목포행 [[SRT]] 열차들이 선택정차한다. 다만 동탄역은 화성 동쪽에 치우쳐져 있어 서부지역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그래도 동부 인구가 50만 명이 넘어 열차 편수는 적지 않은 편. 동탄역에서 분기하는 [[수도권 내륙선]]이 검토중이다. 서부 서신면에서 동탄, 용인, 이천까지 잇는 동~서 연결 철도도 국가철도망에 반영하려고 하고 있다. 추후 [[인천발 KTX]]가 개통되면 [[수인선]] [[어천역]]에서도 [[KTX]]를 이용 가능하게 될 예정이다. 어천역은 동탄역으로 접근하기 힘든 화성 서부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게 될 것이다. [[경부선]]이 지나가지만 일반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없다. 대신 가깝고 모든 여객열차가 필수정차하는 [[수원역]]에서 일반열차나 [[KTX]]를 이용한다. [[오산역]]도 있으나 열차 편수는 극히 적다. [[서해선]] 개통 이후에는 [[국제테마파크역]], [[서화성남양역]], [[화성시청역]], [[향남역]]이 들어서게 되는데, 이 역들에 서해선 경유 여객열차들이 정차할 것으로 보인다. == 버스 == [include(틀:화성시의 버스)] [include(틀:화성시 마을버스)] [include(틀:H버스)] === [[시내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성시·오산시 버스 목록)]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성시 마을버스)] ###동탄신도시 관련 버스 문서는 동탄1신도시, 동탄2신도시 문서에 '개별'로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대체로 광역버스는 경기남부 지역이 다 그렇듯이 [[사당역]]과 [[강남역]], 그리고 [[서울역]] 노선이 발달되어 있으며 본래 한 몸이였던 [[수원시]] 및 [[오산시]]와 교류가 활발하다. 특히 [[수원역]]행 노선은 화성시 지역에서는 필수. 그 외에 성남, 안산, 용인, 평택시 방면 노선도 종종 화성을 드나들고 있다. === H버스 === [include(틀:전국 지방자치단체 공영버스 브랜드)] [include(틀:H버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화성 시내버스 H120B_4717.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 마을버스 H14A_1550.jpg|width=100%]]}}}|| || 일반시내버스 || 마을버스 || [[화성시]]의 자체 공영버스 브랜드이다. H는 Hwaseong(화성)의 약자로, 2019년에 처음 개통하였다. [[서철모(1968)|서철모]] 전 화성시장의 대중교통 관련 공약 중 하나로, 시에서 100% 지원, 그러니깐 쉽게 말해서 세금으로 운영하는 버스다. 대체로 동탄이나 봉담, 향남 등을 구석구석 잘 다니며 잘 자리잡은 느낌을 준다. [[직행좌석버스]]였던 [[화성 버스 H6005|H6005번]], [[화성 버스 H6007|H6007번]]은 수요가 [[공기수송(교통)|너무 없어서(...)]] [[2020년]] [[7월 1일]]자로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http://ch1.skbroadband.com/content/view?parent_no=24&content_no=61&p_no=104287|#]] [[화성여객]]이 운행하는 H버스[* [[화성 버스 H10|H10]], [[화성 버스 H18|H18]], [[화성 버스 H23|H23]], [[화성 버스 H24|H24]], [[화성 버스 H65|H65]], [[화성 버스 H67|H67]]]를 제외한 모든 노선이 모두 화성시 마스코트인 코리요 전용 도색이 되어있다. === [[공항버스]] === ||<-3> [[파일:화성시 CI.svg|width=20]] {{{#f36018 '''화성시 경유 공항버스'''}}} || ||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 [[공항버스 8835|8835]] ||<|3> [[동탄신도시]] ||<|2> [[인천국제공항]] || || [[공항버스 8837|8837]] || || [[공항버스 8840|8840]] || [[김포국제공항]] || || [[공항버스 7000|7000A]] || [[송산그린시티]] || [[인천국제공항]] || || [[공항버스 8822|8822]] || [[USAG 험프리스]] || [[인천국제공항]] || === [[시외버스]], [[고속버스]] === || [[파일:HABL912.jpg|width=100%]] || ||<#ff5200> {{{#fff '''향남환승터미널'''}}} || ||<-2> [[파일:화성시 CI.svg|height=45]] {{{#ff5e00 '''화성시의 고속/시외버스 터미널'''}}} || || [[우정읍]] || --[[조암터미널]]-- [* 2022년 10월 1일에 폐쇄.] || || [[향남읍]] || [[향남환승터미널]] || || [[서신면]] || ~~서신터미널~~[* 현재 터미널 기능을 잃고, 버스 정류장 이름 등이나 근처 건물 등에만 흔적이 남은 상태다.] || || [[동탄신도시]] || 동탄 시외버스 정류장 || 화성시에는 인근 안산이나 수원, 평택, 오산과 다르게 --90만 도시가-- 큰 노선 규모를 갖춘 [[버스 터미널]]이 없다. 관내에서 고속/시외버스를 타기 위해서는 '''[[향남터미널]]'''을 이용해야 하며 이마져도 모두 중간에 정차하는 터미널이 많다. 아니면 동탄 다은마을에 일부 정차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하여야 하지만 시외버스라고 할 만한 버스도 안오고 자주 오는것도 아니라 대체로 인근 [[수원시]], [[오산시]]의 [[수원버스터미널]]이나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오산역환승센터]]를 이용한다. == [[택시]] == ||<-3>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경기 화성시 택시''' }}} || ||<|5> '''중형택시''' || || 기본요금 || 3,800원 (2.0km) || || 추가요금 || 100원 (25초/104m) || || 심야 할증 || 20% (00:00~04:00) || || 시계외 할증 || 20% (화성/오산시 외) || ||<-3>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5> '''모범ㆍ대형택시''' || || 기본요금 || 6,500원 (3.0km) || || 추가요금 || 200원 (36초/148m) || || 심야 할증 || 없음 || || 시계외 할증 || 없음 || ||<-3>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 [[화성시]] 택시 요금은 [[경기도]]택시운송사업조합 요금 도농복합 '''가'''형을 적용받는다. * [[오산시]]와 공동사업구역으로, 오산시<->화성시간은 시계외 할증이 붙지 않는다. == 도로 == [include(틀:화성시의 로)]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wiki style="margin: -5px 0" [[화성시|[[파일:화성시 CI_White.svg|height=45]]]]}}}||{{{#!wiki style="margin: -5px 0" '''[[화성시|{{{#ffffff 경기도 화성시}}}]][br][[길#s-1|{{{#ffffff {{{+1 관내 길}}}}}}]]'''}}} ||}}} || || {{{#!wiki style="color: #fa52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white ㄱ}}}''' || 가능골길· 가래길 · 가로지길· 가마골길 · 가장말길 · 가재울길 · 갈담초교길 · 갈우물길 · 갈천길 · 감나무길 · 강여울길 · 개매기길 · 개묵이길 · 개월안길 · 갱골길 · 거묵골길 · 거물동길 · 건배길 · 검다지안길 · 검정골길 · 계곡촌길 · 계향남길 · 계향문학길 · 계햑북길 · 고래물길 · 고렴길 · 고시길 · 고온리안길 · 고정길 · 고정안길 · 고주골길 · 고주동방길 · 고지길 · 고포길 · 고해길 · 고향의봄길 · 골말길 · 관항길 · 괘랑길 · 괘랑보통길 · 구내길 · 구래길 · 구름내길 · 구문천길 · 구밀안길 · 구슬길 · 구운말길 · 구장길 · 구포동길 · 국화길 · 굴원길 · 굴원안길 · 궁평고잔길 · 궁평웃말길 · 귀래길 · 귓골길 · 글판동길 · 금당길 · 금반길 · 금배들길 · 금복길 · 금의당골길 · 금의솔안길 · 기린골길 · 기린길 · 기산말길 · 길목길 · 길성길 || || '''{{{#white ㄴ}}}''' || 남여울길 · 남이로넘말길 · 남촌길 · 낭내기길 · 내간곡길 · 내향안길 · 너더리길 · 노가리길 · 노노피길 · 노들길 · 노루고개길 · 노진길 · 노하길 · 녹막말길 · 놋우물길 · 느지지길 · 는나루길 · 늘미길 · 늠말길 · 능산길 || || '''{{{#white ㄷ}}}''' || 다람산공원길 · 담밭성지길 · 당고지길 · 당너머길 · 대사곡길 · 대수풀길 · 대평안길 · 댕이안길 · 덕고개길 · 덕다길 · 덕다주택길 · 덕머루길 · 덕목길 · 덕우공단길 · 덕위길 · 덕절전원길 · 덕절제기길 · 덕절중앙길 · 덕절창말길 · 도이길 · 도이하가등길 · 독곡길 · 독정길 · 독정안길 · 독줄길 · 독지골길 · 독지길 · 돌서지길 · 돌팍재길 · 동막골길 · 동막길 · 동막안길 · 동산재길 · 동오길 · 동이길 · 동이골길 · 동촌길 · [[동탄대로시범길]] · 동탄반송길 · 동탄산단길 · 동탄소라길 · 동탄중삼상가길 · 동탄호수길 · 동편길 · 동학산길 · 동화길 · 동화북길 · 동화새터길 · 동화역말길 · 돛뿌리길 · 두곡길 · 두렁바위길 · 두레길 · 두머리길 · 두뫼길 · 드랭이안길 || || '''{{{#white ㅁ}}}''' || 마곡길 · 마산길 · 마산포길 · 만곡동길 · 망월길 · 매골길 · 매봉산길 · 매산리길 · 매송북길 · 매화길 · 머리울길 · 멱구지길 · 모래지길 · 모세골길 · 무봉길 · 문언동길 · 문지안길 · 문화마을길 · 미산길 || || '''{{{#white ㅂ}}}''' || 바다뜰길 · 바람고지길 · 바수게길 · 박고지길 · 반개골길 · 반월길 · 발라곳길 · 발산길 · 발안만세길 · 발안천길 · 발읍재길 · 밤뒤길 · 밤밭일원길 · 방골길 · 방축길 · 방축말길 · 배미길 · 배양길 · 배터길 · 백미길 · 백토관리길 · 버들안길 · 번던길 · 벌말길 · 범아지길 · 범허리길 · 보통내길 · 복만터길 · 봉가길 · 봉곡길 · 봉황길 · 북촌길 · 분천길 · 분토길 · 비우물길 || || '''{{{#white ㅅ}}}''' || 사강시장길 · 사격장길 · 사곡동길 · 사말길 · 사랑길 · 사릅재길 · 사창길 · 사챙이길 · 산운내길 · 살곶이길 · 살띄길 · 삼미재길 · 삼밭골길 · 삼봉길 · 삼수문길 · 삼암길 · 삼화길 · 상두원길 · 상리길 · 상리중심상가길 · 상방길 · 상봉길 · 상신초교길 · 상하저길 · 새랭이길 · 새말길 · 새말안길 · 새터말길 · 샘마을길 · 샘실길 · 생수길 · 생이길 · 서근내길 · 서낭목길 · 석달리길 · 서봉산길 · 서촌길 · 석교안길 · 석천길 · 석포공단길 · 선창길 · 성신재길 · 성재길 · 성주골길 · 소개무골길 · 소고지길 · 소리산길 · 속뜸길 · 손개길 · 솔미마을길 · 솔안길 · 솔태상두길 · 송교길 · 송라길 · 송말길 · 송산산단길 · 송정동길 · 쇠경주길 · 쇠틀길 · 수기안길 · 수리재길 · 수면길 · 수문재길 · 수작이길 · 수정고개길 · 수촌길 · 수촌큰말길 · 수풀오얏길 · 숙곡길 · 승저골길 · 시냇말길 · 식골길 · 신광길 · 신리길 · 신백길 · 신새말길 · 신수길 · 신양길 · 신양하가등길 · 신천길 · 신촌길 · 신흥길 · 신흥사길 || || '''{{{#white ㅇ}}}''' || 아랫거리길 · 아랫사내길 · 안길동길 · 안념길 · 안녕길 · 안당하리길 · 안두미길 · 안벼슬길 · 안산동길 · 안산말길 · 안석길 · 안요골길 · 앞실길 · 야목길 · 야목동길 · 약수터길 · 양간큰말길 · 양석골길 · 어섬길 · 언창공단길 · 언창길 · 여술길 · 여의동길 · 염전길 · 영종이길 · 영지길 · 오궁길 · 오두물길 · 오래길 · 우류울길 · 오얏리길 · 옥천길 · 온석길 · 와우안길 · 왕림길 · 왕모대길 · 왕배산길 · 왜골길 · 외간곡길 · 요골길 · 요당길 · 요댕이길 · 요당골길 · 용소말길 · 용수길 · 용토길 · 우등길 · 우무골길 · 우산나무길 · 운평길 · 웃음길 · 원골길 · 원금의길 · 원목길 · 원안길 · 원안동길 · 원오일길 · 원정길 · 원천길 · 월문길 · 월지동길 · 월촌길 · 윗사내길 · 윗생이길 · 유리마을길 · 유포길 · 육교동길 · 육일길 · 율암길 · 은골길 · 은수포길 · 은쟁이길 · 은행동길 · 음양길 · 응겁이길 · 이화길 · 일묵동길 · 임벗봉죽길 · 입파길 || || '''{{{#white ㅈ}}}''' || 자울길 · 작골길 · 작은낭깨길 · 작은돌래길 · 작현길 · 장덕동길 · 장등길 · 장명길 · 장승백안길 · 장안고잔길 · 장안공단길 · 장안당골길 · 장작원길 · 장전길 · 장주기길 · 장짐길 · 장포길 · 장포한말길 · 장호동길 · 재안골길 · 전곡산단길 · 전나무골길 · 전디길 · 전원길 · 절골안길 · 점말길 · 점촌길 · 정남산단길 · 정도길 · 정문길 · 정송길 · 제기길 · 제부말길 · 제암길 · 제약공단길 · 조리울길 · 조암각골길 · 조암말미길 · 조암암말길 · 조암죽말길 · 족다리길 · 줄터길 · 중리길 · 중송길 · 중원길 · 중하저길 · 증거길 · 지산길 · 지월길 · 진개골길 · 진개울길 · 진등길 || || '''{{{#white ㅊ}}}''' || 참냉기길 · 참샘길 · 창말안길 · 창작마을길 · 천등길 · 천석사길 · 청궁안뜰길 · 청덕동길 · 청룡길 · 청원산단길 · 칙골길 · 칠곡길 || || '''{{{#white ㅋ}}}''' || 칼바위길 · 큰길목길 · 큰나래길 · 큰낭깨길 · 큰말안길 · 큰사수러저길 · 큰재봉길 || || '''{{{#white ㅌ}}}''' || 탄요길 · 태봉길 · 태봉산길 · 토화길 || || '''{{{#white ㅍ}}}''' || 평길 · 평밭길 · 포당길 · 풍무길 || || '''{{{#white ㅎ}}}''' || 하가등길 · 하가등안길 · 하나문길 · 하복골길 · 하저길 · 한가울길 · 한두골길 · 한말길 · 한말배미길 · 한뿌리길 · 한신대길 · 한절이길 · 한천길 · 함박길 · 해안길 · 해창길 · 형제봉길 · 호곡길 · 호련길 · 홍난파길 · 홍법사길 · 화당길 · 화수길 · 황계길 · 황골길 · 후곡길 · 흔들길 · 흥천길 · 흰돌산길 || ||<-2> ||}}}}}}}}} || 화성시는 이상하게 '로'보다 '길'이 많다. 왕복 '''6차선'''인 동화길이 대표적.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 [[경부고속도로|[[파일:Korean_Highway_logo.png|width=25]]]] [[경부고속도로|'''{{{#white 경부고속도로}}}''']] || || [[기흥동탄IC|{{{#3f3f7f 기흥동탄IC}}}]] ||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파일:Korean_Highway_logo.png|width=25]]]]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white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 [[마도IC|{{{#3f3f7f 마도IC}}}]] || || [[화성IC|{{{#3f3f7f 화성IC}}}]] || || [[남비봉IC|{{{#3f3f7f 남비봉IC}}}]] || || [[남봉담IC|{{{#3f3f7f 남봉담IC}}}]] || || [[정남IC|{{{#3f3f7f 정남IC}}}]] || || [[동탄IC|{{{#3f3f7f 동탄IC}}}]] || || [[평택파주고속도로|[[파일:Korean_Highway_logo.png|width=25]]]] [[평택파주고속도로|'''{{{#white 평택파주고속도로}}}''']] || || [[봉담IC|{{{#3f3f7f 봉담IC}}}]] || || [[향남IC|{{{#3f3f7f 향남IC}}}]] || || [[양감IC|{{{#3f3f7f 양감IC}}}]] || || [[오산화성고속도로|[[파일:Korean_Highway_logo.png|width=25]]]] [[오산화성고속도로|'''{{{#white 오산화성고속도로}}}''']] || || [[안녕IC|{{{#3f3f7f 안녕IC}}}]] || || [[서해안고속도로|[[파일:Korean_Highway_logo.png|width=25]]]] [[서해안고속도로|'''{{{#white 서해안고속도로}}}''']] || || [[발안IC|{{{#3f3f7f 발안IC}}}]] || || [[비봉IC|{{{#3f3f7f 비봉IC}}}]] || || [[매송IC|{{{#3f3f7f 매송IC}}}]] || || [[평택시흥고속도로|[[파일:Korean_Highway_logo.png|width=25]]]] [[평택시흥고속도로|'''{{{#white 평택시흥고속도로}}}''']] || || [[조암IC|{{{#3f3f7f 조암IC}}}]] || || [[송산마도IC|{{{#3f3f7f 송산마도IC}}}]] || === 고속화도로 === * [[봉담과천로]] * [[비봉매송로]] === [[국도]] === ||<-5> {{{#fff '''화성시 경유 국도'''}}} || || [[1번 국도]] || [[39번 국도]] || [[43번 국도]] || [[77번 국도]] || [[82번 국도]] || 국도로는 위의 5개가 지나간다. 국도 상황은 다음과 같다. * [[1번 국도]]([[경기대로(경기)|경기대로]]): [[병점]]의 주간선도로. [[오산시]]에서 넘어와 [[동탄신도시]] 서쪽을 잠깐 지나 [[수원시]]로 넘어간다. 화성시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을 담당하는 데다가 경기도의 주간선도로인 만큼 교통량이 터져나간다. * [[39번 국도]]([[서해로]]): [[평택시]]에서 넘어와 [[향남읍|향남]] - 팔탄 - 비봉 - 매송을 거쳐 [[안산시]]로 넘어간다. [[서해안고속도로]]의 우회도로로 사용되고, 북쪽의 [[팔탄면|팔탄]], [[비봉면(화성)|비봉]], [[매송면|매송]] 지역은 마땅한 도로가 없어 상습정체 구간 중 하나이다. * [[43번 국도]]: 본래 평택시에서 넘어와야 하나 평택 - 화성 구간이 미개통이라 실질적으로 [[양감면|양감]]에서 출발해 향남과 [[봉담읍|봉담]]을 거쳐 [[수원시]]로 넘어간다. 향남, 봉담 지역에서 수원시로 진출하는 데에 사용된다. * [[77번 국도]]: 평택시에서 넘어와 [[우정읍|우정]] - [[남양읍|남양]]을 거쳐 [[안산시]]로 넘어간다. [[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내로 진입하는 유일한 국도인데, [[82번 국도]] 중첩구간과 북쪽의 남양 - 안산 구간은 최근에 도로가 개통되어 왕복 4차로로 고속화가 잘 되어 있지만, 그 이외 구간은 왕복 2차로에 도로 선형이 썩 좋지 않다. 특히 미개통 상태인 우정 - 남양 사이의 화성호 구간은 화성시 측에서 간척보다는 습지보전으로 방향을 잡은 상태라 도로가 개설될지도 미지수이다. * [[82번 국도]]([[포승향남로]]): 77번 국도와 중첩되어 평택시에서 넘어와 양감면에서 끝난다. 전 구간이 왕복 4차로 이상으로 고속화가 되어 있어 화성시 국도들 중 도로 상태가 가장 좋다. 평택과 화성을 잇는 39번 국도의 우회로 역할을 맡고 있다. === [[지방도]] === ||<-12> {{{#fff '''화성시 경유 지방도'''}}} || ||<-5> [[23번 지방도]] ||<-5> [[82번 지방도]] || ||<-5> [[84번 지방도]] ||<-5> [[301번 지방도]] || ||<-5> [[302번 지방도]] ||<-5> [[305번 지방도]] || ||<-5> [[306번 지방도]] ||<-5> [[309번 지방도]] || ||<-5> [[310번 지방도]] ||<-5> [[311번 지방도]] || ||<-5> [[313번 지방도]] ||<-5> [[314번 지방도]] || ||<-5> [[315번 지방도]] ||<-5> [[317번 지방도]] || ||<-5> [[318번 지방도]] ||<-5> [[322번 지방도]] || == 해운 == [[제부도]]가 연륙되어 해운이 필요없을 것 같지만 부속도서가 있다. 우정읍에 속해 있는 입파도와 [[국화도]]로, 궁평항에서 국화도를 거쳐 입파도로 가는 도선이 하루 3회 운행되고 주말에는 증회 운행한다. 이 두 섬은 화성시 육지부보다 [[당진시]]와 훨씬 가까운데, 그러다보니 당진 장고항에서 국화도까지 하루 6회 도선이 운행되고 소요시간도 1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 어항 == * 국가어항 : 궁평항 * 지방어항 : [[전곡항]], 제부항 * 어촌정주어항 : 고온항, 국화항, 도리도항, 매향2항, 백미항, 송교항, 입파항 * 소규모어항 : 석천항 * 포구 : 선창포구 * 총계 : 13개소 == 문제점 == 2018년 12월 19일 정부에서 발표한 3기 신도시 관련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을 발표하면서 동탄신도시는 이에 철저히 외면되었다는 반발이 심해지면서 당월 29일 촛불집회를 예고하기도 하였다. 이같이 1/2신도시를 가르는 경부고속도로의 지하화 연기문제와 광역 고속철도역인 동탄역이 존재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1신도시에 비해 열악한 환경임은 달라지지 않았고 상기했듯 현시점에서 1신도시를 수원권 지역이라고 보는 시각은 있을지 몰라도 현실적으로 2신도시의 경우는 오산권이라고 볼 수 있을만큼 남쪽이여서 이에 따른 교통 노선들의 선형 및 배차문제가 엮이면서 좋지 못한 평가를 받고 있다. 동탄신도시는 많은 인구가 거주중임에도 동탄 도시철도가 내년에 공사가 시작하므로 동탄에서는 무조건 버스, 공공전기이동수단(대표적으로 [[일레클]], [[지바이크]], [[카카오T]], [[스윙]] 등)를 이용해야 쉽게 이동할 수 있는데 버스가 배차라도 좋으면 다행, 하지만 동탄은 버스배차도 경기도라고 믿지 못할정도로 길고 타 지역 지방지역보다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아, [[동탄1신도시]]는 그래도 배차가 좋은 수원버스가 잘 들어오지만 [[동탄2신도시]]는 사람이 사는게 신기할정도. 버스 노선은 많지만 배차는 진짜 안좋다... 심지어 버스 노선을 계속 수정하고 이번에도 [[화성 버스 6011]]을 개통하여 또 다른 노선 버스를 감차시켜 배차가 계속 늘어난다 심지어 새로 개통한 노선도 배차가 좋은적이 없다 대표적으로 [[광역급행버스 M4448]], [[화성 버스 6011]], [[화성 버스 6002-1]]... --시발년들 그럴거면 주요노선만 남기고 다른 노선 다 없애라고-- 아무튼 사실상 동탄주민들은 공공전기이동수단을 매우 많이 선호한다. 초등학생들도 타고다니고 고등학교 앞, 광역버스정류장 앞, 대형상가 앞은 한 쪽에 쌓여있다. 출퇴근 인구의 증가 대비 대중교통의 확충이 이뤄지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0957|[르포] 매일 3시간 고난의 통근길…"왜 동탄에 와서 이 고생을"]] 또한 우정읍과 향남읍에서도 문제가 있었는데, 사당역과 [[수원역]]으로 가는 [[경진여객]]의 버스가 시외버스여서 조암에서 사당을 가려면 무려 4,300원이라는 어마무시한 요금을 물었어야 했었다. 이 문제는 지역 의원, 화성시장에게도 중요한 의제가 되어 모든 시외버스가 광역버스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https://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820_0010236934&cID=10803&pID=10800|화성시, R8155번 버스(조암∼사당역) 시내버스로 전환]] [[http://m.newspim.com/news/view/20190228000450|화성시, 조암-수원 간 시외버스 2개 노선 '시내버스' 전환]] [[분류:화성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