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화성-11가}}}'''[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 [[화성 미사일|{{{#fff 화성 미사일}}}]]의 한 종류}}}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north korea Iskander.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north korea Iskander.2.jpg|width=100%]]}}}|| ||<-2> 2018년 2월 8일 [[조선인민군]]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북한|열병식]]에서 공개되는 모습 || || {{{#024fa2 '''북한 명칭'''}}} ||《화성-11가》형 || || {{{#024fa2 '''국방백서 표기'''}}} ||19-1 SRBM, 조선인민군 이스칸데르형 전술유도탄[* 2022년 국방백서상의 표기로, 언론과 민간 전문가들의 명명법을 수용했다.] || || [[KN 코드|{{{#024fa2 '''KN 코드'''}}}]] ||KN-23, || || {{{#024fa2 '''최대사거리'''}}} ||800km || || {{{#024fa2 '''이명'''}}} ||북한판 [[9K720 이스칸데르|이스칸데르]], 킴스칸데르, 북판 이스깐제르 || || {{{#024fa2 '''운용부대'''}}} ||조선인민군 제640미싸일병려단, 철도기동미싸일련대 등 || ||<-2> [[KN-23#s-2|{{{#024fa2 '''[상세 제원 보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화성-11가는 북한에서 개발한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널리 쓰인 명칭인 'KN-23'은 미국측 넘버링이고,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는 19-1 SRBM으로 호칭했다가 '이스칸데르형 전술유도탄'으로 국방백서 표기를 바꾸었다.[* 2019년 대한민국 단독의 표기법을 따로 만들기도 했었다. [[http://biz.heraldcorp.com/military/view.php?ud=20200120000362|#]]] 이는 미사일 외형 공개 직후 언론이나 국내외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이명 '북한판 이스칸데르'를 수용한 것이다. == 제원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23-3.jpg|width=100%]]}}} || || 언론에서 분석한 KN-23의 제원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23과 KN-23 개량형의 제원 비교.png|width=100%]]}}} || || FRS 연구진들이 추정한 화성-11가와 고중량탄두형 간의 제원 비교 || 2019년 당시 제원으로, 철도 발사형 모델 공개 이후 사정거리가 재평가 된 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길이는 7.74m, 직경 1.78m, [[원형공산오차]]는 35m로 평가된다. [[https://www.nonproliferation.eu/hcoc/wp-content/uploads/2023/01/NORTH-KOREAN-SHORT-RANGE-SYSTEMS.pdf|'NORTH KOREAN SHORT RANGE SYSTEMS'{{{-2 (PDF, p.81)}}}]]라는 보고서에서 산출했다. 프랑스 전략연구재단(FRS, Fondation pour la Recherche Stratégique) 연구원들[* 공동 저자: Mr Stéphane Delory, Dr Antoine Bondaz, Mr Christian Maire]이 작성하여 EU 비확산·군축 컨소시엄에서 2023년 1월 내놓은 보고서로, [[조선중앙통신]] 공개 사진과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공개한 발사 데이터, 유럽 지구 환경 관측 분야 위성인 센티넬 위성[* 산사태, 유실, 해수면 상승 등을 관측하는 목표의 위성군이다.]의 레이더로 촬영한 [[알섬(화대군)|알섬]] 사진과 대조하여 산출한 결괏값이다. == 특징 == [[2018년]] [[2월 8일]] 열병식에서 [[9K720 이스칸데르]]와 아주 유사한 형태의 미사일을 등장시켰다. 심지어 [[이동형 미사일 발사대|TEL]][* Transporter erector launcher. [[미사일]]의 운반 및 발사에 사용되는 이동식 발사대 차량을 의미한다.]에 2발이 실리는 것까지 이스칸데르와 매우 유사하지만 [[38노스]]의 분석에 따르면 세부적인 모습은 이스칸데르나 [[화성-11|KN-02 독사]]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6>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99394858485434.jpg|width=100%]]}}} || || [[북한|[[파일:북한 국기.svg|width=23]]]] 화성-11가 || [[북한|[[파일:북한 국기.svg|width=23]]]] 화성-11나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현무-Ⅱ ||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이스칸데르 || [[우크라이나|[[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그롬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3]]]] 둥펑-12 || ||<-6>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Norbert Brügge이 비교한 각국의 지대지 탄도미사일들[br]그는 이 미사일이 [[북극성-2]]의 개량형이지 [[이스칸데르]]와는 형태만 닮았을 뿐이라는 [[독자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그가 붙인 미사일 명칭들은 북한 제식명칭은 물론이고 한미 민간 기고가들이 쓰는 명칭과도 완전히 다름에 유의할 것.] || 적어도 본 미사일은 이스칸데르를 표방하여 개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최근 개발되는 단거리 탄도탄들은 모두 [[9K720 이스칸데르]]와 유사한 크기, 형태, 성능으로 [[수렴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형태만 유사할 뿐, [[KN-11|북극성]]과 더 닮아있다는 반론도 있다. Norbert Brügge의 비교 사진 [[http://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Pukguksong_GLBM-2/analysis4_a.jpg|#]]을 참조할 것. 초기 시험 발사 당시 사거리는 언론사 별로 [[9K720 이스칸데르|이스칸데르]] 및 [[현무-II|현무-IIB]]와 대입해가며 추정할 뿐이었다. 추후 800km까지 기록하면서 상당한 사정거리를 가짐이 밝혀졌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그 어떤 미사일보다도 [[대한민국]]에게 가장 위협적인 무기로 평가하기도 한다. 화성-10~15형 시리즈는 어차피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대륙간 탄도 미사일]]급이라서 사실 [[대한민국]]보다는 [[미국]], [[일본]]을 겨냥한 무기이지만 이 신형 미사일은 사정거리로 보아 사실상 '''한반도만을 목표'''로 하는 [[탄도미사일]]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복잡한 비행궤도로 인해 요격 확률이 떨어질 뿐더러 [[부산광역시]]나 [[진해구]] 등 최후방에 있는 전략적 가치를 지닌 큰 항구들을 직접 공격할 수 있는 수단이라 [[미군]]의 증원이나 해군기지에 큰 위협으로 작용 할 수 있다. 게다가 대형화 탄두와 [[열차]]로 이동하며 발사하는 개량형까지 나왔다. 해당 미사일의 준탄도궤적을 분석한 한국항공대 장영근 교수의 [[https://shindonga.donga.com/3/all/13/1764410/1|글]]이 있으니 참고해 볼 것. 해당 글에서는 저각발사에 대해 굉장한 놀라움을 표하고 있는데, 2022년에는 정점고도 20km의 초저각발사에도 성공했다. === 제식 명칭 === 이처럼 지대지 탄도 미사일 중 대표적인 것이 러시아의 [[9K720 이스칸데르]]이고, 이와 형상이 유사해 한국언론에서는 북한판 이스칸데르, 외신들은 킴스칸데르(Kimskander)라고 부르고 있다.[* [[https://www.aerospatium.info/pyongyang-tire-deux-missiles-tactiques/|#프랑스 언론의 보도]], [[https://www.konflikty.pl/aktualnosci/wiadomosci/korea-polnocna-kimskander-kolejowy-pocisk-balistyczny/|#폴란드 언론의 보도]]] 공식적인 [[KN 코드]]는 본 항목의 표제어처럼 KN-23이다. 2021년 10월 북한의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에서 [[자위-2021|《자위-2021》]]를 보도하면서 우리 전문가의 논평을 인용했는데, 그 과정에서 이 미사일을 '북판 이스깐제르'로 불렀다.[* [[파일:북측 KN-23 보도.png|width=50%&align=center]]] 'Исканде́р'를 북한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그 와중에 자기네들 입장에서는 비공식 명칭인 '[[북한]]'이라는 명칭을 쓰기 싫어서 굳이 '북판'이라고 불렀다. 한편 이 미사일이 [[화성 미사일]]의 일부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자위-2021》행사에서 공개한 안내판에는 [[화성-11나]]와 KN-23이 나란히 실려있는데, 북한 측은 일부러 기울인 사진 및 블러 처리를 통해 명칭 공개를 피했다. 이를 포토샵으로 보정해보니 글자 개수 및 형상으로 보아 '화성'글자 형상이 상당히 명확하고, '《화성-11▨》형'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https://aaronoh.tistory.com/3|#]] 2023년 3월 28일, 조선중앙통신이 핵탄두 '화산-31'을 공개하면서 등장한 안내판을 보면 [[조선인민군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고중량유도탄]]이 화성-11▨[* '다' 혹은 '마'에 가깝게 보인다. '가'로는 볼 수 없다.], [[조선인민군 근거리형 전술유도탄|근거리형 유도탄]]이 화성-11라, SLBM 개량형이 화성-11ㅅ임을 확인할 수 있다.[* [[화성-11나]] 역시 《화성포-11나》형으로 등장했다.] 개발 순서를 생각하면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보다 앞선 [[가나다순]]을 부여받았을 것이다. 이로 보자면 '화성-11가'가 더 타당해 보인다. 다만 1번의 가지 번호의 시작을 1-1로 하기도 하고, 1-2로 하기도 하는 것처럼[* 예컨대 대한민국의 [[법 조문 체계]]에서 제1조와 제2조 사이의 조는 '제1조의2'가 된다. 한편, 1번과 2번 사이의 번호를 1-1번으로 하는 예도 쉽게 찾을 수 있다.] '가형'이 따로 없고 '나형'부터 존재한다면 본 미사일이 '다형'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22년 10월부터 [[자주시보]]의 한호석은 특별한 정보 출처를 밝히지 않은 채, 화성포-11형에는 가형과 나형이 존재한다며 본 미사일을 '화성포-11가형'으로 지칭하고 있다. 이후 2023년 7월 26일, 세르게이 쇼이구를 데리고 진행한 [[무장장비전시회-2023]]에서 《화성-11가》형임이 공식 공개되었다. ||<-6>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지상대지상전술탄도미싸일.jpg|width=100%]]}}} || || 지상대지상전술탄도미싸일[br]'''《화성-11가》형''' || === 운용 부대 === ||<-6>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제640미싸일병려단.jpg|width=100%]]}}} || || KN-23과 제640미싸일병려단(미사일병여단) || [[2023년 2월 8일 북한 열병식]]에서 '''제640미싸일병려단'''이라는 부대기를 앞세웠다. [[조선인민군 전략군]]의 편제가 '여단급'으로 이루어졌다는 한미 측의 평가 및 중국의 언론 보도를 고려하면 그러한 여단 중 하나로 보인다. 하지만 열병식 직전 [[미싸일총국]]이라는 조직이 공개되었고, 해당 여단 병사들이 미싸일총국의 군복과 [[조선인민군 륙군]] 군복을 입은 인원들로 혼재되어 구체적인 인력 배치는 미궁이다. 전략군은 사막복을 입기 때문. 이후 2023년 3월 발사에서 사막복이 아닌 미싸일총국용 군복을 입은 병력을이 본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이 보도되었다. === 다양한 발사 플랫폼 === ||<-6>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Jmr6JK1jKR4)]}}} || || KN-23의 발사 플랫폼을 정리한 그래픽 자료 || 확인된 KN-23 및 그 개량형의 발사 플랫폼은 다음과 같다. ① 차륜형 TEL ② 무한궤도형 TEL ③ 철도기동형 ④ SLBM형 ⑤ 저수지 바지선 ⑥ 고정식 반지하 사일로 북한은 같은 미사일을 다양한 발사 플랫폼에 탑재하고, SLBM용으로 개량하는 등의 노력을 벌이고 있다. == 시험발사 == KN-23은 [[2019-2020년 북한 미사일 도발]]의 장대한 포문을 연 신형 미사일이었다. 북한이 선보인 신형 미사일 중 단연 주목도가 높기도 했다. KN-23 계열을 모두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배경색은 영문 위키백과의 발사체 성공/실패 템플릿 분류에 따름## ||<-7> KN-23 계열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 일지 || || 날짜 || 형태 || 발 수 || 발사 플랫폼 || 위치 || 탄착지점 || 임석 상관 || || 2019.05.04. ||<|4> 기본형 || 1발 || 4축 8륜 TEL || [[함경남도]] [[금야군]] ||<#90ee90,#004700> 동해상 ||<|4> [[김정은]] || || 2019.05.09. || 2발 || 무한궤도형 TEL || [[평안북도]] [[구성시]][br][[https://www.google.com/maps/place/40%C2%B001'46.8%22N+125%C2%B013'38.4%22E/@40.0298217,125.2260707,849m/data=!3m1!1e3!4m5!3m4!1s0x0:0x6458b608dbe4967a!8m2!3d40.029678!4d125.227326|40.029678°N, 125.227326°E]] ||<#90ee90,#004700> 동해상 || || 2019.07.25 || 2발 || 4축 8륜 TEL || 함경남도 금야군 ||<#90ee90,#004700> 동해상 || || 2019.08.06 || 2발 || 4축 8륜 TEL || [[황해남도]] [[과일군]] ||<#90ee90,#004700> [[알섬(화대군)|알섬]] || || 2020.03.25. || 대형화 개량형 || 2발 || 5축 10륜 TEL || 함경남도 [[함주군]] || 동해상 || 리병철 || || 2020.09.15. || [[KN-23/열차 발사형|열차 발사형]] || 2발 || 3량 1편성 열차 || 평안남도 [[양덕군]] 평라선 연선[br][[https://www.google.com/maps/place/39%C2%B016'31.6%22N+126%C2%B048'17.1%22E/@39.2754485,126.8025613,858m/data=!3m2!1e3!4b1!4m5!3m4!1s0x0:0xe5e19cba15b2cff5!8m2!3d39.2754444!4d126.80475|39.2754485°N, 126.8025613°E]] || 동해상 || [[박정천]] || || 2021.10.19. || SLBM 개량형 || 1발 || [[8.24 영웅함]] || [[신포시]] 앞바다 || 동해상 || 유진, 김정식 || || 2022.01.14. || 열차 발사형 || 2발 || 3량 1편성 열차 || 평안북도 [[피현군]] [[백마선]] 연선[br][[https://www.google.com/maps/place/40%C2%B001'34.5%22N+124%C2%B034'44.0%22E/@40.026245,124.577304,849m/data=!3m2!1e3!4b1!4m5!3m4!1s0x0:0x7ac7aaef953e31df!8m2!3d40.026242!4d124.578897|40.026242°N, 124.578897°E]] ||<|2> 알섬 ||<|2> 지휘 간부 || || 2022.01.27. || 탄두 개량형 || 2발 || 5축 10륜 TEL || 함경남도 [[함흥시]][br][[https://www.google.com/maps/place/39%C2%B048'44.7%22N+127%C2%B039'49.7%22E/@39.8116608,127.6631796,2095m/data=!3m1!1e3!4m5!3m4!1s0x0:0x1deaf86c901767ba!8m2!3d39.812425!4d127.6638139|39.8117°N,127.6632°E]] || || 2022.05.07 || SLBM 개량형 || 1발 || 미상 || [[신포시]] 앞바다 || 동해상 || 미상 || || 2022.06.05. || 기본형 || 2발 || 미상 || 순안, 개천, 동창리, 함흥 중 한 곳 || 동해상 || 미상 || || 2022.09.25. || SLBM 개량형 || 1발 || 바지선 || [[태천 저수지]] || 동해상 ||<|4> 김정은 || || 2022.09.28. || 대형화 개량형 || 2발 || 5축 10륜 TEL || 평양시 순안구역[br][[https://www.google.com/maps/place/39%C2%B012'10.8%22N+125%C2%B042'33.4%22E/@39.202915,125.7064187,16.5z/data=!4m5!3m4!1s0x0:0xd459480b4c60ccbb!8m2!3d39.202995!4d125.709263|39.202995° 125.709263°]] || 동해상 || || 2022.10.01. || 기본형 || 2발 || 4축 8륜 TEL || 평양시 순안구역 || 동해상 || || 2022.10.06. || 기본형 || 1발 || 4축 8륜 TEL || 평양시 삼석구역 || 동해상 || === 1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23의 모습.png|width=100%]]}}} || || KN-23의 1차 시험 발사 || 북한이 2019년 5월 4일 동해상으로 수발의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그중 한 발이 이것으로 확인되었다.[[https://news.v.daum.net/v/20190505093849224?f=p|관련기사]] 탑재차량도 달라졌는데 이전에 공개된 버전은 상용차량 수준에 미사일을 탑재했다면 이번에는 새로운 TEL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화성-15|화성-15형]]의 TEL에 이어서 새로운 군용차량으로 보인다. 화성-15형처럼 기존 비슷한 체급의 발사차량에 캐빈부분만 변경한 경우로도 보인다. 이후 북한이 다종의 모듈화된 TEL을 공개하면서 차체 캐빈에 대해서 제작하거나 수정할수 있을 정도의 역량은 갖춘것으로 보인다.] 발사 상황에 대한 사항은 [[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 문서 참조. 이후 플래닛 위성의 연기 포착, 유엔 패널 보고서의 분석 등에 따르면 발사 지점은 [[https://www.google.com/maps/place/39%C2%B024'32.3%22N+127%C2%B031'53.6%22E/@39.4053865,127.5317635,5457m/data=!3m1!1e3!4m4!3m3!8m2!3d39.4089583!4d127.5315639|N 39°24'32.25", E 127°31'53.63"]]로 특정되었다. === 2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image_readtop_2019_306951_15574412553743404.jpg|width=100%]]}}} || || 2019년 5월 9일, KN-23의 2차 시험 발사 || 5월 9일 발사에서 최대 비행거리가 420km인 반면 최고 고도가 불과 40km 정도였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외형 뿐만이 아니라 성능 역시 생각보다도 더 [[이스칸데르 미사일]]과 유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저각(Depressed) 비행은 미사일의 비행궤적 전체가 대기권 내에서만 이뤄지기 때문에 비행 전체 단계에서 조종날개를 이용한 기동을 할 수 있으며, [[THAAD]]와 같은 고고도 요격체계의 최소요격고도 밑으로 비행해 다층 미사일 방어체계의 '''상당수를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패트리어트와 같은 종말 요격체계로는 여전히 요격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사드-패트리어트 다층 요격체계의 장점인 2~3회의 요격기회 대신 단 1회의 요격기회만 주어진다는 점은 미사일 방어에 상당한 부담이 된다. 게다가 미사일이 종말단계에서 복잡한 회피기동을 할 수 있다면 패트리어트 1회의 요격확률은 더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비행 시간이 크게 줄어들어 상대방이 대응할 시간을 적게 주며, 비행고도가 낮으면 상대방이 미사일을 더 늦게 탐지하게 되므로 대응이 더 어려워지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 비록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이 실제로 비행 도중 기동을 했는지 등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공개된 사진 등의 정황을 볼 때 기동이 어느 정도는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남한]]이나 [[북한]]이나 원형인 이스칸데르에서 서로 동급이자 배가 다른 미사일을 만들어 대치하게 되었다는 게 증명되었다.[* [[현무 미사일]] 시리즈는 [[미국]]이 아니라 오히려 [[러시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잘 보면 TEL이 5월 4일 때와 다르다. 궤도형으로 추측된다. 당시 하천 위 콘크리트 다리 인근에서 발사한 것이 포착되어, 발사지점을 [[https://www.google.com/maps/place/40%C2%B001'46.8%22N+125%C2%B013'38.4%22E/@40.0298217,125.2260707,849m/data=!3m1!1e3!4m5!3m4!1s0x0:0x6458b608dbe4967a!8m2!3d40.029678!4d125.227326|40.029678N, 125.227326E]]로 특정할 수 있었다. === 3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23 3차 시험 발사.jpg|width=100%]]}}} || || 수풀 사이에서 발사되는 KN-23[* TEL을 찍은 사진 각도가 1차 시험발사 때와 거의 동일한 것이 특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n-23-2.jpg|width=100%]]}}} || || 우리 당국이 파악한 비행 고도 현황도 || 2019년 7월 25일 [[강원도]] [[금야군]][* 행정구역상 금야군으로, [[원산시]] 바로 근처라고 보면 된다.] 일대에서 [[동해|동해안]]으로 다시 KN-23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늘 오전 5시 34분과 5시 57분쯤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발사체 2발을 발사했으며, 비행거리는 약 430km"라고 밝혔다. 이는 5월 9일 도발로부터 78일만에 일어난 일이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367287|#]] 두 발 중 한 발은 690여km를 비행한 것으로 밝혀졌다.[[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0&oid=001&aid=0010981822|#]] 하지만 이는 지구 곡률상의 문제로 최종 탄착위치에 혼동이 있었음이 밝혀졌고 이후 2발 모두 600km를 비행했음을 최종적으로 밝혔다. 특히나, [[2019년 남북미정상회동]]이 성사된지 한달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북한이 다시 미사일 도발을 자행함으로서 [[문재인 정부]]의 대북유화책에 대한 회의론이 강해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그동안 정부는 북한의 발사체를 '''탄도미사일'''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극도로 꺼려왔지만, 이번 도발에서는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끝난 뒤 "새로운 종류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고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기에 출입기자들은 "오타가 아니냐"고 되묻기도 했고, 청와대 관계자는 "오타가 아니다"고 확인했다.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726/96706409/2|#]] 북한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이 직접 발사 현장을 참관했으며, '''저고도 활공도약형 비행궤도'''를 가진 미사일 개발에 성공했다고 치하했다고 한다. 이후 종말단계 탐지가 어려웠던 점을 고려, 일본과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를 이용한 정보 교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726111300504|#]] === 4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23 4차 시험 발사.png|width=100%]]}}} || || KN-23의 4차 시험 발사 || 2019년 8월 6일, [[황해남도]] [[과일군]]의 [[과일공항|과일비행장]]에서 2발을 또다시 시험 발사했다. 미사일 한 발은 [[남포시]]와 [[평양시]] 상공을 날아가도록 설정했다고 밝혔는데, 자기네들이 [[수도권]] 상공을 지나갔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의도적으로''' 평양 인근을 비행시켜 미사일의 안정성을 과시한 것으로 보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1006210|#]]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005774|#]] [[:파일:과일비행장에서 발사되는 KN-23.jpg|김정은이 보는 방향으로 산지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과일비행장 남동쪽에 TEL을 놓고 김정은은 북서쪽에 서서 지켜본 것으로 보인다. 과일비행장 북서쪽을 쳐다본다면 서해 바다 쪽이고 산지가 없다. === 5차 (탄두 개량형 1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23 2022년 개량형 시험 발사.jpg|width=100%]]}}} || || 2022년 1월 27일 시험발사 || 2022년 1월 27일, 함흥시 마전해수욕장에서 시험 발사 하였다. 정확히는 [[https://www.google.com/maps/place/39%C2%B048'44.7%22N+127%C2%B039'49.7%22E/@39.8116608,127.6631796,2095m/data=!3m1!1e3!4m5!3m4!1s0x0:0x1deaf86c901767ba!8m2!3d39.812425!4d127.6638139|39.8116608°N,127.6631796°E]]이다.[* [[조선인민군 장거리 순항미사일 B형|순항미사일 B형]] 발사장소와 겨우 500m 떨어진 곳이다. 조셈 뎀시의 분석. [[https://twitter.com/JosephHDempsey/status/1490658309589852160|분석 내용 출처]]] KN-23 대형화 개량형을 시험발사했던 5축 10륜 TEL에 KN-23을 싣고서는 짧은 사정거리로 발사했다. 표적은 알섬이었다. 21세기군사연구소 류성엽 연구위원 연구원은 '''[[열압력탄]]''' 가능성을 제기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128062500504?input=1195m|#]] 동시에 고도가 겨우 20km로 역대 KN-23 시험발사 중에 가장 '''저각발사'''였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128_0001741240&cID=10301&pID=10300|#]] 사거리를 190km로 줄이는 대신 요격망을 피하기 위한 저각비행을 한 것. === 6차 시험 발사 이후 === 이후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공개했다 비공개했다를 반복하면서 정확한 평가가 어려워졌다. 특히 미사일 발사 데이터만 가지고 [[화성-11나]],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 [[KN-25]]의 시험발사를 100%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추정) 6차 시험 발사: 2022년 6월 5일 발사한 8발 가운데 2발이 KN-23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사진 공개가 없었기에, 한미측 감시 자산을 통한 평가이다. * 7차 시험 발사: 2022년 10월 1일, 평양시 순안구역에서 2발을 발사하였다. 사진 공개가 있었다. * 8차 시험 발사: 2022년 10월 6일, 평양시 삼석구역에서 1발을 발사하였다. KN-25 1발과 섞어 쏘기를 했다. * (추정) 9차 시험 발사: 2022년 10월 14일, 평양시 순안구역에서 1발을 쐈다. 추후 사진 공개는 없었으나 언론은 KN-23으로 특정했다. * 10차 시험 발사: 2023년 3월 14일, 황해남도 장연군에서 청진시 피도를 향해 2발을 쐈다. 사진 공개가 있었다. * 북한은 이것이 '중등사거리체제'로 발사한 것이며, 시험 발사가 아니라 교육시범사격이었다고 주장하였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3.19. 사일로 발사 KN-23.png|width=100%]]}}} || || 지하에서 솟구치는 KN-23(연두색 원) || * 11차 시험 발사: 2023년 3월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 마련된 초기적인 [[사일로]]에서 시험 발사하였다. 북한 탄도미사일이 지하 사일로에서 발사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조셉 뎀시]], 스콧 라포이 등 서방 미사일 연구가들은 이 발사를 KN-23의 발사로 평가하였다.[* [[https://twitter.com/JosephHDempsey/status/1637587670506393602|조셉 뎀시]], [[https://twitter.com/wslafoy/status/1637615993173180418|스콧 라포이]]] 반면 노버트 브리게는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https://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Pukguksong_GLBM-3/index.htm|기고문]]] === 발사 미사일이 특정되지 않은 세 차례의 발사 === * 2022년 10월 28일 [[통천군]]에서 발사된 2발의 미사일이 본 미사일일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화성-11나]]를 통천군에서 쏜 적이 있기 때문에 화성-11나일 가능성도 크다. * 2022년 11월 9일 숙천군에서 발사된 1발의 미사일이 본 미사일이거나 화성-11나일 가능성이 있다. * 2022년 12월 23일 평양 순안구역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본 미사일이거나 화성-11나, KN-25,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일 가능성이 있다. == 분석 == === 우리 측의 분석 === 3차 시험 발사 직후 김정은은 '저고도 활공도약형 비행궤도'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즉 이스칸데르와 마찬가지인 변형 탄도궤도[* 준탄도 혹은 항공탄도라고도 한다.]를 가져 요격을 매우 어렵게 하는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한민국 국군의 탐지 자산들은 이 미사일의 '''종말 단계 비행궤적을 포착하지 못했다'''고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시인했다. 일부 언론에서는 2019년 현재 [[대한민국 국군]]이 보유한 요격 수단인 [[패트리어트 미사일|패트리어트]]나 [[천궁 대공미사일|천궁]]으로는 이 미사일의 요격을 장담할수 없는것이 아니냐는 기사도 내보냈다. 그러나 국방부는 이 탐지실패에 대해 지구의 곡률때문이라는 해석을 덧붙였다. 즉 [[북한]]이 우리나라보다 멀어지는 [[동해]] 방향으로 쏘았기에 [[수평선]]에 가려서 [[레이더]]로 탐지할 수 없는 것일 뿐, 전시에 남쪽으로 쏠 경우에는 포착을 못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군에서는 시뮬레이션상 [[이스칸데르 미사일|이스칸데르]]급이라 하더라도 [[방유사|요격]]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466064|#]][* 단, 기사는 시뮬레이션으로만 확인한 것일 뿐 실제 실험한 것이 아니므로 100% 신뢰할 수 없다는 다소 비판적인 입장으로 마무리하는 내용이다.] 전직 유도탄사령부 사령관인 [[김진홍(군인)|김진홍]] 예비역 소장 역시 [[북한]]의 미사일의 성능을 일부 함량미달 군사전문가들이 과장시켰을 뿐, 종말 단계에서는 [[마하]] 2급 수준이기에 요격 가능하다는 칼럼을 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4439932|#]]. 그렇지만 이 부분에는 탐지된 미사일의 궤적이나 고도별 속도변화에 관련된 자료 발표에 소극적인 자세를 취해 필요이상의 설레발을 치도록 자극한 군 당국의 문제도 있다. 그리고 어디까지나 요격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이지 반드시 100% 요격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그래도 KN-23은 기존의 방공체계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 반증이 예정보다 10개월이나 빨리 진행된 군의 [[패트리어트 미사일]] 개량사업과 2021년 4월에 발표한 [[천궁-II]][* 개발 당시 천궁 대공미사일 Block-II형]의 3배 가까운 배치 증강계획이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23의 원형공산오차.jpg|width=100%]]}}} || || [[아산정책연구원]] [[https://www.asaninst.org/contents/%EB%B6%81%ED%95%9C%EC%9D%98-%EC%9E%87%EB%8B%A8-%EB%AF%B8%EC%82%AC%EC%9D%BC-%EB%B0%9C%EC%82%AC%EC%97%90-%EB%8B%B4%EA%B8%B4-%EB%A9%94%EC%8B%9C%EC%A7%80-%EB%B6%81%ED%95%9C-%EB%AF%B8%EC%82%AC%EC%9D%BC/|보고서]]에서 분석한 KN-23의 공산 오차 || 북한이 과시한 정밀한 타격 능력도 사실인 것으로 평가된다. === 미국 및 유엔의 분석 === [[https://www.38north.org/2019/05/melleman050819/|38노스에서 공개한 분석]]. 단, 이는 5월 9일 2차 발사 전의 분석이므로 새로운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http://news.donga.com/3/all/20190517/95564626/1|주한미군 “北이 쏜 3발은 신형 탄도미사일” 결론]] 5월 17일경에 주한미군에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잠정결론 짓고 코드명을 KN-23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정보를 한국 국방부와 공유하였다. UN 안보리 패널 보고서 S/2020/151 부록 59번에 따르면 케이블 덕트의 상이한 구성은 KN-23과 이스칸데르의 내부 구조가 다름을 시사한다고 한다. === 민간 연구가의 분석 === [[https://www.nonproliferation.org/preliminary-analysis-kn-23-srbm/|제프리 루이스 미국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 비확산연구센터 소장이 6월 5일(현지시간)]]에 크기 제원 분석과 함께 500kg 핵을 탑재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490388|[단독]"5월 탄도미사일 北이 개발, 500㎏ 핵탄두 탑재 가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발사 시험 장면.png|width=100%]]}}} || 독일의 노버트 브리게는 '화성-14 발사 성공 축하연'에서 공개한 미상 미사일 발사 시험이 KN-23의 프로토타입이라고 주장했다. == 개량 및 파생형 == 북한은 본 미사일을 기본형으로 두고, 다양한 발사 플랫폼과 탄두를 운용하고자 하고 있다. 2022년 국방백서에서 주요한 북한 미사일 위협 중 하나로 평가되었다. === [[2021년]] 대형화 개량형 모델 공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선인민군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 === [[화성-11가/열차 발사형|열차 발사형 개량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성-11가/열차 발사형)] 2021년 9월 15일 바로 이 [[화성-11가]]형을 열차에 실어 발사했다. 2022년 1월 14일 한번 더 발사했다. 사장되었던 [[열차포]]의 부활인 셈이다. === [[SLBM]] 개량형 [[화성-11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성-11ㅅ)] 고체연료 계열인 [[화성-11]]에 '수중/수상'을 뜻하는 시옷을 붙인 명명으로 보인다. === 추정 소형화 개량형, [[화성-11라]] 공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성-11라)] 2022년 4월 16일 발사한 미사일이 이 미사일의 소형화 개량형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국방백서에서는 [[조선인민군 근거리형 전술유도탄|근거리형 전술유도탄]]으로 표기된 미사일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9K720 이스칸다르, version=88, paragraph=3.3, title2=조선인민군 전략군, version2=208, paragraph2=3.2.2, title3=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 version3=545, paragraph3=2.2.1)] [[분류:단거리 탄도 미사일]][[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2018년 공개]][[분류:전술 탄도 미사일]][[분류:화성 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