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5와 화성-6의 비교.png|width=100%]]}}} || || 화성-5(상단)와 화성-6(하단)의 비교[br]설명을 위해 화성-5 미사일 이미지는 반전시켰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이 [[스커드]]-B·C를 기반으로 개수한 변종이다. 화성-5와 화성-6 사이에는 사정거리를 빼고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분석에 따라서는 1m정도의 길이 차이가 있다. == 도색 == 최소 네 가지 이상의 도색이 존재한다. * 연록색-빨간색 * 은색-빨간색 * 진록색에 갈색 얼룩무늬가 가미된 도색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진록색-갈색 도색의 스커드 미사일.jpg|width=100%]]}}} || || 진록색-갈색 도색의 스커드 미사일 || * 통상적인 얼룩무늬 위장 도색 * 검은색: 스캔 사진본으로 도는 [[https://www.nocutnews.co.kr/news/605234|사진]]이다. 2009년 기사이니 그 전에 공개된 사진으로 보인다. 다만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노버트 브리게는 이 검은색 도색 스커드가 [[SCUD-ER]]의 초기형이라고 본다. [[http://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Scud/index.htm|#]] == TEL == * 김일성~김정일 시대에는 일본 [[카토 제작소]] 크레인을 개조한 자체 TEL을 사용하였다. [[https://twitter.com/fab_hinz/status/1359210798279712771|#]] * 이후 통상적인 SCUD 발사 차량인 MAZ TEL로 교체되었다. == 형식 == === 화성-5 === 북한이 이집트에서 들여와 역설계 생산한 사정거리 300km[* 강원도 평강군에서 쏜다고 가정할 경우 제주, 전남, 경남 대부분(부산, 울산, 통영, 창원 등)을 제외한 대한민국 전역, 북중 국경 서부가 사정권에 들어간다.]인 SCUD-B이다. 2014년에 활발히 발사했다. 2014년 이전 초창기 발사 시험들 당시 발사 과정을 지켜봤던 [[김길선]]의 화성-5 관련 증언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3rv7mO5DmQ|YTN 인터뷰의 12분 경]]. * [[https://www.yna.co.kr/view/GYH20140629000700044|발사사례 일람]] === 화성-6 === 북한이 이집트에서 들여와 역설계 생산한 사정거리 500km[* 강원도 평강군에서 쏜다고 가정할 경우 제주도를 제외한 대한민국 전역, '''일본''' 쓰시마 섬, '''중국''' 랴오닝성, 지린성, 산둥성, '''북러 국경선'''이 사정권에 들어간다.]인 SCUD-C이다. == 발사 일지 == === 화성-5로 추정되는 발사 === * '''2014년 2월 27일''': 17시 42분부터 깃대령에서 4발을 동해로 발사했다. 스커드-B로 특정되었다.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98129|#]] === 화성-6으로 추정되는 발사 === * '''2014년 3월 3일''': 오전 6시 19분 원산 및 깃대령 부근에서 2발을 동해로 발사했다. 500여 km를 비행했다. [[SCUD-ER]]이라는 추측도 있다. [[https://www.ytn.co.kr/_ln/0101_201403031121399195|#]] * '''2014년 6월 29일''': 새벽 5시에 원산 부근에서 발사했다. 500km를 날아갔다는 보도가 있어 SCUD-B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6987233|#]] 다음날 발사 장면을 공개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4년 6월 29일 스커드 발사.jpg|width=100%]]}}} || || 2014년 6월 29일 스커드 발사 ||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Norbert Brügge는 이 미사일을 [[화성-10]](무수단 미사일)이라 주장했으나, 잘못된 주장이다. [[https://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Hwasong-10/index.htm|#의 ' Not specified launch of an other HS-10 type' 부분]] 위 사진을 잘라놓은 것에 불과하다. * '''2014년 7월 9일''' 황해도 [[태탄비행장]][* 평산군이라는 보도도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11&aid=0002545993|#]] 그런데 '평산 태탄비행장'이라는 표현도 있어 혼란스럽다. 평산은 이북5도 행정구역으로든, 북한 행정구역으로든 태탄과 떨어져 있다. 평산에서 태탄까지 TEL이 이동해서 이렇게 표현했을수도 있다.] 인근에서 새벽 4시, 4시 20분에 SCUD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500km를 날아갔다. [[https://m.dailian.co.kr/news/view/446994|#]]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40711/65101629/1|#]] 다음날 SCUD TEL에서 미사일이 발사되는 장면을 공개했다. [[https://youtu.be/oyoMHBOBY_I|#]] [[https://news.sky.com/story/american-arrested-on-swim-to-see-kim-jong-un-10389504|사진 전체 보기]] 시험 발사 장면을 공개한 것은 최초이다. '발사 다음날 발사 사진(영상) 공개' 패턴이 처음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후 [[2016-2017년 북한 미사일 도발]]로 이어지게 된다. * '''2014년 7월 13일''': 새벽 1시와 1시 20분에 MDL에서 겨우 20km 떨어진 [[개성시]] 부근에서 미사일을 발사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7010940|#]] [[https://search.naver.com/p/crd/rd?m=1&px=571&py=451&sx=571&sy=451&p=hP%2Fpbwp0J1sssMlo6pVssssssmw-427519&q=%EA%B0%9C%EC%84%B1+%EC%8A%A4%EC%BB%A4%EB%93%9C+%EB%AF%B8%EC%82%AC%EC%9D%BC&ie=utf8&rev=1&ssc=tab.news.all&f=news&w=news&s=3n9n%2BRECsFBeRpqqq5PCZA%3D%3D&time=1643112749143&a=nws*b.tit&r=3&i=880003EB_000000000000000000023076&g=5023.0000023076&u=http%3A%2F%2Fwww.dailynk.com%2Fkorean%2Fread.php%3FcataId%3Dnk02601%26num%3D104124|#]] 500km를 날아갔다. SCUD-C 아니면 [[SCUD-ER]]로도 추정되었다. [[https://cm.asiae.co.kr/article/2014122615031738120|#]] 미사일 형상이 공개되지 않는 한 완벽히 알 수는 없을 듯. * '''2016년 3월 10일''' 5시 40분 경, 북한이 [[황주군]] 삭간몰 미사일 기지 인근에서 이 미사일 2발을 시험발사했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160312/76952660/1|#]] ‘해외 침략 무력’이 투입되는 적의 항구를 ‘핵 타격’ 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고 11일 보도함에 따라 [[주한미군]]과 관련된 항구가 이들의 타격 목표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일본]]도 NSC를 소집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60310045051073?input=1195m|#]] 아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탄두는 검은색, 발사체는 탁한 올리브색에 갈색 점이 붙어있는 도색이다. [[:파일:진록색-갈색 도색의 스커드 미사일.jpg|열병식에서 공개된 북한 스커드 미사일]]과 같은 도색이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년 3월 10일 스커드 2발 발사.jpg|width=100%]]}}} || || 2016년 3월 10일 북한 미사일 발사[br][[https://www.youtube.com/watch?v=vapfGg8XStc|#해당 발사 영상이 자료화면으로 사용된 YTN 보도]] || * '''2016년 7월 19일''', [[황해북도]][* 우리 [[이북5도]]식 행정구역으로는 황해도] [[황주군]] [[개성평양간 고속도로]] 상에서 발사했다. 3발 중에 한 발이 [[스커드]] 미사일(화성-6)이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160719019554014|#]] 처음에는 미군 전략사령부가 처음에는 노동 미사일 1발, 스커드 미사일 2발이라고 발표했으나, 다음날인 20일에 [[로동신문]]에 상세 사진이 공개되면서 그 추정이 깨졌다. [[http://biz.heraldcorp.com/military/view.php?ud=20160722000479&cpv=1|#]] [[https://www.yna.co.kr/view/AKR20160720015200014|#]]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년 7월 19일 북한 미사일 발사.jpg|width=100%]]}}} || || 2016년 7월 19일 북한 미사일 발사[br]왼쪽의 한 발이 스커드 미사일이다. || * '''2022년 11월 3일''', [[2022년 북한의 연쇄 도발]]에서 정말 오랜만에 쏴 주었다. 발사 지점은 곡산군. [[KN-23]]을 위시한 고체연료 탄도 미사일들이 선보이면서 뒤로 밀려났으나, 폐기하기 보다는 이렇게 쏘기 위해서라도 [[치장물자]]로 쌓아두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년 11월 3일 화성-5·6 시험발사.jpg|width=100%]]}}} || || 2022년 11월 3일 발사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스커드, version=195)] [[분류:단거리 탄도 미사일]][[분류:화성 미사일]][[분류:스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