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왕녀/선종 ~ 공양왕)] [include(틀:고려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고려 의종의 왕녀[br]{{{+1 화순궁주 | 和順宮主}}}'''}}}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려사 의종의 딸들 수정.jpg|width=100%]]}}} || ||<-2> {{{#670000 {{{-2 '''고려사 화순궁주 부분''' }}}}}} || || '''출생''' ||미상 || || '''사망''' ||미상 || || '''능묘''' ||미상 || || '''본관''' ||부계 - [[개성 왕씨]] 모계 - [[강릉 김씨|명주 김씨]] || || '''부모''' ||부왕 - [[의종(고려)|의종]] 모후 - [[장경왕후(고려)|장경왕후]] || || '''형제자매''' ||[[의종(고려)#가족관계|1남 3녀 중 3녀]] || || '''배우자''' ||[[광릉공|광릉공 왕면]][* [[공화후|공화후 왕영]]의 아들로 [[조선국 양헌왕|조선국 양헌왕 왕도]]의 증손] (廣陵公 王沔) || || '''봉호''' ||'''화순궁주(和順宮主)'''[* 《고려사》 종실열전과 공주열전] 순화궁주(順和宮主)[* 《고려사》 의종 세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 [[의종(고려)|의종]]과 [[장경왕후(고려)|장경왕후]]의 셋째 딸 == 생애 == 의종 11년인 1157년에 언니들과 같이 궁주로 책봉되었으며, 의종은 이날 밤 [[벼슬아치|재추(宰樞)와 근신(近臣)]]을 불러 [[수덕궁|천녕전(天寧殿)]]에서 곡연(曲宴)을 열었다. 《고려사》 종실열전과 공주열전에는 화순궁주(和順宮主)로, 《고려사》 의종 세가에는 순화궁주(順和宮主)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기록된 《고려사》에는 이런 [[오탈자|오기(誤記)]]가 흔하게 발견된다.] 이후 [[광릉공|광릉공 왕면]]과 혼안하였다. 광릉공 왕면은 [[신종(고려)|신종]]에게 수사공 상주국 광릉후(守司空 上柱國 廣陵侯)라는 벼슬을 하사받았고, 뒤에 승진시켜 광릉공(廣陵公)으로 삼았다. [[분류:고려의 공주]][[분류:개성 왕씨]][[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