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죠죠 월드 오브 프라이드/영웅]][[분류:엔리코 푸치]] [include(틀:죠죠 월드 오브 프라이드/영웅)] [목차] == 소개 == ||<|4>
<:> [[파일:캡처_2020_03_16_23_53_13_982.png|width=96]] ||<-6> {{{+1 {{{#ffd700 '''화이트 스네이크'''}}}}}} || || {{{#cd5c5c ''' ''무의미한 짓이다!'' '''}}} || ||<-6><:>{{{#e8fee7 본연의 힘 자체는 약하지만 온갖 방법으로 적을 속이고 괴롭히고 부담스럽게 하며, 적의 능력을 훔쳐 강력한 변수를 창출해 낼 수 있습니다.}}}|| == 능력치 == ||<-3> {{{#fff '''공식 스테이터스'''}}} || || {{{#white '''파괴력 D~C'''}}} || {{{#white {{{#00ffff ★}}}{{{#ff00ff ★}}}☆☆☆}}} ||<|2> {{{#white '''보조력 C'''}}}[br]{{{#white {{{#00ffff ★★}}}☆☆☆}}} || || {{{#white '''스피드 D'''}}} || {{{#white {{{#00ffff ★}}}☆☆☆☆}}} || || {{{#white '''사거리 C~B'''}}} || {{{#white {{{#00ffff ★★}}}{{{#ff00ff ★}}}☆☆}}} ||<|2> {{{#white '''철거력 E'''}}}[br]{{{#white ☆☆☆☆☆}}} || || {{{#white '''지속력 D~C'''}}} || {{{#white {{{#00ffff ★}}}{{{#ff00ff ★}}}☆☆☆}}} || || {{{#crimson '''무력화 A'''}}} || {{{#white {{{#00ffff ★★★★}}}☆}}} ||<|2> {{{#crimson '''난이도 A'''}}}[br]{{{#white {{{#00ffff ★★★★}}}☆}}} || || {{{#white '''성장성 D'''}}} || {{{#white {{{#00ffff ★}}}☆☆☆☆}}} || |||||| {{{#white '''화이트 스네이크'''}}} || ||||||{{{#white 6부 보스 푸치신부의 첫 스탠드입니다. 힘 자체는 약하지만 온갖 방법으로 적을 속이고 괴롭히고 부담스럽게 하며, 적의 능력을 훔쳐 강력한 변수를 창출해 낼 수 있습니다.}}} || || {{{#fff '''구분'''}}} || {{{#fff '''수치'''[br]'''(레벨 당 상승폭)'''}}} || {{{#fff '''최종 수치'''[br]('''15Lv.''')}}} || || {{{#fff '''공격력'''}}} || '''60(+9)''' || '''186''' || || {{{#fff '''체력'''}}} || '''580(+84)''' || '''1672''' || || {{{#fff '''마나'''}}} || '''420(+42)''' || '''966''' || || {{{#fff '''체력 재생'''}}} || '''3(+0.6)''' || '''10.8''' || || {{{#fff '''마나 재생'''}}} || '''3(+0.48)''' || '''9.24''' || || {{{#fff '''이동속도'''}}} || '''240(+0)''' || '''240''' || || {{{#fff '''사거리'''}}} || '''160(+0)''' || '''160''' || || {{{#fff '''방어력''' }}} || '''10(+1)''' || '''24''' || || {{{#fff '''저항력''' }}} || '''10(+1)''' || '''24''' || == 스킬 목록 == === Q - 소화액 === ||<-5>
|| ||<-2> {{{+2 {{{#ffd700 '''Q'''}}} }}} || {{{#ffd700 '''소화액'''}}} || ||<-2> [[파일:캡처_2020_03_16_23_53_21_831.png]] ||{{{#e8fee7 10초간 대상의 이동속도를 30% 감소시키고 체력 재생을 감소시킵니다. 적의 모든 회복 능력이 절반이됩니다. 대상이 사망하면 주변에 있는 적에게 소화액이 전이됩니다. {{{#00bcdf 초당 체력 재생 감소에 능력 효율 적용}}} }}}|| ||<-5><:>{{{#e8fee7 {{{#ffd700 대상}}}: 적 영웅 / 유닛 {{{#00bcdf 쿨타임}}} 24 / 23 / 22 / 21 {{{#00bcdf 마나 소모}}} 90 / 105 / 120 / 135 {{{#00bcdf 초당 체력 재생 감소}}} 10 / 14 / 18 / 22 }}} || >'''드디어... 완성되었나''' 대상의 회복능력을 절반으로 낮추고 체력 감소 디버프를 거는 스킬. 화이트 스네이크의 화력을 담당하는 두 스킬 중 하나로[* 나머지 하나는 환각], 마스터 시 340만큼의 체력감소를 적용시켜 '''실제로 소화돼서 녹아내리는듯한''' 체력 감소 효과를 보여준다. 회복 능력을 반감시키기 때문에 탱커 상대로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며, 어떤 포지션의 캐릭터든 10초동안 둔화를 걸기 때문에 한타가 많아지는 후반으로 갈수록 위력적으로 변하는 스킬이다. 화이트 스네이크가 라인에 설 경우 주로 적에게 디버프를 끼얹는 서브딜러 겸 서포터로서 활동하는데, 적 라이너와의 효과적인 딜교를 위해서는 이 스킬을 가장 먼저 선마하는것이 좋다. === W - 환각 투영 === ||<-5>
|| ||<-2> {{{+2 {{{#ffd700 '''W'''}}} }}} || {{{#ffd700 '''환각 투영'''}}} || ||<-2> [[파일:캡처_2020_03_16_23_53_26_547.png]] ||{{{#e8fee7 {{{#C724B1,#purple 긍지(칠흑의 의지) 적용시 - 환각의 쿨타임이 50% 감소합니다. 환각으로 은신한 후 은신이 풀리기 전 혹은 풀리고 2초 안에 시행한 첫 공격은 대상을 0.25초 기절시키고 대상이 영웅일 경우 돈을 100 훔칩니다. }}} 적의 시야를 속여 12초간 은신합니다. {{{#5dbb63 지속 효과}}}: 스킬 시전 거리와 능력 효율이 증가합니다. {{{#00bcdf {{{#white ♧}}}특성 강화 적용시 - 집중 속도가 25% 증가합니다.}}} }}}|| ||<-5><:>{{{#e8fee7 {{{#ffd700 대상 없음}}} {{{#00bcdf 쿨타임}}} 75 / 70 / 65 / 60 {{{#00bcdf 마나 소모}}} 70 {{{#00bcdf 능력 효율 증가}}} 6 / 12 / 18 / 24 {{{#00bcdf 시전 거리 증가}}} 40 / 60 / 80 / 100 }}} || >'''환각이다''' '''보이지 않는 화이트 스네이크가 무서운 이유''' 말 그대로 긴 시간동안 은신하는 스킬. 환각 상태에 빠진 적을 기습하는걸 표현하듯 이후 수월한 콤보 연계를 걸 수 있다. 은신한 상태에서 희생양에게 다가가 일반공격과 각종 제압기로 대상을 암살하는게 화이트 스네이크의 주 콤보. 다른 스킬들이 전부 군중제어기이기 때문에 은신 상태로 로밍/갱을 오는 화이트 스네이크는 접근을 허용하는 순간 생존이 거의 불가능하다. 적 팀에 화이트 스네이크가 있다면 꾸준히 발신기를 구매해서 설치하는게 좋다. 참고로 자기 캐릭터 근처에서 적 화이트 스네이크가 환각을 쓸 경우 '''딸랑거리는 방울 효과음'''이 나지막히 들리니 해당 소리를 듣는다면 주변을 경계하도록 하자. 패치를 통해 일반 공격의 추가 피해가 삭제된 대신 능력 효율과 스킬 사거리를 높여주는 지속 효과가 추가되었다. '''긍지(칠흑의 의지)'''가 적용될 경우 쿨타임이 감소하며 강화된 일반공격에 기절이 추가되기 때문에 암살자로서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적에게서 '''100원을 훔치는건 덤.''' 특성이 강화될 경우 집중속도가 75%로 단축된다. 화이트 스네이크에게 정신 집중 스킬은 없지만, 훔쳐온 스킬들이나 합류를 훨씬 더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유틸성이 추가된다. === E - 감각 디스크 === ||<-5>
|| ||<-2> {{{+2 {{{#ffd700 '''E'''}}} }}} || {{{#ffd700 '''감각 디스크'''}}} || ||<-2> [[파일:캡처_2020_03_16_23_53_31_764.png]] ||{{{#e8fee7 대상에게 피해를 주고 기절시킵니다. }}}|| ||<-5><:>{{{#e8fee7 {{{#ffd700 대상}}}: 적 영웅 / 유닛 {{{#00bcdf 쿨타임}}} 10 {{{#00bcdf 마나 소모}}} 160 {{{#00bcdf 기절 시간}}} 1.1 / 1.3 / 1.5 / 1.7 {{{#00bcdf 피해량}}} 100 / 125 / 150 / 175 피해 유형: {{{#ff00ff 정신}}}}}} || >'''받았다!''' 지정한 대상에게 디스크를 날려 기절시키고 피해를 주는 강력한 군중제어기. 패치 이전에는 단순히 기절만 거는 순수 CC기였으나 패치를 통해 감각 디스크에 자체적인 정신피해가 추가되었다. 대상을 멀리서도 확실하게 제압할 수 있다보니 아군의 공격에 호응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차하면 자신이나 아군을 위협하는 적을 묶어두는 생존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딜교시에는 '''W-평타-E-Q-R''' 콤보로 활용하는 편. === R - 디스크 강탈 === ||<-5>
|| ||<-2> {{{+2 {{{#ffd700 '''R'''}}} }}} || {{{#ffd700 '''디스크 강탈'''}}} || ||<-2> [[파일:캡처_2020_03_16_23_53_37_914.png]] ||{{{#e8fee7 {{{#yellow 긍지(황금의 정신) 적용시 - 시전시 5초간 능력 효율이 15% 증가하고 획득한 스킬의 쿨타임 회복 속도가 2배가 됩니다. }}} 대상이 마지막으로 사용한 스킬을 복제합니다. 획득한 스킬은 시간이 지나거나 사망시 소멸합니다. {{{#00bcdf {{{#white ♤}}}레퀴엠 적용시 - 쿨타임이 절반으로 감소하고 아군의 1~3번째 기술과 유닛의 기술도 복제 가능해집니다. 건물에게 시전시 복제한 스킬을 건물에 보관/회수합니다.}}} {{{#00bcdf {{{#white ♧}}}특성 강화 적용시 - 대상이 적인 경우 1초간 침묵시킵니다.}}} }}}|| ||<-5><:>{{{#e8fee7 {{{#ffd700 대상}}}: 적 영웅 {{{#00bcdf 쿨타임}}} 32 / 24 / 16 {{{#00bcdf 마나 소모}}} 100 {{{#00bcdf 지속 시간}}} 40 / 80 / 120 }}} || >'''디스크를 회수했습니다''' '''화이트 스네이크의 아이덴티티이자 변수를 창출하는 능력''' 대상 적 영웅이 '''마지막으로 시전한 스킬'''[* '''궁극기 포함''']을 가져와 일정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킬. 복제한 스킬은 F 칸에 저장되며, 이를 통해 아군조차 예상치 못한 변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주로 사용하는 용도는 2가지로, 1번째 용도는 적의 위력적인 스킬을 복사하고자 사용하는 경우이다. 적의 고성능 궁극기를 뺏어오는데 성공할 경우 한타의 전세를 뒤집을 수도 있다. 2번째 용도는 아군의 스킬을 복사해 별에별 연계를 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레퀴엠이 적용될 경우 쿨타임이 줄어들고 '''같은 편의 스킬과 유닛의 스킬'''[* 궁극기 제외]도 복제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 건물에게도 시전해 이전에 복제해둔 스킬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 때부터 화이트 스네이크는 아군의 스킬들로 기상천외한 연계를 할 수 있는데, 그 위력이 아군의 스킬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만큼 해당 용도를 고려한다면 아군과의 궁합을 잘 알아야 한다. '''긍지(황금의 정신)'''이 적용될 경우 스킬을 복제할 당시 능력효율이 증가하고 쿨타임 회복 속도가 크게 줄어 훔친 적의 스킬로 역관광을 내기가 쉬워진다. 특성 강화가 적용될 경우 예전에 조정되며 사라진 침묵 기능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6>
{{{#!folding 캐릭터별 복제하면 좋은 스킬 || '''캐릭터''' || '''스킬명''' || '''캐릭터''' || '''스킬명''' || '''캐릭터''' || '''스킬명''' || || '''죠나단 죠스타''' || 줌 펀치[br]{{{#red 황매화빛 파문질주}}} || '''디오 브란도''' || '''전부''' || '''리사리사''' || 파문의 머플러[br] {{{#red 지옥승주의 시련}}} || || '''카즈''' || 휘채활도 [br] {{{#red 완전생물}}} || '''에시디시''' || 끓어오르는 피 [br] {{{#red 괴염왕 대차옥의 유법}}} || '''죠셉 죠스타(2)''' || 크래커 볼래이[br]{{{#red 적석의 파문증폭}}} || || '''와무우''' || 신사폭풍 || '''루돌 폰[br]슈트로하임''' || 사이보그 파워 [br] 중기관포 || '''스트레이초''' || 도약공격 [br] 진 공열안자경 [br] {{{#red 은색 파문질주}}} || || '''머라이어''' || {{{#red 금속 충돌}}} || '''홀 호스''' || '''전부''' || '''아누비스 신''' || 달인 이도류 [br] {{{#red 귀연참}}} || || '''바닐라 아이스''' || 죽음의 나선 [br] {{{#red 크림 폭주}}} || '''펫 숍''' || {{{#red 날개짓}}} || '''은두르''' || 청각 집중 [br] 게브신 침투 || || '''ZZ''' || 대지 분쇄[br]{{{#red 탑 기어 질주}}} || '''장 피에르[br]폴나레프''' || 달인의 검술 || '''죠셉 죠스타(3)''' || 파문질주 [br] {{{#red 허밋 퍼플 + 오버 드라이브}}} || || '''무함마드 압둘''' || '''전부''' || '''DIO''' || 무다무다 러시 [br] {{{#red 더 월드의 진정한 능력}}} || '''카쿄인 노리아키''' || 에메랄드 스플래시 [br]{{{#red 반경 20M[br]에메랄드 스플래시}}} || || '''쿠죠 죠타로''' || 스타 핑거 || '''오토이시[br]아키라''' || 전력 방출[br]전기화[br]{{{#red 전광석화}}} || '''니지무라[br]케이초''' || 전차 행진[br]{{{#red 재배치}}} || || '''히가시카타[br]죠스케''' || 치유 러시[br]베어링 탄[br]개체 변형 || '''키시베 로한''' || 강운[br]{{{#red 세이프티 록}}} || '''니지무라[br]오쿠야스''' || 공간삭제[br]공간이동 || || '''키라[br]요시카게''' || 착탄점화탄[* 레퀴엠 보유시 '''바이츠 더 더스트''' 사용 가능] || '''일루조''' || 공간 격리 || '''폴포''' || 독방[br]블랙 사바스 || || '''디아볼로''' || 시간 삭제[br]시간의 궤적 || '''브루노[br]부차라티''' || {{{#red 아리베테르치!}}} || '''레오네[br]아바키오''' || 더미 도발[br]{{{#red 데자뷰}}} || || '''기앗초''' || 얼음 길 || '''판나코타 푸고''' || 바이러스 캡슐 || '''나란차 길가''' || 에어로 스미스 || || '''귀도 미스타''' || 리볼버[br]총탄 패스[br]{{{#red 일제 사격}}} || '''죠르노 죠바나''' || '''전부''' || '''나르시소[br]안나수이''' || 에너지 잠행[br]강제 개조 || || '''켄조''' || {{{#red 드래곤즈 드림}}} || '''쿠죠 죠린''' || 포박 실 || '''신월을[br]기다리는 푸치''' || '''전부''' || || '''웨더 리포트''' || 번개 [br] {{{#red 헤비 레인}}} || '''웨카피포''' || 철구의 위성[br]{{{#red 좌반신실조}}} || '''샌드맨''' || 독자적 주법[br]{{{#red 인 어 사일런트 웨이}}} || || '''블랙모어''' || 빗방울 함정 || '''자이로 체펠리''' || '''전부''' || '''퍼니 발렌타인''' || 또 다른 나[br]도플갱어[br]{{{#red D4C 러브트레인}}} || || '''죠니 죠스타''' || 손톱탄[br]{{{#red 무한의 회전}}} || '''디에고 브란도''' || 덤벼들기[br]{{{#red 사냥}}} || '''히가시카타[br]미츠바''' || 내보내기[br]발차기 }}} || == 추천 아이템 == ||
<-4> {{{#fff '''공격형 아이템'''}}} || || [[파일:spr_wop_수류탄.png]] || [[파일:spr_wop_맨 인더 미러.png]] || [[파일:spr_wop_톰슨기관단총.png]] || [[파일:spr_wop_더선.png]] || || '''수류탄''' || '''맨 인더 미러''' || '''톰슨 기관단총''' || '''더 선''' || ||
<-4> {{{#fff '''생존 및 유틸형 아이템'''}}} || || [[파일:spr_wop_레퀴엠의화살.png]] || [[파일:spr_wop_티켓투라이드.png]] || [[파일:spr_wop_쇼트키1.png]] || [[파일:spr_wop_로카카카.png]] || || '''레퀴엠의 화살''' || '''티켓 투 라이드''' || '''쇼트키 no1''' || '''로카카카''' || ||
<-3> {{{#fff '''시작 아이템'''}}} || || [[파일:spr_wop_신발.png]][[파일:spr_wop_허브티.png]] ||<|2> '''→''' || [[파일:spr_wop_초콜릿디스코.png]] || || '''신발, 허브티''' || '''초콜릿 디스코''' || ----- 고효율 군중제어기들을 이용해 아군과 연계하는 서포터, 자외선 조사장치와 은신을 이용해 적을 암살하는 정신딜러, 환각의 높은 공격력 증가량과 각종 군중제어기로 적을 암살하는 물리딜러로 나뉜다. === 운영 방식 === 주로 라인에 선다. 물리 딜러의 경우 사거리의 한계 때문에 정글러로 가는 편. ==== 스킬트리 ==== '''1선마 - E''' '''2선마 - Q''' '''3선마 - W''' 물리딜러로 루트를 잡을 경우 W-E-Q 순으로 마스터하면 된다. == 평가 == 6부 최종보스 푸치 신부의 첫번째 스탠드이자 본 게임에서의 근본 은신 캐릭터이다. 성능 자체는 그럭저럭이지만, 상대의 분노를 많이 유발하는 형태의 캐릭터이다. === 장점 === * '''고성능 군중제어와 디버프''' 화이트스네이크의 스킬 4개 중 3개가 적을 제압하는 효과[* 이동속도 감소, 기절, 침묵]를 가지고 있다. 심지어 그 중 2개는 대상 지정형 기절과 침묵이며, 나머지 하나는 치유효율을 크게 떨어뜨려 딜러 탱커 상관없이 유지력을 박살낼 수 있다. * '''궁극기를 통한 변수창출''' 화이트 스네이크를 픽하는 이유이기도 한 변수창출은 게임을 전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 아군과의 스킬 연계는 물론 적들의 고위력 궁극기도 빼앗아갈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재미를 볼 수 있다. * '''은신을 통한 시야싸움 강제''' 특히 관련된 템트리를 갈 경우 돋보이는 능력으로, 적들은 화이트스네이크가 있다는 사실 하나때문에 시야 관리를 더욱 빡세게 해야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하면 어디선가 스멀스멀 다가온 화이트 스네이크가 한번에 암살할 것이기 때문. === 단점 === * '''어려운 캐릭터 난이도''' 기본적으로 화이트 스네이크는 초보자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캐릭터이다. 라인전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는 스킬도 없어 후반을 도모하는 캐릭터인데, 거기다 타 캐릭터들과의 연계 및 시야 수싸움도 생각해야 한다. * '''대상 지정형 스킬''' 화이트 스네이크의 스킬들은 대부분 대상을 지정하는 스킬이다. 따라서 적 탱커나 딜러들이 황금 회전의 철구를 가거나 면역 효과를 가진 스킬을 쓸 경우 스킬들이 손쉽게 막혀버린다. * '''유통기한''' 아무리 초중반 살상력이 높다 한들 후반으로 갈수록 그 방식은 점점 통하기 어려워진다. 암살자든, 서포터든 혼자서는 유통기한이 찾아온다. 끝까지 달라붙어 킬을 내는 타 근접딜러들과는 달리 적을 제압한 사이 한 순간의 콤보만으로 킬을 내는 캐릭터인 만큼, 시야를 관리하고 여럿이서 다니는 후반으로 게임이 흘러갈수록 점점 힘을 못 쓰게 된다. 스킬 위주의 서포터인 경우도 혼자서는 킬을 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결국은 아군의 캐리력을 믿고 보조할 수 밖에 없다. === 유리한 픽 === === 불리한 픽 === * '''은신을 해제하는 캐릭터''': 화이트 스네이크의 운영은 환각을 통한 은신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는 캐릭터들 상대로 화이트 스네이크는 큰 힘을 내기가 어렵다. * '''켄조''', 죠셉 죠스타(3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죠죠 월드 오브 프라이드/영웅, version=238, paragraph=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