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화이트홀가-사우스 페리역은 [[뉴욕 지하철 1호선]]의 사우스 페리역과 [[뉴욕 지하철]] [[뉴욕 지하철 R선|R,]] [[뉴욕 지하철 W선|W선]]의 환승역이다. == 목록 == === [[뉴욕 지하철 1호선]] 사우스 페리역 === ||[[파일:South_Ferry_Peter_Minuit_Plaza_entrance_2017_vc.jpg|width=100%]]||[[파일:South_Ferry_Sep_2018_03.jpg|width=100%]]|| || [[밴 코트랜드 파크-242가역|{{{#!html
밴 코트랜드 파크-242가 방면}}}]][[렉터가역(7번가)|{{{#!html
렉터가}}}]] ||<#000> {{{+1 {{{#fff ←}}} }}} ||<#000> [[뉴욕 지하철 1호선|[[파일:뉴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width=75]]]] ||<#000> {{{+1 {{{#fff ← }}} }}} || {{{#fff 시종착역 }}} || South Ferry [[뉴욕 지하철 1호선]]의 시종착역. [[1905년]] 개통 당시에 건설된 역은 [[종각 드리프트]]를 뛰어넘는 급곡선 역이였다. 급곡선 역이니 당연히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크고 아름답게 넓었다. 열차가 정차하면 승강장이 튀어 나왔다. [[경찰병원역]]에 있는 안전 발판을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승강장 길이가 5량으로 설계되어 이후 많은 사람들을 낚았다, 특히 [[뉴욕]]에 처음온 [[관광객]]들. 열차가 정지하면 [[도어컷|첫 5량만 출입문이 열렸고 뒤에 있는 5량은 그대로 있었다]]. 이걸 방지하기 위해 1호선 열차 안에는 안내문이 있었다. 특히 체임버스가 역에는 사우스 페리 역에서 내리실 승객은 앞5량으로 가라는 표지가 있었다. 이렇게 급곡선이 된 이유는 회차를 루프선으로 했기 때문인데, 사우스 페리 역은 이 루프선상에 위치했던 역이기 때문이다. 이해가 잘 안된다면 [[서울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응암순환선]]을 대폭 축소한 형태라고 보면 된다. [[파일:Bowling_Green-South_Ferry.png]] 루프선인데 복선으로 되어 있고, 원래 승강장도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본래 이 역을 이용하던 [[IRT 렉싱턴가선]] 때문인데, 사실 사우스 페리는 렉싱턴가선 역으로 먼저 개통했고 현재까지 [[볼링 그린역]]에서 갈라지는 회차용 지선도 이 역을 지나간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바깥쪽 루프는 1호선, 안쪽 루프는 4호선이 썼다. 심지어 두 노선간에 직결운행도 가능하도록 역 앞뒤로 건넘선까지 설치되어 있어서, 1호선 열차가 루프로 방향 바꾼 뒤에 4호선으로, 4호선 열차가 1호선으로 건너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일부 4호선 열차가 중간 회차를 위해 이 루프선을 이용, 안쪽 승강장에 정차를 했다. 그러나 1977년 2월 12일 4호선의 이 운행 계통은 없어졌고, 안쪽 승강장은 폐지하고 바깥쪽 승강장만 쓰게 되었다. 물론 4호선의 중간 회차를 없애도 1호선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MTA]]는 새로운 역을 짓기로 결정했고, 2004년 계획이 승인되어 공사에 들어간 뒤 2009년 3월 개통됐다. 구조는 터미널식 섬식 승강장으로 끝이 막혀 있는 구조로, 승강장에서 바로 회차를 한다. 신역사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에어컨 등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 역에 오면 내가 정말로 [[뉴욕 지하철]]에 있는건지 생각이 든다. --뉴욕 지하철이 얼마나 후졌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문장이라 하겠다.-- 그런데 2012년 10월 말 닥처온 [[샌디#s-1|허리케인 샌디]] 때문에 역이 '''완전히 침수'''되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피해금액이 약 '''600만 달러'''에 달하는데, 이 역 공사비가 500만 달러였다(...). 즉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연출된 것... 당시 신 역사가 완전히 침수되어 한동안 못 쓰게 되자 옛 급곡선 역을 다시 부활시키기로 했다. 폐역이 다시 부활하는 [[아스트랄]]한 상황이 연출된 것. 옛 역은 2013년 4월 3일 다시 운행을 시작했고, 이후 2017년 6월 신 역사의 보수공사가 끝나 다시 문을 열면서 구 역사는 다시 폐쇄되었다. 신 역사를 공사하면서 덤으로 브로드웨이 선 화이트홀가 역으로 연결되는 통로를 만들었고, 이에 따라 두 역이 하나의 컴플렉스로 합쳐지게 되면서 브로드웨이 선 역도 '[[화이트홀가-사우스 페리 역]]'(Whitehall Street–South Ferry)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환승통로에 있는 미술 작품이 있으니 보는 재미도 있다. 이 역 바로 앞에 [[스태튼 아일랜드 페리]] 선착장이 있어서 승객들이 항시 넘친다. 특히 스태튼 아일랜드에서 [[페리(선박)|페리]]가 도착한 직후에는 엄청난 인파가 몰려든다. 또한 [[뉴욕 버스 M15|M15 Select Bus Service]]로 환승할 수 있다. == [[뉴욕 지하철]] [[뉴욕 지하철 R선|R]], [[뉴욕 지하철 W선|W선]] 화이트홀가-사우스 페리역 == ||
[[포리스트 힐즈-71번가역|{{{#!html
포리스트 힐즈-71번가 방면}}}]][[렉터가역(브로드웨이)|{{{#!html
렉터가}}}]] || {{{+1 {{{#fff ←}}} }}} || [[뉴욕 지하철 R 선|[[파일:뉴욕 지하철 R선 아이콘.svg|width=75]]]] || {{{+1 {{{#fff →}}} }}} || [[베이 릿지-95가 역|{{{#!html
베이 릿지-95가 방면}}}]][[코트가역|{{{#!html
코트가}}}]] || || [[아스토리아-디트마스 블러바드 역|{{{#!html
아스토리아-디트마스 블러바드 방면}}}]][[렉터가역(브로드웨이)|{{{#!html
렉터가}}}]] || {{{+1 {{{#fff ←}}} }}} ||[[뉴욕 지하철 W 선|[[파일:뉴욕 지하철 W선 아이콘.svg|width=75]]]]|| {{{+1 {{{#fff ←}}} }}} || {{{#fff 시종착역 }}} || Whitehall St-South Ferry [[맨해튼]] 남단의 [[뉴욕 지하철]] 역. [[BMT 브로드웨이선]][* 사실 본 역부터 처치가 역까지는 화이트홀가-트리니티 플레이스-처치가를 따라가다가 처치가 역 직후 커브에 돌입해 [[시청역(뉴욕)|시청역]]부터 [[브로드웨이]]를 따라간다. 오히려 맨해튼 남단에서 브로드웨이를 따라가는 계통은 [[뉴욕 지하철 4호선|4,]] [[뉴욕 지하철 5호선|5호선]]이다.] 계통의 R, W 선이 정차한다. 심야 시간대에 한해 N선 역시 정차한다. [[뉴욕 지하철 1호선|1호선]]의 [[사우스 페리 역]]과는 본래 별도의 역이었다가 2009년 신역사가 개통되면서 한 컴플렉스로 연결되게 되었다. 사우스 페리 역과 마찬가지로 [[스태튼 아일랜드 페리]] 터미널이 바로 앞에 있어서 페리 출도착 시간에는 특히 붐빈다. W선은 일반적으로 본 역에서 회차하지만 러시 아워 시간대 일부 편성에 한해 브루클린까지 운행한다. [각주] [[분류:뉴욕 지하철 정거장]][[분류:뉴욕 지하철 1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