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화정역'''}}} || ||<-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30]] || || [[대화역|{{{#!html
대화 방면}}}]][[대곡역(고양)|대 곡]][br]← 2.1 ㎞ || [[수도권 전철 3호선|{{{#!html
3호선
(315)
}}}]] || [[오금역|{{{#!html
오금 방면}}}]][[원당역|원 당]][br]2.6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원릉역|{{{#!html
고양시청 방면}}}]][[원릉역|고양시청]]--[br]← -.- ㎞ || [[서울 경전철 서부선|{{{#!html
서부선
(미개통)
}}}[* [[2028년]] 개통 예정]]] || --[[관악산역|{{{#!html
관악산 방면}}}]][[도내역(고양선)|도 내]]--[br]-.- ㎞ →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화정역3호선, 너비=100%, 높이=100%)]}}}||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Hwajeong || || [[한자]] ||<-2><|2> 花井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花井, ruby=ファジョン)] || ||<-3> '''주소''' || ||<-3>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로 지하60 ([[화정동(고양시)|화정동]] 1098) || ||<-3> '''관리역 등급''' || ||<-3> [[배치간이역]][br]([[대곡역(고양)|대곡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 [[일산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일산선]] ||<-2><|2> 1996년 1월 30일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반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지축역|{{{#!html
지축 방면}}}]][[원당역|원 당]][br]← 2.6 ㎞ || '''[[일산선]]'''[br]화 정 || [[대화역|{{{#!html
대화 방면}}}]][[대곡역(고양)|대 곡]][br]2.1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3호선]] 315번.[* 개정 전 6번(1996~2000년) → 316번(2000~2014년) → 315번(2014년~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로 60 ([[화정동(고양시)|화정동]] 1098)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wajeong.jp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https://drive.google.com/file/d/1hy30T3h27PXu_dXEF5PzXzoms0DwCnkJ/view?usp=drive_link|{{{#ffffff 크게보기}}}]])'''}}} || [[덕양구]] 개발구역 중 화정지구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역이다. 역 이름의 유래인 화정(花井)동은 과거 마을 이름이었던 "꽃물골(화수, 花水)"과 "찬우물말(냉정, 冷井)"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화수리는 [[화수고등학교]]가 있는 곳이고 냉정리는 2022년 현재 옥빛마을이 있는 곳이다. 지상역인 [[대곡역(고양)|대곡역]]과 [[원당역]] 사이에 있는 지하역이다. 수도권 전철 중에서 두 지상역과 인접한 유일한 지하역이다. 삼송지구 개발 전 [[일산선]]에서 이용객 1위였다. 2020년까지는 화정역이 확고부동하게 1위였으나 삼송지구 입주 후 [[삼송역]]의 이용객이 가장 많아졌다. 승하차객 수도 덕양구의 일산선 역들 총합이 [[일산신도시]] 내 역들 총합보다 많다. 3호선에서 [[서울특별시]]와 [[고양시]] 신도시 베드타운을 잇는 접점에 가까운 역으로 하행선은 출근 시간에는 화정역에서 거의 만차가 되며 서울로 진입할수록 점점 승객이 빠져나가고 퇴근 시간에는 상행선은 화정역에서부터 일산으로 진입할수록 승객이 점점 빠진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 전 통근 열차 시절에는 행신 쪽 수요도 화정역이 차지하였지만 현재는 [[행신역]] 등으로 수요 분산이 되었다. [[스테프 핫도그]]가 한때 역 내에 들어왔으나 금방 사라졌고 보리를 이용한 빵집이라는 보리가실 브랜드로 대체되었다가 2014년부터는 핫브레드라는 브랜드로 바뀌었다. [[고양선]] 신설 후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현재 선형은 결정되지 않았으나 로데오거리 지하 혹은 화중로 지하에 지어져 [[고양시청]]까지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안내도에는 지하 2층 구조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화정역 맞이방 위에 지하보도와 공영주차장이 있다. == 역 주변 정보 == || [[파일:12238262_759701217469190_7009727893469847646_o.jpg]] || 역 주변에 상업 지구가 조성되어 있다. 원래 [[능곡역]]이 근처의 교통 허브 겸 중심 상권으로 자리하고 있었으나 화정역이 생기고 화정 지구가 들어선 후 능곡역의 상권을 흡수하였다. 덕양구청, [[이마트 화정점]], [[화정터미널]], [[국민건강보험공단]] 화정지사, [[정부고양지방합동청사]] 등이 있다. 또한 지하에는 [[세이브존]]과 연결되어 있고 [[롯데마트 화정점]], [[이마트 화정점]] 등이 바로 인접해 있다. 다만 화정터미널은 [[고양종합터미널]]이 개장한 후 2023년 5월 31일을 끝으로 영업을 종료하였다. [[금융]]업체로는 [[KB국민은행]] 화정역, [[신한은행]]화정역금융센터, [[우리은행]]화정역금융센터, [[NH농협은행]]화정역지점, NH농협은행 덕양구청출장소, [[IBK기업은행]]화정역, [[하나은행]] 화정역지점, [[SC제일은행]] 화정지점, 덕양[[우체국]], 고양축산[[농협]] 화정지점(지역농축협), 원당[[신협]]화정지점, 고양누리[[새마을금고]] 화정지점, 고양동부[[새마을금고]] 화정지점, [[한국투자증권]] 화정지점, [[교보생명]] 화정FP지점, [[롯데손해보험]] 유성대리점, [[현대해상]] 하이라이프대리점이 있다. 상당수의 신도시 역세권이 그렇지만 화정역의 역세권은 밤과 낮의 모습이 바뀌기로 유명하였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낮에는 일반 신도시 상업 지구의 모습이었지만 밤이 되면 [[유흥업소]]가 눈에 띄게 드러났다. 하지만 시에서 자정 활동도 있었고 결정적으로 불황의 여파로 유흥업소 상당수가 폐업하면서 2017년 유흥업소 자체가 자취를 감추며 밤에도 호객 행위를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화정역은 덕양구의 대부분의 마을 버스가 지나는 곳이다. * 1번 출구 - [[이마트 화정점]], 백양중학교 출구 바로 앞에 화정버스터미널이 있었다. 과거에는 고양시의 메인 종합터미널 역할을 담당하였지만 현재는 백석에 새로 개장한 [[고양종합터미널]]에게 밀려 간선 터미널 정도로 격하되었다. 그 후 백석 종합터미널을 출발한 일부 노선이 화정터미널을 경유해 목적지로 가는 식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이용객 감소로 인하여 터미널이 폐쇄되어 고속터미널역이나 백석역으로 가야 한다. 물론 시외버스를 통한 두 터미널 간 이동은 불가능하였다. 두 터미널 모두 3호선의 역과 바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3호선을 이용하는 게 좋다. 출구 뒤쪽으로 버스 정류장이 있는데 1,2번 출구 쪽 정류장은 020, 021, 023, 032번 등 대부분 행신/능곡동 쪽으로 가는 노선들이 시종점으로 삼고 있다. 화정/원당/원흥 쪽으로 향하는 버스를 타기 위해서는 건너편 3, 4번 출구쪽 정류장을 이용하여야 한다. * 2번 출구 - [[세이브존]] 화정점, [[롯데마트 화정점]], [[고양경찰서]] 출구 바로 앞에 세이브존이 있고, 역전사거리에서 좌회전하면 롯데마트도 보인다. 거기서 화중로를 타고 올라가면 고양어린이박물관, 고양경찰서, 토당청소년수련관 등이 나온다. 그리고 1, 2번 출구 사이 역광장 뒤편으로는 번화가라 할 수 있는 화정 로데오거리와 작은 공원이 위치해 있다. * 세이브존 연결 통로 - [[세이브존]] 화정점 B1층 역사 안쪽의 2번 출구 뒤편으로 세이브존 화정점 지하 1층의 푸드코트와 직결되는 연결통로가 있다. 세이브존으로 가려면 이쪽을 이용하는 게 더 빠를 수 있다. * 3번 출구 - 덕양구청, [[동고양세무서]], 화정고등학교, 용정초등학교 출구 바로 앞 버스정류장에서 030, 031번 마을버스를 탈 수 있고, 역광장 뒤쪽 버스정류장에서 011, 016, 029, 038, 060, 065, 072번 마을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4번 출구 - [[CGV 화정]]점, [[고양덕양우체국]], 화중초등학교 출구 바로 앞 버스정류장에서 85번 버스와 027, 028번 마을버스를 탈 수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6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6년 || 18,170명 || || || 1997년 || 27,983명 || || || 1998년 || 31,618명 || || || 1999년 || 33,168명 || || || 2000년 || 자료없음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39,415명 || || || 2002년 || 46,319명 || || || 2003년 || {{{#ef7c1c 46,817명}}} || || || 2004년 || 39,287명 || [* 해당 연도까지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38,983명 || || || 2006년 || 39,258명 || || || 2007년 || 39,274명 || || || 2008년 || 40,955명 || || || 2009년 || 40,130명 || ||}}}}}}}}} || || 2010년 || 39,173명 || || || 2011년 || 39,558명 || || || 2012년 || 39,723명 || || || 2013년 || 40,482명 || || || 2014년 || 41,733명 || || || 2015년 || 40,991명 || || || 2016년 || 40,774명 || || || 2017년 || 40,557명 || || || 2018년 || 39,787명 || || || 2019년 || 40,352명 || || || 2020년 || 28,332명 || || || 2021년 || 28,625명 || || || 2022년 || 30,755명 || || || 2023년 ||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2022년 기준 [[일산선]]에서 두 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역이자 3호선 전체에서 14위로 상위권이다. 이미 2000년부터 하루 탑승객이 3만 9천 명 선까지 올라와 20년 가까이 하루 평균 4만 명이 화정역을 이용하는 꾸준함을 보인다. 화정동의 인구는 8만 명을 조금 넘는 수준인데, 승차객과 하차객이 각각 겹친다는 것을 고려하여도 화정동 주민의 1/4 정도는 매일 화정역을 이용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실제로는 승차객과 하차객이 모두 겹칠 리가 없고 화정동 외부에서 오는 주민들도 있으므로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화정지구 주민들의 화정역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화정역 로데오 상권은 [[덕양구]] 전체에서 가장 큰 상권이어서 원당, 화정, 능곡, 행신동 전체에서 화정역으로 오지 않는 마을버스가 없을 정도로 연결 노선이 많다. 특히 인근의 햇빛마을 대단지 아파트의 주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다. * 한동안 이용객 숫자가 기복 없이 꾸준히 이어졌는데, 이는 화정동의 개발이 이미 1990년대 중반에 마무리된 탓이다. 화정지구는 1995~1996년 단 두 해 동안 입주가 진행되었고, 화정역 로데오거리 상권도 2000년을 전후하여 개발이 끝났다. 그리고 남은 미개발지는 [[그린벨트]]에 묶여 현재까지 개발 계획이 없기에 유동인구가 꾸준함을 보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동시에 2014년부터 소폭이지만 5년 연속 하락폭을 면치 못하는 것을 보면 승객 이탈이 계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역이다. *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의 개통으로 [[능곡역]], [[행신역]]에 전철이 들어왔을 때 이용객 이탈은 실질적으로는 거의 생기지 않았다. 즉, 능곡과 행신동의 3호선 이용객은 기존처럼 꾸준히 3호선을 이용하고, 버스 및 자가용을 타고 서울로 나갔던 이용객이 경의선을 이용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운정신도시]], 덕이지구, [[삼송지구]]가 개발되면서 늘어난 인구만큼 각각의 왕래가 잦아지기에 화정역의 수요가 올라갈 여지가 있었는데, 정작 이쪽의 입주가 거의 마무리되는 시점에서도 화정역의 이용객은 거의 늘어나지 않고 있다. * 또한 2012년에는 [[백석역]]에 [[고양터미널]]이 완공되면서 [[화정터미널]] 기능이 옮겨감에 따라 화정역의 이용객이 줄어들 여지가 있었으나 실제로는 전혀 영향이 없었고 오히려 이용객이 증가하는 추세였다. * 2023년 7월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고양시 [[대곡역(고양)|대곡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이렇게 되면 대곡역에서 환승하여 [[김포공항]] 및 경기도 서남부권([[부천시|부천]]·[[안산시|안산]]), [[인천광역시]] 지역으로의 교통 접근성이 좋아지게 되어 이용객 수가 조금이나마 오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행신동과 가라뫼로 우회하는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굴곡 노선]]인 [[고양 버스 85|85번]]에 적지 않을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백석-신사간 도로]]를 구성하는 [[덕양로]]가 완전개통하면 [[원흥지구]] 방면에서의 화정역 접근성이 상당히 개선되어, 현재 마을버스 등을 통하여 [[원당역]], [[행신역]] 등으로 퍼져 있는 수요가 일부 주거단지를 제외하면 화정역 쪽으로 완전히 통합될 가능성이 높다. * 본래 [[대곡역(고양)|대곡역]] 쪽으로 가기로 한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모종의 이유로 화정역으로 오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향후 2개 노선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2028년 개통 예정이다. * 이처럼 3호선 일산선 구간에서 가장 이용 승객이 많은 역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과 일산선 다른 역들의 역세권 개발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서 2020년에는 [[삼송역]]이 이용객 수 최다 역이 되었고, 코로나 여파가 조금 완화된 2021년에는 삼송역과 일평균 이용객 수 차이가 2천 명 넘게 벌어졌다. == 승강장 == || [[파일:attachment/ghkwjddur1111.png|width=500]] || || 승강장 || || [[파일:역명판화정역3.jpg]] || || 역명판 ||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지만, 대화 방면 역무실 쪽 게이트만 횡단이 가능하고 반대편 출구는 횡단이 불가능하다. ||<-4> [[대곡역(고양)|대곡]]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원당역|원당]]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백석]]·[[정발산역|정발산]]·[[주엽역|주엽]]·[[대화역|대화]] 방면|| || {{{#ffffff 하}}} ||[[지축역|지축]]·[[충무로역|충무로]]·[[도곡역|도곡]]·[[오금역|오금]] 방면|| [[2012년]] [[6월 29일]]부터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 연계 교통 == [[파일:화정역버스지도.png|width=400]] ||<-3><#EF7C1C> {{{#ffffff '''화정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3> '''① 화정역3호선'''[br](57240) ||<#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20|{{{#fff 020(가라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21|{{{#fff 021(행신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23|{{{#fff 023(서정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1|{{{#fff 031(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2|{{{#fff 032(샘터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72|{{{#fff 072(산황동)}}}]]}}} ||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67|{{{#fff 67(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50|{{{#fff 850(행신역)}}}]]}}} || ||<#0075c8> 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5|{{{#fff 85(김포공항)}}}]]}}} || || '''② 화정역3번출구''' (19692) ||<#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0|{{{#fff 030(강고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1|{{{#fff 031(별빛마을)}}}]]}}} || ||<|3> '''③ 화정역4번출구'''[br](57389) ||<#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27|{{{#fff 027(달빛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28|{{{#fff 028(달빛마을)}}}]]}}} ||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67|{{{#fff 67(운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50|{{{#fff 850(고양동)}}}]]}}} || ||<#0075c8> 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5|{{{#fff 85(고양동)}}}]]}}} || || '''④ 화정역3호선'''[br](19392/19719) ||<#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11|{{{#fff 011(나루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16|{{{#fff 016(세기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29|{{{#fff 029A(명지병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8|{{{#fff 038(둥지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60|{{{#fff 060(소만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65|{{{#fff 065(서정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72|{{{#fff 072(능곡역)}}}]]}}} || ||<|7> '''⑤ 화정역.롯데마트'''[*A ①~④번 정류소에서도 이용 가능한 버스는 제외한다.][br](19064) ||<#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29|{{{#fff 029B(원당역)}}}]]}}} ||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11|{{{#fff 11(성석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2|{{{#fff 82(내유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5|{{{#fff 95(이케아)}}}]]}}} || ||<#0075c8> 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21|{{{#fff 921(공덕역)}}}]]}}} || ||<#3d5bab>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1|{{{#fff 771(일산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fff 773(불광)}}}]]}}} || ||<#ff0000>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고양 버스 1082|{{{#fff 1082(내유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고양 버스 1900|{{{#fff 1900(일산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경기광주 버스 3200|{{{#fff 3200(원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경기광주 버스 9600|{{{#fff 9600(식사동)}}}]]}}} || ||<#f72f08> 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9701|{{{#fff 9701(명동)}}}]]}}} || ||<#8b4513> 공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7200|{{{#fff N7200(의정부)}}}]]}}} || ||<|6> '''⑥ 화정역.덕양구청'''[*A][br](19070) ||<#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29|{{{#fff 029B(능곡역)}}}]]}}} ||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11|{{{#fff 11(행신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2|{{{#fff 82(신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5|{{{#fff 95(식사동)}}}]]}}} || ||<#3d5bab>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1|{{{#fff 771(DMC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fff 773(운정)}}}]]}}} || ||<#ff0000>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고양 버스 1082|{{{#fff 1082(영등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고양 버스 1900|{{{#fff 1900(숭례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경기광주 버스 3200|{{{#fff 3200(인천공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경기광주 버스 9600|{{{#fff 9600(강남역)}}}]]}}} || ||<#f72f08> 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9701|{{{#fff 9701(가좌동)}}}]]}}} || ||<#8b4513> 공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7200|{{{#fff N7200(인천공항)}}}]]}}} || == 사건사고 == 주변에서 크고 작은 화재가 많이 일어났다. 2015년 12월에는 화정 로데오거리 끄트머리에 위치한 2층짜리 건물에 있던 치킨집에서 불이 발생하여 건물 대다수를 태우고 약 한 시간 만에 진화되었다. 아침 시간에 불이 나서 큰 인명 피해는 없었다. 해당 건물은 철거되었고, 2016년 말에 4층짜리 건물이 들어섰으나 옆 건물에 그을린 자국은 그대로 남아있다. 2018년 초에는 그 바로 옆 건물에서 또 불이 났지만 이 불은 금세 진화되었다. 2018년 3월 12일에는 덕양구청 앞에 있는 우정플라자라는 건물 7층에서 큰 불이 났다. 이 사고로 불길을 피해 건물에 매달려 있던 여성 1명이 추락하여 사망하였고, 두 명이 연기를 흡입하여 인근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당일 매캐한 연기가 화정역을 비롯한 로데오 광장에 자욱하게 퍼졌다. 7층 의류 사무실의 콘센트에서 일어난 합선으로 불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모두 복원되었다. 2021년 12월 27일 오전 6시 경 강추위로 인하여 화정역 1, 2번 출구 방면 스프링클러가 동파되어 천장에서 물이 쏟아지는 일이 발생하였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57539|「3호선 화정역 천장서 동파로 물 쏟아져…‘출근길 불편’」]], KBS, 2021-12-17] 다만 이른 시간이라 별도의 피해자는 없었고 열차 지연도 없었다. 2022년 8월 9일 오후 6시 경 [[2022년 8월 수도권 홍수]]로 인하여 이 역과 원당역 사이 선로가 침수되어 잠깐 동안 3호선이 구파발에서 오금까지 단축 운행되었다. 오후 6시 50분 경 선로 침수가 복구되어 전 구간 열차 정상운행으로 돌아왔다. == 기타 == * PSD 승강안전문을 설치하면서 에너지 효율 및 실내 인테리어 개선을 위하여 천정 조명이 LED 조명으로 개선되었다. 이로 인하여 PSD 설치 전보다 역 분위기가 어두워졌다. * 과거 이 역에서는 일반열차 승차권을 살 수 있었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일산선의 역 목록)] [include(틀:고양시의 교통)]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덕양구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일산선의 도시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