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과]][[분류:교육]] [[분류:교육학]][[분류:사범대학]][[분류:화학]] [include(틀:학과)] [목차] == 개요 == {{{+2 [[化]][[學]][[敎]][[育]][[科]]/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화학교육과는 기초 과학 분야의 중심 학문인 화학의 전반에 관한 학문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수 교육을 실시하여 국가사회와 인류문화에 공헌할 우수한 교사 및 과학자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https://chemedu.pusan.ac.kr/chemedu/20604/subview.do|부산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학과 소개글] == 전공 과목 == 대학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에서 아래의 과목을 수강한다. * [[일반화학]] & 일반화학실험 * [[유기화학]] & 유기화학실험 * [[물리화학]] & 물리화학실험 * [[무기화학]] & 무기화학실험 * [[분석화학]] & 분석화학실험 * [[일반물리학]] & 일반물리학실험 [*A 공통과학교사 2급 자격증 발급을 위해 이수해야 한다.] * [[일반생물학]] & 일반생물학실험 [*A 공통과학교사 2급 자격증 발급을 위해 이수해야 한다.] * 일반지구과학 & 일반지구과학실험 [*A 공통과학교사 2급 자격증 발급을 위해 이수해야 한다.] * 화학교육론, 화학 교재 분석 및 평가 등 교과교육학 * 교육학개론, 교육심리 등 교직이론 ||||||||||||<#2697db><:> '''{{{#fff 일반적인 화학교육과 교육과정}}}''' || ||<#fff><:>{{{-2 1학년 1학기}}} ||||<#e9af10><:> [[일반화학|{{{#fff {{{-2 일반화학1[br]실험}}}}}}]] ||||<#e9af10><:> [[일반물리학|{{{#fff {{{-2 일반물리학1[br]실험}}}}}}]] ||<#e9af10><:> [[미적분학|{{{#fff {{{-2 미적분학}}}}}}]] || ||<#fff><:>{{{-2 1학년 2학기}}} ||||||<#a6ab13><:> [[일반화학|{{{#fff {{{-2 일반화학2[br]실험}}}}}}]] ||||<#a6ab13><:> [[일반물리학|{{{#fff {{{-2 일반물리학2}}}}}}]] [*B 일반물리학, 일반생물학, 일반지구과학의 경우 일반적으로 2과목의 실험은 진행하지 않는다.] || ||<#fff><:>{{{-2 2학년 1학기}}} ||<#d95936><:> [[지구과학|{{{#fff {{{-4 일반지구과학1[br]실험}}}}}}]] ||<#d95936><:> [[일반생물학|{{{#fff {{{-4 일반생물학1[br]실험}}}}}}]] ||<#d95936><:> [[유기화학|{{{#fff {{{-2 유기화학1}}}}}}]] ||<#d95936><:> [[물리화학|{{{#fff {{{-2 물리화학1}}}}}}]] ||<#d95936><:> {{{#fff {{{-2 교수학습론}}}}}} [*C 교과교육학] || ||<#fff><:>{{{-2 2학년 2학기}}} ||<#ffc0cb><:> [[지구과학|{{{#fff {{{-2 일반지구과학2}}}}}}]] [*B] ||<#ffc0cb><:> [[일반생물학|{{{#fff {{{-2 일반생물학2}}}}}}]] [*B] ||||<#ffc0cb><:> [[유기화학|{{{#fff {{{-2 유기화학2[br]실험}}}}}}]] ||<#ffc0cb><:> [[양자화학|{{{#fff {{{-2 양자화학}}}}}}]] || ||<#fff><:>{{{-2 3학년 1학기}}} ||<#2c6c94><:> [[분석화학|{{{#fff {{{-2 분석화학1}}}}}}]] ||<#2c6c94><:> [[물리화학|{{{#fff {{{-3 물리화학2[br]실험}}}}}}]] ||<#2c6c94><:> [[유기합성|{{{#fff {{{-2 유기합성}}}}}}]] ||<#2c6c94><:> {{{#fff {{{-2 화학교육론}}}}}} [*C] ||<#2c6c94><:> {{{#fff {{{-2 화학논리및논술}}}}}} [*C] || ||<#fff><:>{{{-2 3학년 2학기}}} ||<#808080><:> {{{#fff {{{-2 유기분석}}}}}} ||<#808080><:> [[분석화학|{{{#fff {{{-3 분석화학2[br]실험}}}}}}]] ||<#808080><:> [[무기화학|{{{#fff {{{-2 무기화학1}}}}}}]] ||<#808080><:> {{{#fff {{{-2 화학교육실험}}}}}} [*C] ||<#808080><:> {{{#fff {{{-2 화학교재연구법}}}}}} [*C] || ||<#fff><:>{{{-2 4학년 1학기}}} ||<#00ffff><:> [[유기화학|{{{#fff {{{-2 고급유기화학}}}}}}]] ||<#00ffff><:> [[무기화학|{{{#fff {{{-3 무기화학2[br]실험}}}}}}]] ||<#00ffff><:> {{{#fff {{{-2 수업분석및평가}}}}}} [*C] ||<#00ffff><:> {{{#fff {{{-2 교직실무}}}}}} [*C] ||<#00ffff><:> {{{#fff {{{-2 학교현장실습}}}}}} [* 흔히 [[교생]]이라고 부르는 교직실습과목이다.] || ||<#fff><:>{{{-2 4학년 2학기}}} ||||||<#800080><:> [[무기화학|{{{#fff {{{-2 고급무기화학}}}}}}]] ||||<#800080><:> {{{#fff {{{-2 화학평가방법론}}}}}} [*C] || [[자연과학대학]]에 존재하는 [[화학과]]와 교육과정을 비교해보면 메인 과목격인 네 과목([[유기화학]], [[물리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을 배우는 것은 같지만 내용의 깊이나 사이드로 배우는 과목들이 각각 다를 수 있다. 또한 화학교육과인 만큼 교육학적인 요소들이 포함된 과목들(화학교육론 등)도 교육과정에 편성되어 있다. 특히, 화학교육론이나 화학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같은 수업은 [[화학과]]에서 교직이수를 하는 학생들도 들어야 하는 수업이기 때문에 정규 수업시간에 모르는 얼굴들이 수업을 들으러 오면 10명 중 9명은 교직이수를 하는 [[화학과]] 학생일 것이다. 나머지 1명은 재수강이나 복학을 하기 위해 돌아온 고학번. 화학교육과에 합격했다면 입학 전에 [[화학Ⅰ]]과 [[화학Ⅱ]]를 복습하는 것을 추천한다. 화학교육과에서 배우는 전공과목은 화학과와 디테일은 다를지언정 큰 맥락은 비슷하다. 물론 일반화학에서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내용을 다시 다루긴 하지만 그 내용들을 바탕으로 심화 개념을 확장시키는 순간 학생들의 멘탈이 날아가는 경우가 다반사다. 가령, [[오비탈]]을 배우면서 분자 오비탈 이론을 배운다던가 전기화학을 배우면서 [[네른스트 식]]이 등장하면 앞에 내용도 이해가 잘 안 가는데 저 내용은 뭐지?라면서 수업을 포기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화학전공과목으로 넘어가게 되면 배우는 과목들은 당연히 일반화학 내용을 바탕으로 내용을 전개시키기 때문에 일반화학 공부가 허술하면 수업을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이고 임용시험을 봐야 하는 입장에서 수업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엄청난 타격이 될 것이다. 물론 이런 내용들이 뒤에 상세 과목에서 또 나오기는 한다만, 그 과목에서 저런 일반화학 수준의 내용만 나올 리가 없으므로 이래서야 앞에서 말한 상황의 반복이다. --[[포기하면 편해]]-- 교원자격증 필수 이수과목에 실험 수업이 있는 만큼 실험 수업이 따로 개설되거나 이론 과목이 붙어있는 경우가 흔하며 매 학기마다 실험 수업이 따라다니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따라서 거의 매 학기마다 실험 준비와 결과 보고서를 써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임용 시험 문제도 종종 실험 장면이나 과정을 보여주면서 문제를 풀라고 하는 경우가 매년 출제되기 때문에 모든 실험을 심도 있게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기본이 되는 정도는 꼭 숙지해야 한다. == 졸업 후 진로 == * [[중등교육기관|중등학교]] 과학/화학 교사 * 학원 과학/화학 과목 강사 * 연구자 & 화학 전공 과목 교수 [* 학부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하고 [[화학과]]나 [[화학공학과]] 대학원에 진학해서 연구자나 교수의 길을 걷는 사람들도 많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의 예를 보면, 화학교육과와 같은 건물을 쓰는 화학과 교수 14명 중 3명이 학부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한 사람이다.] * 공무원 [* 여기서 말하는 공무원은 화학 관련 기술직공무원도 포함되지만 교육학 지식을 살려 교육행정직 공무원으로 가는 인원도 적지 않다.] * 반도체, 정유산업 등 일반 기업 [* 일반 기업체 취직시 화학과와 동등하게 취업이 가능하다.] 사범대학에 진학한 만큼, 많은 인원이 졸업 후 교사 임용을 꿈꾼다. 임용시험 T.O가 당연히 많지는 않지만 과학 과목 내에서는 평균적으로 2위 정도를 유지하고[* 1위는 주로 생물, 2017학년도 임용시험때는 화학이 가장 많았음] 응시자 수가 생물보다는 약간 적어 전국 평균 경쟁률이 8~9:1 정도를 유지한다. [* 2017학년도 임용시험 때는 전국적으로 응시자 수 집단이 늘어난 비율에 비해 선발인원이 늘어난 비율이 높아 경쟁률이 8:1에도 못 미쳤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그 해에 해당하는 사항이다. 임용시험 T.O는 언제든 바뀔 수 있으며 전년도 T.O와 경쟁률이 꿀이라고 해도 다음 년도 T.O와 경쟁률이 꿀이라는 보장이 없다. 특히 과학계열은 T.O의 변동이 심한 편.] == 설치 대학 == *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 [[https://sciedu.kangwon.ac.kr/sciedu/index.do#a|과학교육학부 화학교육전공]]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 [[https://chemedu.knu.ac.kr/|화학교육과]] *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 [[http://chemedu.gnu.ac.kr/chemedu/main.do|화학교육과]] *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 [[https://chemed.kongju.ac.kr/|화학교육과]] *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 [[https://h2o.daegu.ac.kr/hakgwa_home/h2o/mobile/index.php?|화학교육과]] *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 [[https://chemedu.pusan.ac.kr/chemedu/index.do|화학교육과]]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 [[https://chemedu.snu.ac.kr/|화학교육과]]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 [[https://www.scnu.ac.kr/chemedu/main.do|화학교육과]] *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 [[http://chemedu.jnu.ac.kr/|화학교육과]] *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 [[https://chemedu.jbnu.ac.kr/chemedu/index.do|과학교육학부 화학교육전공]] *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 [[https://www.chosun.ac.kr/user/indexMain.do?siteId=chemedu|화학교육과]] *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 [[http://edu.chungbuk.ac.kr/chemedu/index.do|화학교육과]] * [[한국교원대학교]] 제3대학 - [[https://chemedu.knue.ac.kr/smain.html|화학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