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환마)]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9e45d53b.jpg]] || 한글판 명칭 ||<-4>'''환마 제왕 트릴로지그'''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幻魔帝, ruby=げんまてい)]トリロジーグ'''|| || 영어판 명칭 ||<-4>'''Phantasm Emperor Trilojig'''|| ||<-5> 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0 || 어둠 || 악마족 || 4000 || 4000 || ||<-5>레벨 10 몬스터 × 3 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3개의 힘이 하나가 되었을 때, 시공의 너머로부터, 최강의 마법을 불러낸다! 융합 소환!!! 나타나라! 환마 제왕 트릴로지그!!"'''[* [[유우키 쥬다이]]가 [[엘리멘틀 히어로 스톰 네오스]]를 소환할 때 했던 소환영창과 비슷하다. 무슨 연관성이 있나 싶지만 사실 Gx의 제대로 된 소환영창이 저 카드 하나뿐이기 때문.] >---- >[[EVE(유희왕 ARC-V)|EVE]] [[유희왕 ARC-V(코믹스)|유희왕 ARC-V 코믹스]]에서 [[EVE(유희왕 ARC-V)|EVE]]가 [[사카키 유우야]]와의 듀얼 중 사용. 미스테크 팩터즈 멜키오르의 효과로 미스테크 팩터즈 카스파르, 미스테크 팩터즈 발타자르를 포함한 3장으로 [[융합 소환]]되었으며, [[시계신조 불가타]]의 효과로 필드가 빈 유우야를 직접 공격하며 승리를 노렸으나 실패했다. 이후 [[다크 앤서리온 드래곤]], [[클리어윙 패스트 드래곤]]에 의해 약체화되어 전투로 파괴되었으나, [[No.XX 인피니티 다크호프]]의 효과로 소생되었으며, 2번의 소생과 시계신조 불가타의 소생을 트리거로 삼아 자신의 효과로 합계 6250의 효과 데미지를 주었다. 나중에는 [[시계신조 불가타]]의 효과를 얻은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에 의해 나머지 2장과 함께 제외되고, 직후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이 필드에서 벗어나 귀환하지 못한 채 끝나버렸다. || [[파일:PhantasmEmperorTrilojig-EN-Manga-AV-ConceptArt.png|width=100%]] || || 설정화[* 본 이미지에는 식자 처리가 잘못되어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로 표기되어있다.] || [[혼돈환마 아미타일]]에 이어 등장한 융합 [[삼환마|환마]] 몬스터로,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모두 [[환마황제 라비엘]]과 같다. 작중 [[사카키 유우야]]의 발언에 따르면, 해당 세계관에서도 [[환마]]는 [[시계신]], [[No.(유희왕)|No.]] 카드처럼 전설급 몬스터로 알려져 있는 모양. 하지만 생김새는 환마랑 동떨어진 [[기황]]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 디자인적인 면에선 실망하는 팬들이 많다. 오히려 이들보다는 [[정크(유희왕)|정크]]나 [[아르카나 포스]]랑 비슷해보인다는 의견도 대다수. 한편 작명 방식은 삼환마와 마찬가지로 GX의 악역들이 사용한 [[제왕(유희왕)|제왕]]과 유사하며[* 공교롭게도 코믹스판 작중에 등장한 [[사와타리 신고]] 또한 어둠 속성 주축의 [[제왕(유희왕)|제왕]] 덱을 사용했다.], OCG 한글판에서도 이에 따라 '환마 제왕'으로 표기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幻魔帝トリロジー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환마 제왕 트릴로지그, 일어판명칭=幻魔帝(げんまてい)トリロジーグ, 영어판명칭=Phantasm Emperor Trilojig,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10, 공격력=4000, 수비력=4000, 소재=레벨 10 몬스터 × 3,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또는 이 카드가 이미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가 묘지에서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프리미엄 팩|프리미엄 팩 2019]]에서 OCG화되었다. 자신의 특수 소환, 또는 자신의 몬스터가 소생되었을 경우에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원래 공격력의 절반만큼의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발효과]]를 가졌다. 소환 조건은 레벨 10 몬스터 3장으로 상당히 빡세지만, 소생 제약 없는 공격력 / 수비력 4000의 몬스터이기에 재활용하기 쉬우며 효과 역시 자신이나 다른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를 트리거로 삼기에 소생 계열 카드들과 잘 맞는다. 일단 특수 소환만 되면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원래 공격력의 절반만큼 효과 데미지를 줄 수 있긴 하지만 레벨 10 몬스터 3장으로 나오는 거 치곤 효과가 심심한 편. [[혼돈환마 아미타일]]이랑은 달리 패 / 묘지 융합도 가능하단 게 위안인 듯. 이 카드를 쓴다면 [[네크로 퓨전]]으로 상대 턴에 기습 묘지 융합하는 게 가장 좋을 듯하다. 공격력 / 수비력 4000의 몬스터가 갑툭튀하면서 효과 데미지까지 줄 수 있기에 잘만 쓰면 쓸 만하다. 그리고 융합 소재인 레벨 10 몬스터로는 [[유벨]], [[아르카나 포스 EX-빛의 통치자|빛의 통치자]], [[아르카나 포스 EX-어둠의 통치자|어둠의 통치자]], [[레인보우 드래곤]],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 [[삼환마]], 그리고 레벨 10의 융합 몬스터 혹은 의식 몬스터 등이 있으며, 만약 상대가 레벨 10 몬스터를 불러낸다면 [[초융합]]을 사용해서 상대 필드의 레벨 10 몬스터를 잡아먹고 이 카드를 소환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악마족 융합 몬스터라 [[다크 퓨전]]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계약서(유희왕)#마신왕의 계약서|마신왕의 계약서]]에도 대응하며, [[DD(유희왕/카드군)|DDD]]에는 레벨 10 몬스터가 여러 장 존재하는 덕분에 해당 덱에서 [[네크로 퓨전]] 없이도 [[융합 소환]]을 해낼 가능성이 있다. 다만 카드 소비가 많아지므로 굳이 이런 식으로 꺼낸다면 그 턴에 승부를 보는 편이 좋겠다. [[라의 익신룡]]과 상성이 좋은 편으로, 묘지로 보낼 수단이 적었던 [[라의 익신룡-불사조]]를 [[미래융합-퓨처 퓨전]] 등으로 단번에 덤핑시킬 수 있다. 이 때 [[라의 익신룡-구체형]]을 묘지로 보내두면 [[팬텀 오브 카오스]]의 효과로 라의 익신룡을 리크루트할 수도 있다. [[EVE(유희왕 ARC-V)|EVE]]가 같이 쓴 [[시계신조 불가타]]는 [[시계신]]에 레벨을 낮추는 튜너가 없고, [[No.XX 인피니티 다크호프]] 역시 랭크 4 엑시즈 소환이 주력인 [[유토피아(유희왕)|유토피아]]와 조건이 맞지 않지만, 이 카드는 삼환마들이 레벨 10이라서 같이 쓸 수는 있다.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에서 등장한 [[차원 융합살]]의 특수 소환 대상이 환마 융합 몬스터로 상향되어 이 카드도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기에 소생 제한 룰에 걸린다. 정작 환마 덱 내에서는 투입율은 낮다. 일단 비주얼부터 미스매치라서 별로이고, 레벨 10 몬스터를 '''세 마리나 잡아먹는 것''' 치고는 그다지 차별성이 없다는 것. 효과가 월등히 좋은 것도 아니고, 타점이 높은 것도 아니다.[* 공/수 4000은 일반적으로 높은 수치지만, 이 카드의 소재가 될 라비엘, 하몬도 공수 4000이다.] 거기에 실락원의 효과도 받지 못하여 내성도 전무하고 동일한 소환 조건으로 아미타일 혹은 라쇼몽 소환이 가능한데 굳이 트릴로지그를 소환할 필요가 없다. 효과 역시 몬스터를 파괴하는 것도 아니고, 번 대미지를 노린다면 환마 두체면 소환되는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를 소환하는게 더 효율적이다. ||수록 시리즈 || ||<(> 2018-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9PP-JP013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201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0-03-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8-JP041 | [[혼돈의 삼환마|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混沌の三幻魔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8-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4-KRA13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4 1st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0-06-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8-KR041 | [[혼돈의 삼환마|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3-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UOV-EN039 | '''DUEL OVERLOA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0-07-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SA-EN041 | [[혼돈의 삼환마|STRUCTURE DECK: SACRED BEAS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삼환마, version=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