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히어로(유희왕))]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PhantomMagician-JP-Manga-GX.jpg|width=300]] || 한글판 명칭 ||<-4>'''환영의 마술사'''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幻影, ruby=げんえい)]の[ruby(魔術士, ruby=まじゅつし)]'''|| || 영어판 명칭 ||<-4>'''Mirage Magicia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어둠 || 마법사족 || 600 || 700 || ||<-5>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덱에서 공격력 1000 이하의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GX(코믹스)|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 [[에드 피닉스]]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쥬다이의 [[마스크드 히어로#마스크드 히어로 열화|마스크드 히어로 열화]]의 공격에 파괴되어 효과로 [[비전 히어로#비전 히어로 머티플리 가이|비전 히어로 멀티플리 가이]]를 특수 소환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card7371146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환영의 마술사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幻影(げんえい)魔術士(まじゅつし), 영어판명칭=Phantom Magician,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600, 수비력=700, 효과1=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의 덱에서 공격력 1000 이하의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공격력 1000 이하의 [[히어로(유희왕)|히어로]] 몬스터를 리크루트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히어로(유희왕)|히어로]] 전반에 대응하긴 하지만 공격력 1000 이하라는 제약이 있어 리크루트할 수 있는 몬스터는 그리 많지 않다. 발동 조건이 전투 파괴라는 것도 약점으로, 현 환경에서는 느린 부류에 속하여 안전성이 떨어진다. [[데스티니 히어로]]쪽은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가 있기에 잘 쓰이지 않으며, [[엘리멘틀 히어로]]도 [[E-이멀전시 콜]]이 있어서 좀 사용하기 버거운 비운의 카드. 자폭 특공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를 특수 소환할 수 있어 [[마스크드 히어로#마스크드 히어로 암귀|마스크드 히어로 암귀]]를 이용해 연속 공격으로 연계할 수 있다.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로도 가능하지만 이 쪽은 공격력이 낮아 발동하기가 더 쉽다. 그렇다고는 해도 더 쓰기 쉬운 수단이 존재하는데다 이 카드 자체는 [[히어로(유희왕)|히어로]] 카드군에도 속하지 않으며, 레벨 / 종족도 주력 히어로 카드와 맞지 않는 카드라 채용할 이유가 마땅치 않은 것이 현실. 이름에 '[[마술사(유희왕)|마술사]]'가 들어가지만, [[마술사(유희왕)|마술사(魔術師)]] 카드군에 속하지 않는다. 해당 카드군은 [[펜듈럼 소환|펜듈럼 몬스터]]만 포함되는데다, 일본판의 경우엔 한자 표기(魔術士)도 다르다. 2023년 시점 국내에 아직까지 정발되지 않은 V점프 동봉 카드들 중 출시된지 가장 오래된 카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V점프]] 2010년 5월호 1년 정기구독 특전 || VJMP-JP05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9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