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료기기)] [목차] == 개요 == 바이탈 사인 모니터(vital signs monitor)[* 아마존 상품명 vital signs monitor[[https://www.amazon.com/vital-signs-monitor/s?k=vital+signs+monitor]]] 또는 환자감시장치([[患]][[者]][[監]][[視]][[裝]][[置]])는 환자의 [[맥박]], [[체온]], [[혈중 산소 농도]] 등을 체크하여 그래프로 보여줌으로써 의료진에게 알리는 기능을 하는 장치 또는 임상학적 용도로 사용되는 장비이다. ~~저속 오실로스코프~~ == 상세 == 드라마의 병실 내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기계이며, 감시라는 단어의 어감이 좋지 않아 병원에서는 "환자 모니터링 장비"라고 부르는 추세이다. [[심전도]] 그래프도 같이 보여주기 때문에 파형을 보고도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구급차, 병원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에서 사용된다. 이 때 임상 결정과정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대개 하얀색에 8인치 혹은 10.1인치 800*600 컬러 LCD가 달린 것을 생각하기 쉬우나, 의외로 주머니에 들어갈 만큼 작은 기기도 있으며 이래봬도 제 할 일은 다 한다. 환자 감시장치는 주로 4개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종류가 아주 많으니, 구입 시 신중하게 결정을 하게 된다. * 저성능 감시장치 - [[앰뷸런스]] 등 큰 장비를 쓸 수 없을 경우, 개인용, 평상시에 '''시험 삼아''' 해볼 때 사용된다. * 중성능 감시장치 - 병실에서 사용된다. * 고성능 감시장치 - [[수술]]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사용된다. * 중앙 관제 센터 - 관제센터와 감시장치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면, 응급상황 발생시 기계가 시끄럽게 '큰일났어요!!!' 라고 울리지 않아도 의사에게 연락이 들어간다. [[필립스]]라든가, [[지멘스]]라든가 [[제네럴 일렉트릭]] 등의 꽤 유명한 회사들에서도 이 기계를 생산하고 일본산 니혼코덴과 국산 메디아나도 흔히 사용한다. 90년대까지는 [[휴렛팩커드]]도 생산하기도 했었다[* 알림음은 필립스제하고 동일하다.][[https://www.youtube.com/watch?v=bCT81dnbSTA|#]]. 특히 필립스제는 국내 어느 대학/종합병원에 가든지 반드시 있다고 봐도 좋다. 환자감시장치는 대부분 영문으로 나온다. 필립스, GE등은 물론 한국제 기기도 영문으로 설정해 놓는 경우가 많다. == 용어 == 아래는 기본적으로 환자감지장치가 표시하는 용어들이다. * HR[* '''H'''eart '''R'''ate] - 분당 [[맥박]]을 의미한다. * NIBP[* '''N'''on-'''I'''nvasive '''B'''lood '''P'''ressure], ABP[* '''A'''rterial '''B'''lood '''P'''ressure] - 각각 비침습적 [[혈압]] 추정치, 동맥 혈압을 의미한다. * SPO2[* '''S'''aturation of '''P'''eripheral Oxygen ('''O2''')] - [[산소 포화도]]를 의미한다. * RR[* '''R'''espiration '''R'''ate] - 호흡 횟수를 의미한다. 아래는 환자 상태가 위험함을 나타내는 용어들이다. * Asystole - [[심정지]]를 의미한다.[* 니혼코덴, 필립스 모델 모두 asystole라는 단어 전체가 표시된다.][* 지멘스의 모델에선 ASY라고 나온다.] * Tachy[* '''Tachy'''cardia] - [[빈맥]]을 의미한다. 니혼코덴의 기기는 TACHYCARDIA로 표시된다. * Brady[* '''Brady'''cardia] - [[서맥]]을 의미한다. 니혼코덴의 기기는 BRADYCARDIA로 표시된다. * VF[* '''V'''entricular '''F'''ibrillation] - [[심실세동]]을 의미한다. 기기에 따라서는 Vent-FIB, V-FIB으로도[* 니혼코덴] 표시되기도 한다. * Apnea - 무호흡을 의미한다. * Desat[* Oxygen '''Desat'''uration] - 산소포화도 감소를 의미한다. == 저성능 환자감시장치 == 개인 의료기기 시장에도 진출한 지 오래되었고, 저성능 감시장치의 가격은 2015년 현재 200만원 정도 한다. 주로 산소 포화도 측정을 우선으로 하며 [* [[혈압계]]는 집에 있는 사람도 은근히 많다. 이게 없으면 혈압 측정하러 여기저기 돌아다녀야 하니 많은 고혈압 환자들이 가정용 혈압계를 집에 가지고 있다. 특히 아직 건강에 관심이 많은 10~20대 고혈압 환자들이나 30~40대 고혈압 환자들은 대부분 가정용 혈압계를 가지고 있다.] 본격적으로 환자 감시 모니터라고 할 만한 산소 포화도, 심전도, NBP, 체온 등을 측정 가능한 제품군이 있다. 국내에서 제조되는 제품중에는 160만원의 파격가 ~~그런데 딱 4가지밖에 안되는~~ 제품이 있으며 이런 제품군이 바로 개인을 노리는 제품군이다. 이런 장치들은 대개 네트워크 설비 없이도 작동된다. 의료장비이니만큼 아무리 저성능이라 해도 의료진단에 쓸 만큼 정밀한 성능은 나온다. 옵션이 빈약할 뿐이다. 저성능 수준을 넘어서면 의료진 없이는 쓸 수도 없는 옵션이 많아지기 때문에[* 개인이 어떻게 가슴에 구멍내고 [[카테터]]를 삽관할 수 있을까(...)] 괜히 비싼 기기를 사서 돈낭비를 하는 일이 없는 게 낫다. == 중형 이상 == 병원의 진료 시스템과 연동되는 기기가 많다. [[http://www.healthcare.philips.com/pwc_hc/main/shared/Assets/Images/PatientMonitoring/Product/intellivue_mp80/pg_intellivue_mp80_main_en.jpg|네트워크 연동이 되는 장치들]] 개인용 장비는 혼자 있어도 되지만 중성능 장비부터는 웬만하면 유무선 네트워크 옵션이 기본으로 붙기 때문에 중앙관제센터 구성이 없을 경우 작동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소리 == 장치의 제조사에 따라 다르지만 장치가 규칙적인 음을 내고있다면 환자가 정상적인 상태, 불규칙적이거나 빠른 음은 환자 상태가 주의가 필요한 수준 또는 위험하다는 뜻이다.[* 이 경우 모니터 화면에 해당 수치를 나타내는 숫자가 점멸하거나 그 숫자를 색깔 있는 사각형이 씌워서 표시된다. 또한 위험함을 나타내는 용어도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며, 지시등도 황색불 또는 빨간색 불로 깜빡거린다.] 긴 음을 내고있다면 환자가 이미 사망했다는 뜻이다.[* 이 경우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 횟수, 혈압수치 등을 알려주는 그래프도 완전한 일직선 형태의 모양으로 바뀐다. 숫자들도 0 또는 ?, -, 일부 모델은 심박수가 ASY(Asystole, 흔히 생각하는 일직선 파형) 등으로 뜬다.] 자세히 듣고 있으면 삑-삑-삑-의 신호음이 들리는데 이는 SpO2(산소포화도) 측정 중에 나오는 박동신호이다. 즉, 신호음의 주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기계마다 역시 달라서 EKG(심전도) 기준으로 신호음을 보내는 기계도 있다. 이 소리 외에는 '삐-' 나 '삑-' 등의 '사각단파' 로 이루어진 소리를 쓰지 않는다. GPS 3대 의료기기 제조사[* 병원용 고성능 정밀 의료기기 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필립스|'''P'''HILIPS]], [[지멘스|'''S'''IEMENS]] 이 세 회사를 뜻한다. ] 중 필립스의 제품은 '핑핑핑-' 소리가 난다만, 이것도 삑은 아니고 기타 대부분의 PM은 보통 문제가 발생할 경우 '딩-딩-', '띵띵띵-', '둥둥둥' 다양하다. 심지어 EKG시그널 말고는 삑- 소리가 없는 PM도 있다. [youtube(r8s21EZ9lVk)] 필립스 인텔리뷰 기준: 파란색 / 시스템 체크 알림 / 둥ㅡ 둥ㅡ 또는 EKG 신호나 SpO2 신호에 맞춘 낮은 소리 노란색 / 환자 상태 안좋음 / 딩ㅡ 딩ㅡ 또는 낮은 삼각파의 소리 0.5hz 빨간색 / 위급 상황 / 삐삐삐-삐삐 삐삐삐-삐삐 또는 삐-삐-삐-삐- . 같은 주기로 삼각파 소리 세팅 역시 가능하다. 일부 증상 / 위급상황 / 삐삐삐- 삐삐삐- 삐삐삐- 삐삐삐- 삐삐삐- 랑 삐삐삐-삐삐 삐삐삐-삐삐 삐삐삐-삐삐 가 같이 울린다. 일부 증상을 제외하면 트럼펫 비슷한 소리와 삼각파,사인파 소리다. [youtube(RtMhiXIrxws)] 위 기기에서 '''NBP[* '''N'''o '''B'''lood '''P'''ressure, 혈압 측정치 없음] No Cuff[* 혈압 측정용 커프가 부착되지 않음], Touch when cuff attached[* 혈압 측정용 커프 부착 후 이곳을 터치하십시오]'''는 커프가 부착되지 않아서 혈압 분석이 불가능할 때 표시된다. 또한 위 영상을 재생하면 산소포화도 수치가 정상적인 수치인 99~100%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숫자가 점멸하고 있다. 일부 매우 응급 상황 중 하나인 Venticular Tachycardia[* 심실성 빈맥을 뜻한다. 장비에 따라서 Extreme Tachy 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가 발생한 경우. 28초 부터 들리는 가장 높은 소리의 삐삐삐- 삐삐- 소리는 음색 또는 음높이가 다르더라도 IEC규정을 따라가는 필립스 인텔리뷰 / 지멘스 DICOM 을 포함한 보편적인 환자감시장치가 동일한 리듬으로 알려준다.[* 다만 '''보편적''' 이라는 어휘 선정을 한 만큼, 해당 패턴으로 알려주지 않는 기종도 꽤 있다. 대체로 중국, 한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 제작된 제품들이 그렇다.] [youtube(_UdWFIv8Gxw)] 지멘스 DICOM 기준: 노란색 / 환자 상태 안좋음 / 삐ㅡㅡㅡㅡㅡ (1000hz) 연속음 또는 띠딩-띠딩-띠딩- 높은 음을 가진 차임벨 음향 빨간색 / 위급 상황 / 삐비삐비삐비삐비(1000hz-500hz 0.5hz주기 반복) 또는 높낮이를 가진 차임벨[* 띵동 띵동 띵동] 음향 연속음이나 단속음은 100% 정현파(사인파)다. GE 캐어스케이프는 가격이 너무 비싸고 쓰는 곳이 거의 없으니 생략한다. [* 사용 병원으로는 건국대학교병원과 아주대학교병원 등이 있다.] [youtube(VL5GPBYp9R4)] 니혼코덴에서 제조한 기기는 환자 상태가 주의가 필요한 수준인 경우 위 기기들과 동일하게 지시등이 황색으로 점멸하며, 띵동-띵동-띵동[* 하이로우 스타일의 휘호- 휘호- 톤] 하는 알람이 울리며, 설정에서 땅땅--땅땅 또는 띵띵띵(음 높낮이 있음) 소리로도 바꿀 수 있다. 또한 환자 상태가 위험한 경우 지시등이 빨간색으로 점멸하고 삐이이-삐이이-삐이이 하는 알람이[* 전화벨 소리와 비슷하나 음이 날카롭고 높다.] 울리며, 설정에서 땅-땅-땅 또는 띵띵띵 띵띵(음 높낮이 있음) 소리로도 변경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라이프스코프를 설치한 곳 대부분은 NK1(니혼코덴1)사운드를 적용하기에 위 영상의 소리면 충분한 예시가 될 것이다. 이런 알람이 병실에서 울리는 경우 구축되어 있는 [[와이파이]]를 통해[* 환자 감시장치는 보통 환자와 같이 따라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수술을 제외하면, 무선네트워크가 아니면 상태공유가 매우 어렵다.] 당직 의사에게 전달되어 위급 상황을 바로 알 수 있어 굳이 큰 볼륨으로 쓰지도 않는다. [[파일:external/www.dremed.com/Intellivue_40_50_large%20copy.jpg]] 종류에 따라 다른데 전세계적으로 많이 쓰기로 유명한 [[필립스]]의 IntelliVue 시리즈는 탑등처럼 모니터 좌상단에 지시등이 달려있어 주의/경고를 할 때에는 빛을 내며 신호를 보낸다. 예외로, 개인용인 IntelliVue X 시리즈는 지시등이 우상단에 있다. [[분류:의료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