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황갈색올빼미}}}[br]Tawny ow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trix aluco.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Strix aluco'' '''[br]([[Linnaeus]], 175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신조상목(Neo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올빼미목(Strig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올빼미과(Strigidae) || || '''아과''' ||올빼미아과(Strig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올빼미속(''Strix'')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황갈색올빼미(''S. aluco'')''' || [목차] [clearfix] == 개요 == [[올빼미]]과 올빼미속의 새. 사람들의 접근이 거의 없는 깊은 숲 속에 둥지를 틀며 갈색올빼미라고도 한다. [[회갈색올빼미]]와는 다르다. == 생김새 == 신장은 50cm, 날개폭은 100cm, 체중은 800g이다. 머리통은 크고 동글동글하며 우각이 없다. 어두운 회색 눈을 둘러싸는 얼굴원반은 대개 민무늬이다. 기아종은 깃털 색깔에 다형성이 두 가지 있다. 한 형태는 윗부분이 적갈색이고 다른 형태는 윗부분이 회갈색이다. 다만 중간 형태도 나타난다. 두 형태 모두 아랫부분은 흰 바탕에 갈색 세로줄무늬가 덕지덕지 붙어 있다. 깃털갈이는 6월에서 12월 사이에 점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올빼미는 성적 이형을 가진 종으로서 암컷이 수컷보다 훨씬 크다. 신장은 5% 더 크고 체중은 25% 더 무겁다. 올빼미는 둥근 날개로 길게 활공비행을 한다. 다른 유라시아 올빼미과와 비교했을 때 날갯짓을 적게 하고 퍼덕임은 거의 하지 않는다. 또 나는 고도가 대개 다른 올빼미들보다 높다. 올빼미의 비행은 묵직하고 느리며, 특히 이륙 순간에 그러하다. 대부분의 올빼미류가 그러하듯 올빼미의 비행도 소리없이 은밀하다. 이는 부드럽고 복실복실한 깃털 윗면과 바깥쪽 첫째날개깃의 띠 모양 가장자리 덕분이다. == 생태 == 한 살이 되면 짝을 짓기 시작하며, 대개 한 번 짝을 지으면 평생을 단혼으로 해로한다. 올빼미 부부는 정착한 텃세권을 연중 방어하며, 텃세권 경계는 매년 거의 변하지 않는다. 낮에는 나무 몸통줄기 가까운 가지에 앉아 쉬는데, 7월에서 10월 사이에는 대개 따로 떨어져서 쉰다. == 분포와 서식 == 유럽 전역과 서부 시베리아에 분포하고 있다. == 경쟁 == 경쟁자로는 [[수리부엉이]], [[참매]], [[매(조류)|매]], [[검독수리]] 등이 있다. [[분류:올빼미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