皇甫闓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삼국시대)|조위]]의 장수. == [[삼국지(정사)|정사]] == 263년 5월에 [[조환]]이 칙령을 내려 촉한의 정벌이 시작되면서 [[등애]]와 [[제갈서]]에게 각기 3만여 명을 이끌게 했다가 제갈서는 [[종회]]의 모함으로 제갈서의 병력은 종회가 거느리게 되자 264년에 촉 정벌에 참군으로 종군했다. [[강유]]가 투항한 후에 종회가 보낸 상소에 따르면 강유, [[장익(삼국지)|장익]], [[요화]], [[동궐(삼국지)|동궐]] 등이 목숨을 위해 도주해서 성도로 가려고 할 때 황보개는 장군 [[왕매]]와 함께 부의 남쪽에서 병사를 내서 그들의 복부를 뚫도록 하면서 종회가 부현을 점거해 동쪽과 서쪽의 군대를 지원했다고 한다. 또한 종회가 [[하후함]]과 함께 병사를 나누어 유리한 지세를 점거해 그물망을 넒게 하면서 남쪽으로는 오나라로 달아나는 길을 막으면서 북쪽으로는 국외로 탈주하는 길을 막아 사방으로부터 군사를 집결시켜 앞, 뒤로 나아가 작은 길을 모두 단절시켜 달아나 숨을 곳이 없도록 하라고 명령받았다. == [[삼국지연의|연의]] == 촉 정벌에 출정하는 장수의 명단에서 [[위관]], [[호열]], [[전속(삼국지)|전속]], [[방회(삼국지)|방회]], [[전장(삼국지)|전장]], [[원정(삼국지)|원정]], [[구건]], [[하후함]], [[왕매]], [[구안]] 등과 함께 언급되어 80여명의 장수들이 모였다고 한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kongming.net/huangfukai.jpg]] || || 삼국지 9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98.jpg|width=400]] || || 삼국지 13 PK, 14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42/70/56인데 차라리 문관에 가깝다. 병법으로는 투석, 덫,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지도를 들고 왼손으로 가리키면서 지휘를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52/63/56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과 무력이 10 상향되고 지력이 7 하향되었다. 특기는 문화 1, 훈련 2, 공성 3. 전수특기는 공성으로 전법은 교란. 그런데 무력 52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55, 지력 64, 정치 54,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7,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모집, 주의는 왕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2, 진형은 추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추행진 진형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육상전에서 전법을 아예 사용할 수 없지만 보급로 끊기용으로 쓰인다. [각주] [[분류:조위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