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항저우 스파크)] ---- || '''{{{#fff 황신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include(틀:2018 오버워치 월드컵 중국 대표팀)] ---- [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중국 대표팀)] ---- [include(틀:2021 오버워치 리그/MVP 후보)]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정규시즌 MVP)]}}}}}}}}} ||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롤스타 상/DAMAG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ave_HZS_2023.png|width=100%]]}}} || ||<-2> '''{{{#ffde00 오버워치 월드컵 중국 국가대표 No.10}}}''' || ||<-2> '''[[항저우 스파크|{{{#fff 항저우 스파크}}}]] No.10[* 청두 시절때는 23번 사용][br]{{{+1 Leave}}}''' || ||<-2> '''黄馨 (Huang Xin / 황신)''' || || '''출생''' ||[[2001년]] [[10월 23일]] ([age(2001-10-23)]세) || || '''국적'''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 || '''ID''' ||'''Leave''' evaeL ||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DAMAGE || || '''감도''' ||DPI 800 / SENS 6.0 || || '''별명''' ||옵신, 엠페러갓[* 본명을 영어로 직역하면 엠페러갓이된다.]|| || '''주 영웅''' ||[[트레이서|[[파일:트레이서 초상화.png|width=30]]]] [[에코(오버워치)|[[파일:에코 초상화.png|width=30]]]] [[위도우메이커|[[파일:위도우메이커 초상화.png|width=30]]]] [[캐서디|[[파일:맥크리 초상화.png|width=30]]]] [[한조(오버워치)|[[파일:한조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Miraculous Youngster|[[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Miraculous_Youngster_logo.png|width=25]] Miraculous Youngster]]''' '''(2016.12.15 ~ 2017.12.06)''' [[청두 헌터즈|[[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height=25]] '''청두 헌터즈''']][br]'''(2019.07.25 ~ 2023.03.06)''' '''[[항저우 스파크|[[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height=25]] 항저우 스파크]][br](2023.03.06 ~ )''' || || '''국가대표'''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2017 오버워치 월드컵|2017]], [[2018 오버워치 월드컵|2018]], [[2023 오버워치 월드컵|2023]]) || ||<-2> [[https://weibo.com/u/6129046782|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https://huya.com/121102| [[파일:후야 아이콘.pn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청두리브.jpg|width=100%]]}}} || || '''Huang "Leave" Xin''' || [[중국]] 출신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이자 現 [[항저우 스파크]] Damage 포지션 선수. 메인 딜러와 서브 딜러를 가리지 않는 영웅폭과 높은 숙련도를 가진 슈퍼 플렉스형 딜러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청두 헌터즈 활동 당시 인기와 실력을 담당하는 슈퍼스타 라인업의 일원이었다. == 주요 경력 == ||<-5> '''{{{#fff 우승 경력}}}''' || ||<-5> '''[[2017 오버워치 넥서스컵 Summer]] 우승''' || || [[wNv Teamwork|wNv.KR]] || → || '''Miraculous Youngster''' || → || [[X6-Gaming/오버워치|X6-Gaming]] || ||<-5> '''Overwatch Premier Series 2017 - Summer & Grand Finals 우승''' || || 1246 || → || '''Miraculous Youngster''' || → || ''대회 개편'' || ||<-5> '''{{{#fff 준우승 경력}}}''' || ||<-5> '''[[2018 오버워치 월드컵]] 준우승''' || || 캐나다 || → || '''중국''' || → || 중국 || ||<-5> '''[[2021 오버워치 리그/썸머 쇼다운|2021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 [[2021 오버워치 리그/카운트다운 컵|카운트다운 컵]] 준우승''' || || [[댈러스 퓨얼]] || → || '''청두 헌터즈''' || → || ''미정'' || ||<-5> '''[[2023 오버워치 월드컵]] 준우승''' || || 중국 || → || '''중국''' || → || ''미정'' || ||<-5> '''{{{#fff 수상 경력}}}''' || ||<-5> '''[[2021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MVP''' || || [[김병선]] {{{-2 ([[상하이 드래곤즈]])}}} || → || '''황신[br]{{{-2 (청두 헌터즈)}}}''' || → || [[김동현(2003년 12월)|김동현[br](샌프란시스코 쇼크]]) || == 상세 == Miraculous Youngster 시절부터 중국에서는 최고의 딜러 자리를 놓치지 않았고 [[루나틱하이|국내]] [[러너웨이|강팀]]들을 상대로 캐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국인들은 대부분 2017년 서울컵에서 리브를 처음 보았는데, 루나틱과의 경기에서 뛰어난 둠피스트 사용을 보여주었다. 당시 [[https://www.youtube.com/watch?v=RSf5zmeAUsg|리장타워에서 둠피스트로 딜링을 하는 모습]]은 많은 이들을 감탄하게 했다. 여러모로 중국 내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인물로, 2018년엔 이렇다할 활동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국가대표로 선정되었다. 물론 그 폼이 죽지는 않아서 중국의 준우승을 이끌긴 했지만 일반적인 관점으로 봤을때 1년 이상 프로를 쉰 선수를 국가대표로 선발한다는게 이례적인 결정이긴 하다. 옵드컵 준우승 이후 프로생활을 재개하나 싶더니 다시 휴식기에 들어갔다. 그리고 19년도 국가대표 후보 명단에 다시 이름을 올렸다. 오버워치 월드컵에서는 다양한 영웅폭과 [[둠피스트]]의 숙련도를 보여주었다. 다만 아쉬운 것이라면 중국팀의 다른 딜러 krystal이 leave와 비슷한 영웅폭과 더 임팩트 있는 실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물론 오랫동안 옵치를 안한 영향도 있다. 2019년 7월 25일, 2년에 가까운 공백을 깨고 [[청두 헌터즈]]에 입단하였다.[[https://twitter.com/ChengduHunters/status/1154331393029103617|#]] 2020년 3월 28일, 드디어 리그 데뷔전을 치뤘다. [[항저우 스파크]] 와의 경기에서 1,3,4,5세트에 출전했다. 트레이서, 한조를 주로 다루었다. 트레이서를 플레이 한 1세트 초반에는 이렇다 할 모습을 보이지 못하다가 1세트 후반부터 특유의 기계같은 에임과 안정적인 플레이로 갓스비의 트레이서를 필두로 한 항저우를 상대로 캐리쇼를 보여 1세트의 승리를 이끌었다. 그러나, 경기 후반에 자주 기용한 한조로는 궁극기를 채우는 속도가 갓스비에게 밀렸고, 킬 캐치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클러치 상황에서의 캐리력은 돋보인 편이다. 결국에 승승패패패로 데뷔전에 승리를 거머쥐지는 못했으나, 오랜 기간동안 프로 공백기가 있었다는 점, 건강 이슈로 팀에 녹아든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나름 성공적인 데뷔전을 치룬 편이다. MY 시절부터 핵의심을 받아왔던 특유의 기계같은 트래킹 에임은 여전했고, 무리하지 않아 데스가 적어 꾸준히 한타에 관여하였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20 시즌에는 트레이서와 에코를 비롯해 매우 넓은 영웅폭을 잘 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량을 뽐내었고, 2021년 현재는 투사체 담당 [[이후(프로게이머)|JinMu]]와 히트스캔 담당 [[레이위자|Jimmy]] 사이에서 팀의 기둥 역할을 하고 있다.[* JinMu가 파라를 하면 Leave는 트레이서를 들고, Jimmy가 히트스캔 영웅을 하면 Leave는 트레이서나 에코를 하는 등.] 특히 리그 전체 에코 선수들 중에서 데스 수가 약간 높은 것을 제외하면 모든 스텟이 전부 3위권에 드는 기염을 토할 정도. 2021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토너먼트 1일차 경기에서 트레이서로 댈러스 퓨얼을 압도하는 미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자신이 중최딜임을 다시한번 증명했다. 2021 오버워치 리그 MVP로 선정되었다.[* 메인 딜러 포지션으로는 첫번째 MVP] 관계자 투표는 공개로 진행됐는데 결과는 여기에 있다. [[https://assets.blz-contentstack.com/v3/assets/blt321317473c90505c/blt6cb9105912f8aedd/614966d6afaccf3e3b2ef302/2021-mvp-votes.pdf]] [[2021 오버워치 리그/플레이오프|플레이오프]]에서는 그가 왜 리그 MVP의 자격이 있는 것인지 증명하였지만 자리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디바 실력을 보인 [[마톈빈|LateYoung]]과 캡틴 [[리셴야오|Yveltal]] 대신 나온 [[탄리|Nisha]] 등의 부진한 기량에 발목을 잡히며 [[샌프란시스코 쇼크]]와의 패자 2라운드 경기에서 6세트 혈투 끝에 패배하며 시즌을 마감하고 말았다. 직접 상대했던 [[찰리 즈와그|Nero]]가 경기 후에 [[이후(프로게이머)|진무]]와 리브만은 칭찬하면서 고생했다고 트윗을 올렸을 정도. 2021년 하반기부터 시행중인 중국 정부의 게임 강력 규제 정책으로 인해 청두 헌터즈의 모기업이자 개인방송 플랫폼인 후야닷컴이 직격타를 맞고 재정난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청두 헌터즈도 긴축 정책으로 2022년 리그 개막 직전에 최소 로스터만 남기고 여러 선수들을 방출하였고 남은 선수들의 연봉은 후려쳤다고 한다. '''그런데 직전 시즌 MVP 수상자인 리브마저 연봉이 삭감되었다고 한다(...)''' 그 때문에 의욕이 꺾였는지 2022년 시즌은 여전히 잘하긴 하나 21시즌처럼 압도적인 캐리력은 보이지 못하고 있다. 캠화면을 봐도 20~21년처럼 집중하는 모습보다는 멍한 표정으로 의자에 반쯤 누워서 플레이하고 있다. [[2023 오버워치 월드컵]]에서 중국 국대로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결승전에서 2승을 먼저 먹고도 3연패를 당해 중국에 첫 우승을 안겨주는 데는 실패했다. ~~이름값~~ == 플레이 스타일 == DPS 포지션의 선수로 모든 딜러 영웅을 다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영웅폭이 넓다. 특이한 점이라면 아무리 히트스캔과 투사체를 가리지 않을 정도로 영웅폭이 넓은 선수라고 할지라도 보통은 메인딜러 혹은 서브딜러 둘 중 하나로 분류되기 마련인데[* 영웅폭이 넓다고 평가받는 딜러들 중에서 대표적으로 카르페, 립, 피츠, 버드링 등은 메인딜러로 분류되거나 정착했고 프로핏, 라스칼 등은 서브딜러로 분류된다. 리브와 비슷한 부류인 플레타도 상하이로 이적하고는 서브딜러로 정체성이 굳어졌다.], 리브는 그런 분류가 의미 없을 정도로 캐서디, 위도우메이커, 트레이서와 같은 히트스캔 딜러와 한조, 겐지, 에코, 둠피스트 등의 투사체 영웅을 동시에 플레이한다.[* 다만 파트너 딜러로 나오는 진무가 순수 서브딜러에 한정된 선수라 리브는 대체적으로 메인딜러 픽을 맡는 편이다. 다른 메인딜러 전담 선수가 진무 대신 출전하면 서브딜러 영웅을 주로 플레이한다.] 청두가 워낙 조합에 관대한 팀이라 체감 영웅폭은 더 넓은 편이다. 영웅폭 뿐만 아니라 개별 영웅들의 실력 또한 무시무시하다. 대부분의 딜러 영웅들을 웬만해서는 리그 평균 이상의 수준으로 플레이하고 그중에서 트레이서, 캐서디, 에코, 둠피스트 등은 리그 안에서도 실력자라고 평가받을 만큼 뛰어나다. 리브가 좋은 평가를 받은 영웅들의 상당수가 잘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에임을 요구하는 캐릭터들인데, 실제로 리브의 에임은 매우 날카롭다. 트레이서, 캐서디, 위도우메이커를 잘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것. 피지컬이 상당히 뛰어나고 이러한 장점이 공격적인 플레이 성향과 맞물려 폭발적인 캐리력을 자랑한다. 그와 주로 함께 호흡을 맞추는 딜러 파트너 [[이후(프로게이머)|JinMu]]도 강력한 캐리력을 자랑하는 선수인데, 둘이 영웅을 서로 스왑해서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도 상당한 강점이다. 단점은 영웅폭이 넓고 폭발적인 캐리력을 자랑하는 선수들 대부분이 갖고 있는 기복 문제. 다만, 리브의 경우는 [[청두 헌터즈|소속팀]]이 워낙에 유별나고 역사적으로 게임 내적인 면에서 여러 문제를 겪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어느정도 감안할 필요는 있다. 오히려 이러한 부분과 그가 팀에서 맡고 있는 수많은 역할들을 감안하면 기복이 큰 편은 아니라고도 할 수 있다. 21시즌 현재 리그 최고 수준의 딜러로 평가받고 있는데, 특히 트레이서와 한조를 들 때마다 거의 무조건 캐리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MVP 후보 10명에 이름을 올리면서 얼마나 팀에 기여했고 경기에서 돋보였는지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 리브의 한조 + 진무의 파라 딜러 조합은 맵 특성을 타는 것 외엔 거의 단점이 없을 정도. 사실 오버워치 리그 출범 이전부터 기량만큼은 의심의 여지 없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어왔고[* [[Miraculous Youngster|MY]] 시절에 이미 중최딜(중국 최고 딜러) 얘기가 돌았던 선수다.] 리그에 와서도 번뜩이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팀이 청두라(...) 빛을 비교적 늦게 본 케이스이다. 그런데 이렇게 2021 MVP 후보에도 올라오기까지 했는데 LA 글래디에이터즈와의 카운트다운 컵 본선에서 솜브라로 안 좋은 모습을 보여줘버려서 실제 MVP를 받을 자격이 있는지에 대해 커뮤니티에서 이야기가 많아졌다. 단순 컨디션 난조였는지 아니면 거품이였는지는 좀 더 봐야 알겠지만... 결국 MVP를 받았다. 2023년 3월 6일 항저우 스파크로 입단하였다.그 이후로 트레이서,에코,토르비욘등 여러 가지 픽들을 사용하며,말도 안 되는 캐리들을 수차례 보여줬고 자신이 여전한 육각형 서브딜러임을 증명하였다. 2023년 9월 30일 보스턴 업라이징 상대로 말도안되는 노데스 역대급 슈퍼 하드캐리를 트레이서로 보여주며 애틀란타 레인을 0대2에서 3대2로 리버스 스윕, 이어 보스턴 업라이징도 다시 한번 리버스 스윕을 해내며 POTM까지 따나며 동부팀이 서부팀에 비해 약하다는 면모를 지워버렸다. == 여담 == * [[2021 오버워치 리그]]의 최다 POTM 공동 수상자이다. (8회. [[김영한(프로게이머)|SP9RK1E]]와 공동 1위) * 트레이서, 한조는 6.5를 사용한다. * 표정 변화가 거의 없다. * 현재 22시즌 청두헌터즈에서 거의 본인만 사실상 소년가장이 되었는데 썸머 쇼다운 예선전에 들어가고나서부터 진무의 존재감이 사라져버려 리브가 캐리해야 청두헌터즈가 이길수있다는 인식이 박혀버렸다, 어떤사람들은 차라리 한국어나 영어를 배우고 다른팀으로 이적하면 어떠냐는 의견도 있다.[* 사실상 영어만 배워도 많은 서부팀중 하나로 이적한다고 가정할수 있기에 이것도 리브입장에서는 나쁘지 않겠지만 본인이 아직 언급은 안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청두 헌터즈)] [[분류:2001년 출생]][[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