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황의조)]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황의조/클럽 경력)]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5191a 8% , #000 8%, #000 9%, #b5191a 9%, #b5191a 10%, #000 10%, #000 11%, #b5191a 11%, #b5191a 33%, #000 33%, #000 34%, #b5191a 34%, #b5191a 35%, #000 35%, #000 36%, #b5191a 36%, #b5191a 50%, #000 50%, #000 64%, #b5191a 64%, #b5191a 65%, #000 65%, #000 66%, #b5191a 66%, #b5191a 67%, #000 67%, #000 89%, #b5191a 89%, #b5191a 90%, #000 90%, #000 91%, #b5191a 91%, #b5191a 92%, #000 92%)" [[황의조/클럽 경력#s-6.2|[[파일:FC서울 엠블럼(검빨배경).svg|height=80]]]][br] '''[[황의조/클럽 경력|{{{#a38848 황의조의 클럽 경력}}}]]'''}}} || || [[황의조/2022-23 시즌|2022-23 시즌]] || {{{+1 ▶}}} || '''{{{#FFFFFF 2023 시즌}}}''' || {{{+1 ▶}}} || [[황의조/2023-24 시즌|2023-24 시즌]] || ||<-2>
{{{+1 '''[[황의조|{{{#fff 황의조}}}]]'''}}}[br]'''{{{#fff 2023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 황의조.png|width=100%]]}}} || || '''{{{#FFF 소속팀}}}''' ||[[FC 서울]] ([[K리그1|하나은행 K리그1]]) || || '''{{{#FFFFFF 등번호}}}''' ||'''{{{+1 16}}}''' || ||<-2> {{{+1 '''{{{#a38848 기록 }}}''' }}} || || [[K리그1/2023년|[[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흰색).svg|width=100%]]]] || {{{#000,#fff '''선발 16경기 교체 2경기[br]4득점 2도움'''}}} || || [[FA컵(대한민국)/2023년|[[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width=100%]]]] || {{{#000,#fff '''선발 0경기 교체 0경기[br]0득점 0도움'''}}} || ||<-2> '''{{{#a38848 합산 성적}}}''' || ||<-2> '''{{{#000,#fff 선발 16경기 교체 2경기[br]4득점 2도움}}}''' || || '''{{{#FFFFFF 개인 수상}}}'''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황의조]]의 2023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FC 서울]]에서 뛰는 첫 시즌이자, 6년만에 K리그에 복귀한 시즌이다. == [[FC 서울]] (임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MUx0jSGYS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L4wEs2N78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ZzQXdY-KNY)]}}} || 2023년 2월 5일, [[FC 서울]]에서 황의조 임대영입을 공식 발표 하였다. 계약기간은 예상대로 6개월 단기임대이며 바로 2월 6일부터 진행하는 팀의 2차 가고시마 전지훈련에 동행한다고 한다. 프로 생활 첫 스승인 [[안익수]] 감독을 포함해 [[전상욱(축구인)|전상욱]], [[김영철(축구)|김영철]] 등 코칭스태프들과는 성남에서 [[기성용]], [[나상호]] 등과는 대표팀에서 같이 활동했던 경험이 있기에 적응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 [[K리그 1]] === ==== 1R vs [[인천 유나이티드 FC]] ==== 2월 25일, [[인천 유나이티드 FC]]와의 개막전에서 [[박동진(축구선수)|박동진]]과 함께 투톱으로 선발 출전하였다. 비록 데뷔전부터 득점에는 실패했지만 [[감바 오사카]]와 [[FC 지롱댕 드 보르도]]에서 보여준 넓은 활동반경과 버티는 힘이 상당히 회복된 모습을 보여주어 팬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슈팅은 한 동안 출전 기회를 못 잡아서 생긴 문제로 볼 수 있으니 꾸준히 출전해서 감각을 되찾으면 된다는 반응이 많다. ==== 2R vs [[광주 FC]] ==== 2R 광주전에 선발로 출장했지만 전반 내내 팀 전체가 광주에게 밀리며 좀처럼 공격을 올라오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고, 황의조 본인에게도 볼이 몇 번 오지 않았다. 이후 82분에 교체아웃되며 K리그 복귀골은 다음을 기약하게 되었다. ==== 3R vs [[울산 HD FC]] ==== 3R [[울산 현대]]와의 홈경기에 [[일류첸코]]와 함께 투톱으로 선발 출전하였으며, 후반 32분 박수일과 교체되었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신임 감독인 [[위르겐 클린스만]]이 2주뒤에 있을 A매치 2연전에 출전할 대표팀 명단을 앞두고 처음으로 국내 선수를 관찰하기 위해 처음으로 방문한 국내 프로경기였다. 그러나 황의조는 공격 포인트와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오히려 공격수 자리를 놓고 경쟁해야 할 팀 동료 [[나상호]]와 상대 팀 [[주민규]]가 득점포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중간에 엄청난 탈압박 드리블을 선보이며 인상을 남겼다. ==== 4R vs [[제주 유나이티드]] ==== 4R [[제주 유나이티드]] 원정에서도 [[일류첸코]]와 함께 투톱으로 선발 출전했다. 여전히 압박, 포스트 플레이, 탈압박 등에서는 최고의 모습을 보여줬지만, 1대1 찬스를 두 번이나 무산시키며 득점력에서는 의문부호를 남겼다. 전반전에는 낮은 위치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득점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볼 수 있어도, 후반전에는 시작과 동시에 [[일류첸코]]를 대신해 들어온 [[김신진]]이 그러한 역할을 도맡고 황의조 본인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머물렀기 때문에, 득점을 만들어내지 못한것은 다소 아쉽다고 할 수 있다. ==== 5R vs [[대전 하나 시티즌]] ==== 5R 대전 원정에서도 여전히 피지컬적인 면에서는 좋은 모습이었지만, 계속 밑에서 연계해줘야 하는 전술 탓에 득점은 고사하고 슈팅도 거의 때리지 못하며 오늘도 득점에 실패했다. 시즌 초반까지의 황의조를 보면, 몸싸움이나 탈압박 등 인플레이적인 면에서는 역시 클래스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전방으로 볼을 뿌려줄 선수가 마땅히 보이지 않는 탓에 황의조가 볼을 전방으로 올리는 역할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내려앉게 되는 전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황의조가 득점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별로 없어보인다. 즉 클라스는 여전하지만, 팀의 전술과 스트라이커로써의 황의조는 맞지 않는 듯한 모양새이다. 그리고 아직은 같은 투톱인 [[스타니슬라프 일류첸코|일류첸코]]와도 손발이 잘 맞지 않는 것 같은 모습이다. ==== 6R vs [[대구 FC]] ==== 6R [[대구 FC]]와의 홈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전반 11분 페널티킥을 때려 넣으며 오랜 침묵을 깨고 시즌 1호골을 기록하였다. 이후 전반 39분 [[이진용(축구선수)|이진용]]으로부터 파울을 얻어내어 [[알렉산다르 팔로체비치|팔로세비치]]의 프리킥 득점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활약으로 K리그 선정 6R 베스트 11에 올랐다. ==== 7R vs [[포항 스틸러스]] ==== 7R 포항 원정에서도 여전히 피지컬적인 면에서는 좋은 모습이었지만, 계속 밑에서 연계해줘야 하는 전술 탓에 득점에 실패했다. ==== 8R vs [[수원 삼성 블루윙즈]] ==== 8R [[수원 삼성]]과의 홈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후반 52분, 코너킥 상황에서 [[정승원]]을 맞고 나온 세컨볼을 그대로 집어넣으며 서울에서의 첫 필드골 득점에 성공했다. ==== 9R vs [[강원 FC]] ==== 9R [[강원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었지만, 이후 후반 25분 경에 부상으로 실려나갔고, [[한승규]]와 재교체 되었다. ==== 11R vs [[전북 현대 모터스]] ==== 11R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어린이날 [[전설매치]]에 선발 출전했다. 후반전 [[김진야]]가 머리를 제대로 갖다대기만 하면 골일 정도로 날카로운 크로스를 황의조에게 날렸으나, 아쉽게 빗맞으며 득점 기록엔 실패했다. 그래도 워낙 전북 선수들이 황의조를 집중 견제한 탓에 본인이 득점을 못한 대신 다른 공간에 빈틈이 많이 생겼고, 이는 [[박동진(축구선수)|박동진]]의 동점골에 큰 영향을 끼쳤다. ==== 12R vs [[광주 FC]] ==== 12R 광주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10분 윌리안의 골에 관여했고, 후반 20분 크로스를 나상호의 발에 배달하여 시즌 첫 도움을 기록했다. 황의조는 후반 막판 박동진과 교체 아웃됐고 팀은 3:1 대승을 거뒀다. ==== 13R vs [[울산 HD FC]] ==== 13R [[울산 현대]]와의 원정경기에서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 출전했다. 경기 막판 [[기성용]]의 패스를 받아 골문 최상단 구석을 노리는 강력한 감아차기를 날렸으나 골포스트를 맞고 나왔다. 이후 후반 추가시간 [[박수일]]의 골을 어시스트하여 시즌 2번째 도움을 기록했지만 팀은 3:2로 석패했다. ==== 14R vs [[제주 유나이티드 FC]] ==== 14R [[제주 유나이티드 FC]]와의 홈경기에서는 여전히 움직임은 좋았지만, 결정적인 골 찬스에서 번번히 마무리짓지 못하며 결정력 쪽에서 또 다시 아쉬움을 삼켰다. 이후 후반 70분, [[윌리앙 바르보자|윌리안]]과 교체되었다.[* 한편 [[프리미어리그]]에서 강등권 경쟁을 하던 원 소속팀 [[노팅엄 포레스트 FC]]는 [[아스날 FC]]를 꺾고 잔류를 확정지으면서 본인의 활약여부에 따라 다음 시즌 EPL에 데뷔할 수 있는 기반이 생겼다.] ==== 15R vs [[강원 FC]] ==== 15R [[강원 FC]] 전에서도 비록 골은 기록하지 못했지만 움직임이나 연계면에서 매우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팀은 윌리안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 16R vs [[대구 FC]] ==== 16R 대구전에 선발로 출장했지만 전반 내내 팀 전체가 광주에게 밀리며 좀처럼 공격을 올라오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고, 황의조 본인에게도 볼이 몇 번 오지 않았다. 팀은 0-1로 패했다. ==== 17R vs [[인천 유나이티드 FC]] ==== 17R [[경인더비]] 원정에서 선발 출전했고 후반 7분 [[기성용]]의 백힐을 받아 자신의 '''시그니처 슛'''인 박스 밖 감아차기로 동점골을 기록했다. ==== 18R vs [[포항 스틸러스]] ==== 18R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전반 38분 박스 바깥 먼 거리에서 완벽한 감아차기로 시즌 4호 골을 선제골로 기록했다. 지난 경인더비에 이어 다시 한 번 황의조스러운 득점을 뽑아냈다. 하지만 팀은 경기 종료 1분전에 [[하창래]]에게 동점골을 실점하며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경기 종료 직후 실점 장면에 대해 황의조는 매우 화가 난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 19R vs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9R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슈퍼매치]] 원정이 황의조의 서울 고별전이었으며, 이 경기에서 전반전에 옆그물을 맞춘 것 외에는 번번히 지워지면서 골은 기록하지는 못했지만 팀은 윌리안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며 고별전이라는 의미 있는 경기에서 승리했다. 안익수 감독 또한 황의조가 별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음에도 끝까지 교체하지 않으며 그를 끝까지 배려했다.[* 당시 서울 공격진이 상대 쓰리백에 묶여 있던 상황이라 창끝을 바꿀만도 했지만 안익수는 전반전 유효슈팅을 보여준 임상협을 빼고 황의조를 풀타임으로 기용했다. 물론 임상협도 유효슈팅 외에는 보여준게 없었지만.] === 시즌 총평 === 비록 기대했던 것 보다 득점 수는 적었을지언정[* 19R 기준 황의조의 득점 수는 4골로 영입 당시 기대치보다 현저히 떨어지는 수치임은 사실이다. 게다가 그마저도 한 골은 페널티킥이고 한 골은 굴절된 공이 운 좋게 정면으로 와 리바운드로 넣은 것이다. 더군다나 득점한 네 팀 중 대구,포항을 제외한 두 팀이 다 리그에서 부진한 팀들이었고.] 현재 서울의 공격 플랜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K리그 감독들 모두 입을 모아 황의조가 서울 축구의 핵심이라고 말할 정도로 경기 내에서 행사하는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서울 팬들은 임대 연장을 간절히 바라면서도 황의조가 떠난 이후의 팀에 대해 걱정하는 중이다. 하지만 서울 팬들의 바람과는 달리 선수 본인의 유럽 복귀 의지가 강하기도 하고, 국내에서는 사생활 관련 논란으로 이미지도 크게 실추되었을 뿐더러 원 소속팀인 노팅엄에서도 딱히 별다른 입장 표명이 없기 때문에 임대 연장은 어려울 듯 보인다. 그리고 황의조가 떠난 이후 서울은 8경기에서 '''1승 4무 3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그동안의 상승세의 이유가 모두 황의조 개인에게 의존했던 전술이었음이 드러나며 떠난 이후에 더욱 팬들에게 고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고 결국 팀은 3위에서 7위까지 떨어지며 또다시 파이널 A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다만 일각에선 평범한 기량만을 보여줬으며, 구단에서 많이 밀어주기를 해서 그나마 이정도 기량을 보여줬다는 의견도 있다. '''2023 시즌: 18경기 4골 2도움''' || '''대회''' || '''경기''' || '''선발''' || '''교체''' || '''득점''' || '''도움''' || || [[K리그1]] || 18 || 16 || 2 || 4 || 2 || || '''합계''' || '''18''' || '''16''' || '''2''' || '''4''' || '''2''' || == 시즌 기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황의조/클럽 경력, paragraph=6.2, version=1099)] [[분류:황의조]][[분류:FC 서울/소속 선수 커리어]][[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