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선 세종의 증손이자 구성군의 양자, rd1=회원군(1464))] ---- ||<-7><:><#e9502b> '''[[전주 이씨|[[파일:전주 이씨 종문.svg|width=30]]]] [[영성군(1607)|{{{#f5e6cb 전주 이씨 영성군파의 역대 종주}}}]]''' || ||<:> 1대 [[영성군(1607)|영성군 이계]] ||<:> {{{+1 ←}}} ||||<#e9502b><:>'''{{{#f5e6cb 2대 회원군 이윤}}}''' || {{{+1 →}}} ||<:> 3대 함평군 이홍 || ---- ||<-3><#94153E> {{{#gold '''조선 선조의 손자'''[br]{{{+1 '''회원군[br] 檜原君'''}}}}}} || ||<-2><#94153E> '''[[봉호|{{{#gold 봉호}}}]]''' ||<(> 회원군(檜原君)[*A 봉호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별호인 '회산(檜山)'에서 따왔다.] || ||||<:><#94153E> '''[[시호|{{{#gold 시호}}}]]''' ||<(> 정간(貞簡) || ||||<:><#94153E> '''[[본관|{{{#gold 본관}}}]]''' ||<(> [[전주 이씨|전주]](全州) || ||||<:><#94153E> '''[[이름|{{{#gold 이름}}}]]''' ||<(> 윤(倫) || ||||<:><#94153E> '''[[자(이름)|{{{#gold 자}}}]]''' ||<(> 여명(汝明) || ||||<:><#94153E> '''{{{#gold 생부}}}''' ||<(> [[영성군(1607)|영성군]] || ||||<:><#94153E> '''{{{#gold 생모}}}''' ||<(> 회산군부인 [[황(성씨)|창원 황씨]](昌原 黃氏) || ||||<:><#94153E> '''{{{#gold 부인}}}''' ||<(> 함평군부인 [[함평 이씨]](咸平 李氏) || ||||<:><#94153E> '''{{{#gold 자녀}}}''' ||<(> 2남[* 후술하겠지만 1남은 [[양자(가족)|양자]]이다.] || ||||<:><#94153E> '''{{{#gold 묘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 ||<|2><:><#94153E> '''{{{#gold 생몰[br]기간}}}''' ||<:><#94153E> '''[[음력|{{{#gold 음력}}}]]''' ||[[1636년]] [[11월 2일]] ~ [[1731년]] [[8월 6일]]'''(향년 94세)''' || ||<:><#94153E> '''[[태양력|{{{#gold 양력}}}]]''' ||[[1636년]] [[11월 28일]] ~ [[1731년]] [[9월 6일]]'''(향년 94세)'''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제14대 왕 [[선조(조선)|선조]]의 서13남 [[영성군(1607)|영성군]]의 [[적장자]]이다. 조선의 왕손 중 '''가장 장수한 사람이다.''' == 생애 == 1636년([[인조]] 14년)에 태어났다. 아버지 [[영성군(1607)|영성군]]은 [[선조(조선)|선조]]가 55세에 낳은 [[늦둥이]]이고, 회원군도 영성군이 당시로서는 늦은 30살에 낳은 아들이다. 그래서 [[인조]]의 사촌동생이지만, 나이는 인조의 '''[[장손]]'''인 [[경선군]]과 같다. --족보 브레이커-- 승헌대부(承憲大夫) 회원군[*A]에 봉해졌다. 1655년([[효종(조선)|효종]] 6년)에 숭헌대부(崇憲大夫)로 올라갔고, 이후 왕실 종친으로서 [[종묘제례|종묘대제]], [[사직단|사직대제]], [[기우제]] 등 국가 주요 제례 때 제관, 헌관 등을 맡았다. 이밖에도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지냈고 [[현종(조선)|현종]]이 [[인선왕후]]와 [[온양행궁]]에 갈 때 별운검으로서 호위했다. 그리고 [[청나라]]에 [[사신]]으로 여러 번 다녀오기도 했으며 [[사옹원]] 제조, 감선 제조, [[종친부]] 유사당상 등을 역임했다. 앞서 언급했듯, [[영성군(1607)|영성군]] - 회원군 부자는 둘 다 [[늦둥이]]였다. 거기다 회원군은 [[장수]]하여 1731년(영조 7년)까지 살았다. '''즉, [[선조(조선)|선조]]의 손자이자 [[인조]]의 사촌동생이 무려 [[영조]] 시기까지 생존했던 것이다.'''[* 영조는 인조의 '''[[현손]]'''이다. 즉, 영조 입장에서 회원군은 '''고조할아버지의 사촌동생'''이다. 게다가 영조의 아들인 [[효장세자]]가 태어나고 죽을 때에도 살아 있었다.] 그래서 실록을 보면 회원군을 왕실에서 각별히 우대했다는 기사들이 꽤 있다. >좌참찬(左參贊) 조태억(趙泰億)이 말하기를, > >"선조(宣祖)의 왕손 회원군(檜原君) 이윤(李倫)이 나이 이제 89세이니, 마땅히 노인을 우대하는 은전(恩典)을 별도로 시행하여야 됩니다." > >하니, 임금이 그대로 따랐다. >---- >《[[경종실록]]》 14권, 경종 4년(1724) 1월 11일 병술 1번째기사의 일부[[http://sillok.history.go.kr/id/kta_10401011_001|#]] >또 하교하기를, > >"회원군(檜原君)은 선묘(宣廟)의 왕손(王孫)으로 나이가 90에 가까우니, 실로 희귀한 일이다. 이미 자궁(資窮)하였으니, 그의 손자를 특별히 가자(加資)하라, 제령군(齊寧君) 달윤(達胤)은 나이가 90에 가까우니 특별히 가자하여 노인을 우대하고 친척을 친근히 하는 뜻을 표(表)하라." > >하였다. >---- >《[[영조실록]]》 2권, 영조 즉위년(1724) 11월 21일 신유 2번째기사[[http://sillok.history.go.kr/id/kua_10011021_002|#]] 그리고 1727년(영조 3년) 1월에 영조가 종신(宗臣) 63명을 불러 술을 내려주며 활쏘기를 시킬 때 회원군도 참석했는데, 이때 영조가 특별히 예를 갖춰 대우했다. 회원군이 이에 대한 보답으로 노래 1곡을 올리자 영조가 이런 시를 내렸다. >光陰倐倐幾乎更 >빨리 가는 광음 얼마나 바뀌었는지 > >宣廟王孫只有卿 >선묘의 왕손 오직 경만이 있네 > >九耋衰年精力健 >노쇠한 90 나이에도 근력 좋으니 > >壽星必也照公庭 >수성이 반드시 공의 뜰에 비추었으리 >---- >《영조실록》 11권, 영조 3년(1727) 1월 15일 임인 1번째기사의 일부[[http://sillok.history.go.kr/id/kua_10301015_001#footnote_1|#]] 이렇게 말년에 종실의 큰어른으로 편안하게 여생을 보내다 양력 1731년(영조 7년) 9월 6일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96세'''[*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만 나이]]로는 94세.]. 조선의 왕손 중 가장 장수했다.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에 있다. == 가족과 후손 == [[판서]]로 추증받은 [[함평 이씨]] 이초로의 딸 함풍군부인과 [[혼인]]해 아들 이규령 하나를 두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규령이 일찍 죽는 바람에 후사가 끊겨 [[세종(조선)|세종대왕]]의 적5남 [[광평대군]]의 8대손 이홍을 양자[* [[임진왜란]] 이후로 혈연관계가 8촌 이상이 되는 경우라도 다른 파간으로 입계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1902년에 편찬한 《선원속보(璿源續譜)》를 보면, 선원선계 3파와 [[도조(조선)|도조]] 이후의 자손들의 계보 여러군데에서 이런 일이 나오는 걸 볼 수 있다.]로 들여 대를 이었다. 이홍은 함평군(咸平君)으로 봉군되었고, 함평군은 아들을 6명을 낳아 현재까지 대가 이어온다. 그래서 지금 현재 회원군의 후손들은 실제로는 대부분 광평대군의 자손이다.[* 일부는 광평대군의 자손이 아닌 다른 파에서 입계한 경우가 몇 군데 존재한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성군(1607), version=22)] [[분류:조선의 왕자군]] [[분류:1636년 출생]] [[분류:1731년 사망]] [[분류:전주 이씨 영성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