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근육)] ||<-2> '''{{{#000 {{{+1 횡격막(가로막)}}}[br]Thoracic diaphragm}}}''' || ||<-2> [[파일:53883_diaphragm_md.gif|width=300]] || || '''근육명''' || '''가로막(횡격막)''' || || {{{#000 '''이는곳'''}}} ||가로중격(Septum transversum), 가슴막복막주름(Pleuroperitoneal folds), Body wall || ||<-2> '''동맥과 신경지배''' || || {{{#000 '''동맥'''}}} || Pericardiacophrenic artery, musculophrenic artery, inferior phrenic arteries || || {{{#000 '''신경지배'''}}} || Phrenic and lower intercostal nerves || ||<-2> '''기능''' || ||<-2> 호흡과 복압 조절에 관여 || [목차] [clearfix] == 개요 == {{{+2 [[橫]][[隔]][[膜]]/[[橫]][[膈]][[膜]] / Thoracic diaphragm}}} 횡격막이란 [[흉부]]와 [[배(신체)|복부]]를 나누는 경계가 되는 근육으로 이루어진 막이다. 일본식 한자어 명칭이 아닌 우리말로는 [[가로막]]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thoracic diaphragm이라고 하며 줄여서 diaphragm이라고만 쓰는 경우도 많지만 diaphragm은 횡격막 이외의 다른 막들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문맥에 따라 읽어야 한다. == 상세 == 가장 주된 역할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흉강]]의 크기를 조절하여 그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숨을 들이쉬는 흡기 때는 수축하며 아래로 내려가 흉강의 부피를 증가, 내부압력을 감소시킨다. 이는 대기압이 작용하는 [[폐]]를 팽창시킨다. 반면 숨을 내쉬는 호기 때는 이완하며 위로 상승한다. 이로 인해 흉강의 부피는 감소하고 내부압력은 증가해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폐속에 차 있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복식호흡]]과 흉식호흡은 각각 호흡을 횡격막과 [[늑간근]] 중 어디가 중심이 되어 흉강 부피를 변화시키는 지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 흉부와 복부를 완벽히 나누는 것은 아니며,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대동맥, 식도 등의 위치에서는 구멍이 있다. 특히 소화기관의 경우 위장이 이 구멍을 통해 흉강쪽으로 올라와 열공탈장(hiatus hernia) 등의 병이 생길 수도 있다. == 여담 == 발음이 /횡경막/이어서 '횡경막'이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으며 횡(가로)으로 놓인 격막이라고 생각하면 헷갈리지 않는다. [[https://twitter.com/urimal365/status/369353156343238656|국립국어원]] [[파일:hoenggyeongmak.png]] 사실 [[표준국어대사전]]의 1999년 초판에도 '횡경막'이라는 오자가 여러 군데에 있었다(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정오표(2004년 7월)). 다양한 원인으로 자극을 받으면 경련을 일으키는데, 이때 [[딸꾹질]]이 발생한다. 특히 뜨거운 음식을 먹거나 음식을 급히 먹었을때 딸꾹질이 잘 발생하는데, 이는 식도 주변으로 횡격막을 지배하는 신경이 지나가서 자극받기 때문이다. [[돼지고기]]의 부위 중 [[갈매기살]]이 바로 [[돼지]]의 횡격막 부위며 횡격막을 뜻하는 가로막+살이 갈매기살로 변형된 것이 어원이다. 또한 [[소]]의 [[안창살]]도 이 횡격막에 해당한다. [[파충류]]는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같은 [[석형류]]인 [[새|조류]]한테는 있기는 있는데 호흡에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 여담으로 [[뽀롱뽀롱 뽀로로]]에서는 [[공룡]]인 [[고증오류|크롱이 딸꾹질을 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공룡은 조류이므로 당연히 딸꾹질이 불가능하다.] 경수 3번 위로 손상될 경우[* C-2 레벨 척수손상까지.] 횡격막 신경이 완전히 마비된다. 당연히 인공호흡기를 평생 착용해야한다. [[분류:복부]][[분류:근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