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선 왕세자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ffd400 '''효순왕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조선 추존 왕비)] ---- [include(틀:대한제국 추존 황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ffd400 '''조선 효장세자의 세자빈[br]{{{+1 효순현빈 조씨 | 孝純賢嬪 趙氏}}}'''}}}}}}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시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조선 진종의 왕비[br]{{{+1 효순왕후 | 孝純王后}}}'''}}}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color: #B22222" '''대한제국 진종의 황후[br]{{{+1 효순소황후 | 孝純昭皇后}}}'''}}}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파주영릉.jpg|width=100%]]}}} || ||<-2> {{{#ffd400 {{{-2 영릉 전경}}} }}} || ||<|2> '''출생''' ||[[1715년]] [[12월 28일]]^^([[음력]] [[12월 14일]])^^ || ||[[조선]] [[한성부]] 숭교방 사저[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서울)|명륜동]] 일대) || ||<|2> '''사망''' ||[[1751년]] [[12월 20일]]^^([[음력]] [[11월 14일]])^^[br]{{{-2 (향년 37세)}}} || ||[[조선]] [[한성부]] [[창덕궁]] 건극당 의춘헌[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 || '''능묘''' ||[[영릉]](永陵) || ||<|2> '''재위기간''' ||'''{{{#ffd400 조선 왕세자빈}}}''' || ||[[1727년]] [[11월 1일]] ~ [[1728년]] [[12월 2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풍양 조씨]] || || '''부모''' ||부친 - 풍릉부원군 [[조문명]] (豊陵府院君 趙文命, {{{-3 1680 ~ 1732}}}) 모친 - 완흥부부인 [[전주 이씨]] (完興府夫人 全州 李氏, {{{-3 ? ~ 1734}}}) || || '''형제자매''' ||4남 1녀 중 장녀 || || '''배우자''' ||[[효장세자|진종 소황제]] || || '''자녀''' ||친자 없음 양자 - [[정조(조선)|정조 선황제]] || || '''작호''' ||현빈(賢嬪) / 현빈궁(賢嬪宮) || || '''전호''' ||연복전(延福殿) || || '''휘호''' ||휘정현숙(徽貞賢淑) || || '''시호''' ||'''[[조선]]''': 효순빈(孝純嬪)[br]→ '''효순왕후(孝純王后)''' ---- '''[[대한제국]]''': '''효순소황후(孝純昭皇后)'''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영조]]의 장남인 [[효장세자]]의 아내. 남편 효장세자가 왕위에 오르기도 전에 요절하면서 본인도 평생을 세자빈의 신분으로 살았으나, 이후 양아들로 입적된 [[정조(조선)|정조]]가 효장세자를 [[진종(조선)|진종]]으로 추존하면서 그녀 역시 사후 왕후로 추존되었다. == 생애 == 1715년 [[조문명]][* 아버지 조문명과 삼촌 조현명은 왕세제 시절 영조를 보호한 인물로, 완론탕평을 주도한 영조의 측근이다.]과 전주 이씨의 딸로 태어났다. 1727년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빈으로 간택되었으나, 바로 이듬해 세자가 요절하면서 14살에 과부가 되었다. 1735년 [[사도세자]]가 태어나자 영조로부터 현빈(賢嬪)이라는 빈호(嬪號)를 받았다. > 이날 임금이 명하여 시임 대신·원임 대신과 양관(兩館)·정부(政府)·육조 참판 이상을 불러 빈청(賓廳)에서 회의하게 하였는데, 효빈(孝嬪)·철빈(哲嬪)·소빈(昭嬪)이라는 삼망(三望)을 갖추어 올리니, 의망(擬望)을 더하라고 명하였다. 또 장빈(莊嬪)·단빈(端嬪)·사빈(思嬪)으로써 의망을 더하였으나, 임금이 여러 글자의 음과 뜻이 모두 아름답지 못하다고 하여 손수 ‘현(賢)’자를 써서 내렸다. 반평생 정쟁 속에서 목숨을 위협받은 영조는 남자혈육들이 가장 위협적인 정적이거나, 영 못 믿을 지경이어서인지 남자에게는 의심을 하고 까다로웠다. 그 와중 자신에게 호의를 보여주던 사람들이 주로 궁중의 여성들이었던 탓에, 주변 여성들에 대해서는 관대한 면이 있었다. 실제로 영조의 불같고도 깐깐한 성격을 달래서 가정과 궁중의 화목을 지키는 데 여성들의 역할이 컸다. 정비인 [[정성왕후]] 서씨, 며느리였던 현빈 조씨, 딸 [[화평옹주]], [[숙종(조선)|숙종]]의 계비이자 영조의 법적 어머니인 [[인원왕후]] 등이 영조의 왕위 등극을 적극지원하거나 고집을 다독이고 후엔 아버지에게 치이는 사도세자를 그나마 감싸주었는데, 이 여성들이 짧은 기간에 줄줄이 죽은 후 사도세자에 대한 영조의 히스테리도 극심해졌다. 이 점은 마더 컴플렉스로 유난히 여성에게 적대적이던 [[성종(조선)|성종]]과 비교된다. 일찍 남편을 잃은 현빈 본인도 남편처럼 병을 얻어서 36세의 비교적 이른 나이로 사망했다. 시호는 효순빈(孝純嬪). 영조는 현빈을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는 두 자식[* 다른 한명은 친딸 [[화평옹주]].] 중 한 명이라고 했으며, 현빈의 사망 후에도 생일을 챙겼다. 또 영조는 현빈이 삶아주는 밤을 좋아해서 자주 며느리의 처소에 찾아가 밤을 얻어먹었고, 현빈의 죽음을 추모하는 시에도 '나를 위해 준비한 밤이 아직 소반 위에 있다'는 대목이 나온다. 사후 남편 [[효장세자]]의 묘에 합장되었으며, 영조가 [[정조(조선)|정조]]를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시켰으므로 정조 즉위 후 효장세자가 진종(眞宗)으로 추존됨에 따라 함께 효순왕후로 추존되었다. 이후 [[1908년]] [[대한제국]] [[순종황제]]에 의해 다시 황후로 추존되면서 효순소황후(孝純昭皇后)로 불리게 되었다. == 대중매체 == * 소설 [[이별가:효장세자빈 이야기]]의 여주인공이다. 아라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어린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는 점을 반영해 남녀관계에 무지했다가 유진한과의 만남으로 점차 사랑에 눈을 뜬다. [[분류:조선의 왕비]][[분류:풍양 조씨]][[분류:1715년 출생]][[분류:1751년 사망]][[분류:종로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