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rro-Urartian languages [목차] == 개요 ==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은 [[메소포타미아]] 북부와 고대 [[아르메니아]] 지역에서 사용되다가 사라진 [[어족]]이다.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가 이 어족에 속하며 카시트어가 이 어족에 속하는지에 대한 떡밥이 있다. [[https://dbpedia.org/page/Hurro-Urartian_languages|링크]] == 기원과 역사 ==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은 [[인도유럽 이전 언어]]로, 해당 언어를 쓰던 사람들은 [[원시 인도유럽인|인도유럽어족 계통 민족]]이 [[캅카스]]에 이주하기 전부터 거주하던, 캅카스 선주민으로 추측된다.[* 다만, [[인도유럽어족]]의 원향이 [[캅카스]]라는 설이 있는 만큼, 후르리-우라르투어족과 인도유럽어족이 친연관계라는 가설이 제안된 바는 있다.] 이들은 [[인도유럽어족]]의 공통조상인 [[원시 인도유럽인]]이 캅카스로 이주하면서, 이들에 밀려 남하하여 [[메소포타미아]] 북부부터 캅카스 남부까지 넓게 퍼져 거주하였다. 후르리어는 기원전 2천년기 이전부터 [[쐐기 문자|아카드 설형문자]]로 기록되어 발견되며, 우라르투어는 기원전 9세기경부터 [[우라르투 왕국]]이 멸망할 때인 기원전 6세기경까지 발견된다. == 세부 분류 == * 후르리어[* [[미탄니]]에서 썼다.] * 우라르투어 * 카시트어?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은 속한 언어가 극히 적다.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가 같은 어족이라는 것은 모든 학자가 동의하나, 카시트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또한, 일부 학자들에 의해 다른 어족들과의 관련성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을 알로디아어군으로 분류하고 [[북캅카스어족|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한다고 보는 설,[* 학자들이 재구한 [[북캅카스어족|북동캅카스조어]]에는 사과나 배 등과 같은 농업 관련 어휘들이 자주 보여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 위치한 고대 왕국 우라르투의 이 어족과 연결시켜보려 하지만 주류 학계에서는 이를 회의적으로 보고 해당 가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한다는 설,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는 설, 렘노스어, [[에트루리아어]], 리구리아어, [[인도유럽조어]] 등을 포함하는 대알로디아어족설, [[바스크어]], [[수메르|수메르어]],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등을 묶는 대어족 가설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나, 이 중 어느 하나도 정설로 자리잡지 못하고 독립된 어족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다. == 특징 == 특징으로는 [[교착어]]이며, SOV 어순을 갖는다. 두 개의 접근음 /w/, /j/를 가지며, [[Lateral과 Rhotic]]의 구분이 존재한다. [[분류:고어(언어)]][[분류:메소포타미아 문명]][[분류:아나톨리아의 역사]][[분류:캅카스의 역사]][[분류:유럽의 언어]][[분류:아시아의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