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d5a1e 후안 마리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개막전 선발 투수)] ---- ||
'''{{{#fd5a1e 후안 마리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영구결번)] ---- [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명예의 벽)]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8&height=21]]]]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ffffff 명예의 전당}}}]] {{{#ffffff 헌액자}}}''' || ||<-2> [[파일:마리샬.png|width=250]] || ||<-2> '''[[https://baseballhall.org/hof/marichal-juan|후안 마리샬]]''' || || 헌액 연도 || [[1983년]] || || 헌액 방식 || 기자단(BBWAA) 투표 || || 투표 결과 || 83.7% (3회)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6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다승왕}}}''' || || [[돈 드라이스데일]][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샌디 코팩스]][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br]'''후안 마리샬[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래리 잭슨[br]([[시카고 컵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6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다승왕}}}''' || || 마이크 맥코믹[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후안 마리샬[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톰 시버]][br]([[뉴욕 메츠]])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69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평균자책점왕}}}''' || || [[밥 깁슨]][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후안 마리샬[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톰 시버]][br]([[뉴욕 메츠]]) ||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27번}}}''' || || [[짐 헤간]][br](1959) || {{{+1 →}}} || '''{{{#ffffff 후안 마리샬[br](1960~1973)}}}''' || {{{+1 →}}} || '''[[영구결번/스포츠|영구결번]]'''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1번}}}''' || || 레이 쿨프[br](1968~1973) || {{{+1 →}}} || '''{{{#ffffff 후안 마리샬[br](1974)}}}''' || {{{+1 →}}} || 릭 크루거[br](1975~1976)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46번}}}''' || || [[찰리 매뉴얼]][br](1974) || {{{+1 →}}} || '''{{{#005A9C 후안 마리샬[br](1975)}}}''' || {{{+1 →}}} || 버트 후튼[br](1975~1984)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uan-marichal.jpg|width=100%]]}}} || ||<-2> '''{{{#ccac00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o. 27}}}''' || ||<-2> '''{{{#ffffff {{{+2 후안 안토니오 마리샬 산체스}}}[br]Juan Antonio Marichal Sánchez}}}''' || ||<|2> '''출생''' ||[[1937년]] [[10월 20일]] ([age(1937-10-20)]세) || ||라구나 베르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신체''' ||183cm / 83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57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NYG]]) || ||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60~1973)'''[br][[보스턴 레드삭스]] (1974)[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75) || || '''기록''' ||'''노히트 노런 (1963.06.15)''' || || '''가족''' ||사촌 호세 아세베도, 사위 [[호세 리호]]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투수로 미국 외 국적자로는 최초의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다.[* 미국 외 출신으로 들어간 첫번째 선수는 [[로베르토 클레멘테]]지만 클레멘테의 태어난 [[푸에르토리코]]는 미국의 자치령이기 때문에 엄밀히 보면 클레멘테도 미국 국민이라 볼 수 있다.] '도미니칸 [[댄디]]'라는 멋들어진 별명이 있다. 191승으로 1960년대 다승 1위인데 2위인 [[밥 깁슨]](164승)과 꽤 차이가 난다. fWAR 49로 1960년대 3위다. 다만 성적에 비해 상복은 없었는데, 다승과 평균자책점왕을 각 한번씩만 받았다. 게다가 사이 영 상은 한번도 못 받았다. 그리고 월드시리즈 우승운도 없었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1958년 연고지를 샌프란시스코로 옮긴 후 첫 월드시리즈 우승을 2010년에 했다. 다저스와의 라이벌전에서 벌어진 [[벤치 클리어링|벤치클리어링]]에서 다저스 포수 존 로즈보로(John Junior Roseboro,1933~2002)를 방망이로 공격한 흑역사가 있다. 이 사건 때문에 첫 2년간 명예의 전당 후보에도 오르지 못했으나 당사자들끼리 잘 화해했는지 로즈보로의 개인적 호소 끝에 명전에 헌액될 수 있었다.[* 사실 경기 중 용인되기 힘든 수준의 폭력행위가 문제가 되어 기록상으로는 명전에 무난하게 입성할만한 선수가 명전 헌액에 실패하는 상황에서 해당 폭행의 피해자인 로즈보로가 '그의 커리어는 헌액 자격이 충분하다'고 주장했기에 '용인되기 힘든 수준의 폭력을 경기 중 행사했기에 헌액이 곤란하다'는 주장은 명분이 약해지고 마리샬의 커리어에 더 중점이 찍히게 될 수 밖에 없었다.] 후에 마리샬은 취임 연설에서 로즈보로에게 감사를 표했고 2002년 그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여 애도를 표했다. 2023년 현재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현존 최고령 우완 투수이다.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1937년 출생]][[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MLB 영구결번 선수]][[분류:MLB 다승왕]][[분류:MLB 평균자책점왕]][[분류:1960년 데뷔]][[분류:1975년 은퇴]][[분류:몬테크리스티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