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trube_Aris_Official.jpg|width=100%]]}}} || ||<-2> '''{{{#ffffff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 No. -}}}''' || ||<-2> '''{{{#ffffff {{{+1 후안 이투르베}}}[br]Juan Iturbe}}}''' || || '''본명''' ||후안 마누엘 이투르베 아레발로[br]Juan Manuel Iturbe Arévalo || || '''생년월일''' ||[[1993년]] [[6월 4일]] ([age(1993-06-04)]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파라과이)]'''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서 [[이중국적]]자이다.] || || '''출신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 || '''신체''' ||169cm || || '''포지션''' ||'''[[윙어]]'''[* 오른쪽 윙어로 주로 뛴다.] || || '''유소년 클럽''' ||우니베르살 (2005~2006) [br] 트리니덴세 (2006~2007) [br]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 (2007~2009) || || '''소속 클럽'''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 (2009~2011) [br] [[FC 포르투]] (2011~2013) [br] [[FC 포르투]] B (2012) [br]→ {{{-1 [[CA 리버 플레이트]] (2013 / ^^임대^^)}}} [br] [[엘라스 베로나 FC]] (2013~2014) [br] [[AS 로마]] (2014~2017) [br]→ {{{-1 [[AFC 본머스]] (2016 / ^^임대^^)}}} [br]→ {{{-1 [[토리노 FC]] (2017 / ^^임대^^)}}} [br]→ {{{-1 [[클루브 티후아나]] (2017~2018 / ^^임대^^)}}} [br] [[클루브 티후아나]] (2018) [br]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 (2018~2021) [br]→ {{{-1 [[CF 파추카]] (2020 / ^^임대^^)}}} [br]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2021~2023) [br] [[그레미우]] (2023) [br]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 (2024~ ) || || '''국가대표''' ||12경기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 2009~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라과이 국적의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 소속 [[축구선수]]. == 클럽 경력 == 2005년 우니베르살에서 축구를 처음 시작하였다. 2006년 트리니덴세를 거쳐 2007년 [[세로 포르테뇨]] 유스 팀으로 이적하였다. 2009년 6월 28일 프로 선수로 데뷔하였다. 2시즌 동안 22경기 3골을 기록하였다. 2011년 1월, 포르투갈의 [[FC 포르투]]로 이적하였다. 정식 입단은 18세가 되었을 때였고, 이전까지는 친정팀 세로 포르테뇨 소속으로 경기를 치렀다. 2012년 12월 29일 출장 기회를 얻기 위해 [[리버 플레이트]]로 임대되어 17경기 3골을 넣었다. 포르투에서는 6경기 출장에 그쳤고, 2013년 여름, [[세리에 A]]로 승격한 [[엘라스 베로나 FC]]에 임대 이적하였다. 승격팀을 10위로 이끈 활약을 인정 받아 2014년 5월 24일 1500만 유로를 주고 완전 이적 옵션을 행사하였다. 베로나 완전 이적 직후인 2014년 7월 16일 [[AS 로마]]로 이적이 확정되었다. 이적료는 보너스를 포함해 2450만 유로로 발표되었지만 실제로는 그의 소유권을 가진 제3자([[서드파티]])에게 지불하는 금액도 포함해 총 3000만 유로에 달하는 금액으로 알려졌다. 2014-15 시즌 본인이 열심히 뛴것과 기대가 매우컸던것과는 정반대로 매우 초라한 성적으로 방출명단에 올랐었으나 기사회생으로 로마에 남게 되었다. 본인의 의지가 매우 컸던듯. 2015-16 시즌 전반기 리그 12경기 출전 1골을 넣었고, 겨울 이적시장이 열리자마자 [[EPL]]에서 강등권 싸움을 하고 있는 [[AFC 본머스]]로 시즌말까지 임대되었다. 시즌후 완전 이적 가능 조항이 붙어 있다. 하지만 달랑 2경기 나왔다... 2015-16 시즌 종료후 원 소속팀인 로마에 복귀했다. 물론 기대 이하의 모습에 본머스는 당연히 완전 이적 옵션을 추진하지 않았다. 스팔레티 감독이 폴스나인으로 활용함을 밝혀 제 2의 토티가 되길 기대하는 모습이다. 2016-17 시즌 전반기에는 [[유로파 리그]] 조별 예선 6경기에는 모두 출장하였으나 리그에서는 교체로만 5경기에 출장하였다. 그마저도 후반 가비지 타임을 보내기 위한 용도로 투입된 것이라 올 시즌에도 부진한 모습이다. 결국 겨울 이적 시장이 열리고 같은 리그의 [[토리노 FC]]로 임대이적을 하였다. 임대 후 완전 이적 조건 옵션이 포함되어있다. 후반기에 토리노에서는 주로 조커로 투입되었고 리그 16경기에서 1골 3도움을 기록하였다. 토리노가 완전 이적을 시도하지 않아 다시 시즌 종료 후 로마로 복귀하였다. 투박한 터치, 막히는 드리블, 탐욕, 붕 뜨는 슈팅 등 [[엘라스 베로나]] 에서 보여줬던 장점들이 모조리 사라져 버렸다. 점점 유럽 무대에서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어 기대치도 어느덧 상당히 낮아진 상황. 실제로 트랜스퍼마르크트 기준으로도 로마 이적 직후에는 2000만 유로까지 몸값이 책정되었으나 몇 시즌간 삽질을 거듭하며 현재 700만 유로까지 몸값이 떨어진 상황이다. 2017-18 시즌에 앞서 치러진 프리 시즌에서 로마에 합류해 미국 투어에 동행했으나 자리는 없어 보인다. 결국 [[리가 MX]]의 클루브 티후아나로 한 시즌간 임대되어있다. 이번에도 임대 후 완전 이적 조건 옵션은 포함되어있다. 완전 이적 시 이적료는 약 500만 유로 정도를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이후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와 [[CF 파추카]]를 거쳐 2021년 8월 7일, FA 상태이던 그는 [[수페르리가 엘라다]]의 [[아리스 테살로니키 FC]]와 2년 계약을 채결했다. 2023년 7월 3일, [[그레미우]]로의 이적에 합의했다.[[https://gremio.net/noticias/detalhes/26545/gremio-encaminha-contratacao-do-atacante-iturbe|#]] 2023년 7월 10일, [[그레미우]]로의 이적을 완료했다.[[https://gremio.net/noticias/detalhes/26563/iturbe-e-apresentado-oficialmente-como-novo-camisa-21-do-gremio|#]] 2023년 12월 23일,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4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 국가대표 경력 == [[파일:external/provenquality.com/messi-iturbe.jpg|width=400]] [[리오넬 메시]]와 함께 찍은 사진. [[파일:external/cdn01.pf.infobae.com/0014376498.jpg]] [[파라과이]] 성인 대표팀으로 2009년 칠레와의 친선경기에서 16세의 나이로 데뷔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태어난 [[아르헨티나]] 대표팀으로 뛰는 것을 선호하였다고 한다. A매치에 뛰었지만, 친선경기 출전이므로 아르헨티나 청소년 국가대표팀으로 2011 남미 청소년 선수권 대회,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심경이 변화했는지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파라과이 대표팀으로 뛰기를 원했고, 2016년 3월 29일 월드컵 남미예선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교체로 공식 투입되었다. 그러나 파라과이가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남미)|지역예선]]에서 마지막 라운드인 베네수엘라전에서 이기면 칠레가 브라질에게 큰 점수차로 넉다운을 당했기 때문에 페루를 제치고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에 상륙할 여지도 있었으나 그 파라과이가 베네수엘라한테 비긴 것도 아니고 패하는 바람에 파라과이가 탈락했고 결국 이투르베의 월드컵 본선 입성도 물거품이 되었다. == [[WAGs]] == ||[[파일:external/i1060.photobucket.com/431082_412157702174374_2010430350_n_zps5dc4d1b0.jpg|width=320]]||[[파일:external/images2.gazzanet.gazzettaobjects.it/iturbe_capri2.jpg|width=320]]|| ||[[파일:external/img2.hotnessrater.com/maria-guadalupe-gonzalez.jpg|width=320]]||[[파일:external/cdn.corrieredellosport.it/175601879-e67c8f4d-7392-4d80-81a5-0799c7c7884c.jpg|width=320]]|| 이름은 마리아 과달루페 곤살레스 타라베라 (María Guadalupe González Talavera)이며 생년월일은 1992년 2월 29일생이다. 2013 미스 유니버스 파라과이 대표로 출전한 적이 있고 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중이다. 키 173cm로 후안 이투르베보다 키가 훨씬 크다. 둘은 2015년부터 연인 관계였으며 2017년에 [[남미 축구 연맹]] 본부에서 결혼하면서 부인이 되었다. 슬하에 딸도 있는데 이름은 '올리비아 이투르베'이다. 이투르베가 아르헨티나 대신 파라과이 국가대표팀을 선택한 이유는 부인이 파라과이 출신인 것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현실적으로는 [[아르헨티나]]에서는 국가대표팀의 주전을 쉽게 보장받기가 힘든 이유도 있었을 것이다. 다만, 이투르베 정도의 선수가 아르헨티나 대표팀으로 활약하기 어렵다는 것에 약간의 반박을 하자면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남자 축구 엔트리가 빵꾸나다 못해 무주공산 상태가 된 상황이었다. 같은 포르투갈 상대로 온두라스는 [[졌잘싸|1점차 패배로 틀어막은]] 반면에 아르헨티나는 포르투갈에게 아예 일방적으로 유린당해버렸다. 스타 플레이어라고 나온 [[앙헬 코레아]]는 아예 실망스러운 수준이었다. 아르헨티나는 [[2004 아테네 올림픽]], [[2008 베이징 올림픽]]의 2연속 챔피언이었던 과거가 무색하게 고작 온두라스를 이기지 못하고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그래서, "올대에 이투르베가 있었으면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을까?" 라고 예상하기도 한다. 그럴 수도 있는 게 [[2004 아테네 올림픽]] 당시에는 [[카를로스 테베스]] 혼자 그 올림픽 축구 종목 자체를 완전히 씹어먹어 버렸기 때문이다. [각주] [[분류:1993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아르헨티나계 파라과이인]][[분류:부에노스아이레스 출신 인물]][[분류:파라과이의 축구선수]][[분류:클루브 세로 포르테뇨/은퇴, 이적]][[분류:FC 포르투/은퇴, 이적]][[분류:엘라스 베로나 FC/은퇴, 이적]][[분류:AFC 본머스/은퇴, 이적]][[분류:토리노 FC/은퇴, 이적]][[분류:AS 로마/은퇴, 이적]][[분류:클루브 티후아나/은퇴, 이적]][[분류: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은퇴, 이적]][[분류:CF 파추카/은퇴, 이적]][[분류:아리스 테살로니키 FC/은퇴, 이적]][[분류:그레미우/은퇴, 이적]][[분류:클루브 세로 포르테뇨/현역]][[분류:파라과이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분류: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참가 선수]][[분류: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2011 FIFA U-20 월드컵 콜롬비아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