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일본국 제72대 운수대신}}}''' || ||<-2> '''{{{#fff 일본국 제40-43·46대 중의원 의원[br]일본국 제12·14·16·21대 참의원 의원[br]{{{+1 후지이 다카오}}}[br]藤井孝男 | Fujii Taka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후지이다카오.jpg|width=100%]] }}}|| ||<|2> '''출생''' ||[[1943년]] [[3월 14일]] ([age(1943-03-14)]세) || ||[[도쿄도|도쿄부]] || || '''출신지''' ||[[기후현]] 사라카와정 || || '''현직'''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기후현지부연합 고문[br]일본프로테니스협회 명예고문[br]전국치수사방협회 간사[br]기후현 럭비풋볼협회 회장 || ||<|2> '''재임기간''' ||제72대 운수대신 || ||[[1997년]] [[9월 11일]] ~ [[1998년]] [[7월 3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세이조대학]] 경제학부 {{{-2 (학사)}}} || || '''부모''' ||아버지 후지이 헤이고[* 1906~1980. 참의원 의원 역임] || || '''서훈''' ||욱일대수장 || || '''소속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소속 파벌''' ||[[헤이세이 연구회]] || || '''지역구''' ||구 기후 2구 → [[효고현 제4구|기후 4구]] → 도카이 비례블록 → 기후 4구 → 도카이 비례블록 (중)[br][[기후현 선거구]] (참) || || '''의원 선수''' ||'''5''' (중)[br]'''4''' (참) || || '''의원 대수'''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0]],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1]],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2]],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3]],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 (중)[br]12, 14,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6]],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1]] (참) || || '''약력''' ||아라비아 석유 직원[br]아라비아 석유 사장 비서[br]후지이 헤이고 중의원 의원 비서[br][[참의원(일본)|참의원]] 의원 {{{-2 (제12·14·16·21대 / [[기후현 선거구|기후 선거구]])}}}[br]대장정무차관 {{{-2 ([[나카소네 야스히로|제3차 나카소네 내각]])}}}[br][[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br][[중의원]] 의원 {{{-2 (제40-43·46대 / 구 기후 2구 → [[기후현 제4구|기후 4구]] → 도카이 비례 블록)}}}[br][[국토교통성|운수대신]] {{{-2 (제72대 / [[제2차 하시모토 개조내각]])}}}[br]중의원 운영위원장[br]중의원 예산위원장[br]참의원 징벌위원장[br][[일어나라 일본]] 참의원 의원회장[br][[일본 유신회(2012년)|일본 유신회]] 총무회장[br]일본 유신회 선거대책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 개요 == 1943년 3월 14일 [[도쿄도|도쿄부]]에서 참의원 의원을 역임한 아버지 후지이 헤이고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후현]] 사라카와정에서 자랐으며, 1965년 [[세이조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아라비아 석유에 입사해 1971년부터 2년간 [[카타르]]에서 복무했다. 귀국 후 아라비아 석유 사장의 비서를 맡았고 1977년 퇴사해 아버지의 의원 비서를 맡았다. 1980년 아버지 헤이고가 의원 임기 중 사망하여 다음 해에 치러진 참의원 보궐선거에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당적으로 출마해 첫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1986년 재선하고 [[나카소네 야스히로|제3차 나카소네 내각]]에서 대장정무차관(현 [[재무성|재무정무차관]])에 취임했다. 1989년에는 다음 해에 치러질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구 기후 2구에 출마하려 했었으나, 공천 경쟁에서 패배하여 단념하고 자민당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을 역임했다. 1993년 참의원을 사직하고 제40회 중원선에 구 기후 2구에 출마해 중의원에 첫 당선되었다. 이후 [[제2차 하시모토 개조내각]]에서 제72대 운수대신(현 [[국토교통성|국토교통대신]])에 취임하고, 중의원 운영위원장과 예산위원장을 역임했다. 2003년에는 [[2003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3위로 낙선하고, 2005년 [[고이즈미 내각]]에 반하여 우정민영화법안에 반대표를 던졌다. 그리고 우정민영화가 핵심으로 떠오른 제44회 중원선에서 자민당이 아닌 무소속으로 출마, 2위로 석패율제 구제도 못받고 낙선했다. 2007년 제21회 참원선에서 자민당의 추천을 받고 무소속으로 [[기후현 선거구]]에 출마하여, 참의원에 복귀했다. 이후 자민당에 복당하고, 참의원 징벌위원장을 역임했다. 2010년 당시 [[다니가키 사다카즈]] 총재를 만나 직접 탈당 신고서를 제출하고, [[일어나라 일본]] 창당에 참여했다. 이후 당 참의원 의원회장에 취임하고, 참의원 징벌위원장직을 사임했다. 2012년 제46회 중원선에서 [[일본 유신회(2012년)|일본 유신회]] 소속으로 도카이 비례 블록에 출마해 중의원에 복귀했다. 이후 유신회 총무회장과 선거대책위원장을 역임했다. 2014년 유신회를 탈당하여 [[차세대당]] 창당에 참여했고, 제47회 중원선에서 도카이 비례 블록 1번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15년 자민당 기후현지부연합에 복당 신고서를 제출했고, 다음 해 3월에 복당이 승낙되었다. 이후 2017년 제48회 중원선에서 도카이 비례 블록 14번 후보로 출마했으나, 당선권에 들지 못해 낙선했다. 낙선 이후 향후 선거 출마를 거부하며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2018년에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1981 - 2005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05 - 2007 || 우정민영화 반대로 인한 제명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007 - 2010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0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일어나라 일본)] || 2010 - 2012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2 || 탈당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2012 - 2014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4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차세대당)] || 2014 - 2015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2016 || 탈당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2016 - || 복당[br]정계 은퇴 || == 선거 이력 ==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1981 || 제12대 일본 참의원 의원 보궐선거 ||<|3> [[기후현 선거구]] ||<|7>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14,753 (55.32%)''' || '''당선(1위)''' || '''초선''' || || 1986 ||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654,042 (61.63%)''' || '''당선(1위)''' || '''재선''' || || 1992 ||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89,640 (59.52%)''' || '''당선(1위)''' || '''3선'''[* 1993.06.18. 의원직 사직]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기후현 2구 || '''97,714 (21.98%)''' || '''당선(1위)''' || '''초선'''[* 일본의 마지막 중선거구제]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기후현 제4구]] || '''131,976 (58.09%)''' || '''당선(1위)''' || '''재선'''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도카이 비례 블록 || '''16,943,425 (28.31%)'''[*A 전국 비례 블록의 정당 득표수·율] || '''당선(1번)''' || '''3선'''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 기후현 4구 || '''156,179 (63.82%)''' || '''당선(1위)''' || '''4선''' || || 2005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 [include(틀:무소속)] || 98,419 (35.93%) || 낙선(2위) || || || 2007 ||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기후현 선거구 || '''466,008 (46.10%)''' || '''당선(1위)''' || '''4선'''[* 2012년 의원직 사직]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3> 도카이 비례 블록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12,262,228 (20.38%)'''[*A] || '''당선(1번)''' || '''5선'''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차세대당)] || 1,414,919 (2.65%)[*A] || 낙선(1번) ||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18,555,717 (33.28%)[*A] || 낙선(14번) || ||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일본 국토교통대신]][[분류:1943년 출생]][[분류:제40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1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12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제14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제16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제21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일본 유신회(2012년) 국회의원]][[분류:차세대당 국회의원]][[분류:세이조대학 출신]][[분류:도쿄도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정치인 자녀]][[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