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후쿠오카현 제9구}}}}}}'''[br]{{{-1 {{{#ffffff 福岡県第9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Fukuoka9.svg|width=100%]]}}}|| ||<-2><:>'''선거인 수'''||<-2><:>383,742명 (2020)|| ||<-2><:>'''상위 도도부현'''||<-2><:>[[후쿠오카현]]|| ||<-2><:>'''하위 행정구역'''||<-2><:>[[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야하타니시구]]/[[야하타히가시구]]/[[토바타구]]|| ||<-2><:>'''국회의원'''||<:>[include(틀:무소속)]||<:>오가타 린타로|| [목차] [clearfix] == 개요 ==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의 [[와카마츠구]]/[[야하타니시구]]/[[야하타히가시구]]/[[토바타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무소속 오가타 린타로. == 상세 == 자민당이 우세한 후쿠오카현의 선거구 중 대표적인 경합지역 선거구이며, 야하타 지역은 일본제철 등 오랫동안 제철업이 번성했던 영향으로 노조세력의 영향이 어느정도 있는 지역구이다. 중선거구제 시절에는 구 후쿠오카 2구에 속했었다. 미하라 아사오 전 농림대신의 기반을 이어받은 차남 미하라 아사히코와 [[민사당]] 출신 정치인 기타하시 겐지가 소선거구제 개편 이후 치열한 각축전을 펼쳤다. 기타하시 의원은 44대 중의원 임기 도중 의원직을 사퇴한 뒤 [[기타큐슈시]] 시장직을 2023년까지 역임했고, 그 지역기반을 외교관 출신 오가타 린타로 의원이 이어받았다. 46회 중원선 이후 미하라 의원이 3연속 당선되면서 자민당 우세 지역으로 굳혀지는 듯 보였으나, 49회 중원선에서 73세 비례 정년제 때문에 중복 입후보하지 않아 낙선하였고, 전국적인 세대 교체 영향에 힘입어 오가타 후보가 12년만에 의석을 탈환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후쿠오카현 제9구 역대 국회의원}}}''' ||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3><:>기타하시 겐지[* 제12-15대 [[키타큐슈시|키타큐슈시장]]]||<:>[include(틀:신진당)]||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2><:>[include(틀:민주당(일본))]||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미하라 아사히코||<:>[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오가타 린타로||<:>[include(틀:민주당(일본))]||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3><:>미하라 아사히코||<|3><:>[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오가타 린타로||<:>[include(틀:무소속)]||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 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기타하시 겐지''' || '''91,757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42.60%''' || '''당선''' || ||<|2><#fff> [[신당 사키가케|[[파일:新党さきがけ.png|width=50]]]] || 미하라 아사히코 || 76,974표 || 2위 || || [include(틀:신당 사키가케)] || 35.7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width=50]]]] || 오자와 가즈아키 || 46,65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1.6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8,230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후쿠오카 제9구|{{{#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 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기타하시 겐지''' || '''102,016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3.55%'''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미하라 아사히코 || 81,809표 || 2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34.9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자와 가즈아키 || 44,46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8.98% || 비례당선 || ||<|2> [[파일:덕주회.png|width=50]] || 와타나베 노부유키 || 5,977표 || 4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2.5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7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후쿠오카 제9구|{{{#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 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기타하시 겐지''' || '''102,58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5.18%'''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미하라 아사히코 || 99,091표 || 2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43.65%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노우에 신고 || 25,35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1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7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 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하라 아사히코''' || '''121,46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7.6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기타하시 겐지 || 106,73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1.86%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마지마 쇼조 || 26,79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5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28,926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후쿠오카현 제9구|{{{#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 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오가타 린타로''' || '''122,815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7.64%'''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미하라 아사히코 || 109,807표 || 2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42.59%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아오키 노부야스 || 22,38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68%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야노 도모코 || 2,815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0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7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 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하라 아사히코''' || '''97,41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5.9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오가타 린타로 || 62,18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9.36% || 낙선 || ||<|2>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아라키 마나부 || 30,09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14.21%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마지마 쇼조 || 22,10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4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55.64% || || 선거인 수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 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하라 아사히코''' || '''87,89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7.20%''' || '''당선'''[*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오가타 린타로 || 71,87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8.60%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마지마 쇼조 || 26,44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4.20%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128,926표 ||<|2> '''투표율'''[br]49.41% || || 선거인 수 || 387,161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후쿠오카현 제9구|{{{#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 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하라 아사히코''' || '''91,32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5.71%'''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오가타 린타로 || 78,833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39.4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마지마 쇼조 || 29,63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4.8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9,797표 ||<|2> '''투표율'''[br]52.45% || || 선거인 수 || 389,715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후쿠오카현 제9구|{{{#fff 후쿠오카현 제9구}}}]]}}}'''[br]{{{#fff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야하타니시구/[br]야하타히가시구/토바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오가타 린타로[br](緒方林太郎)''' || '''91,591'''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8.12%'''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하라 아사히코[br](三原朝彦) || 76,48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0.18%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마지마 쇼조[br](真島省三) || 22,273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70%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380,277 ||<|2> '''투표율'''[br]50.95% || || 유효표 || 190,345 || ||<-10> '''비례대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NHK당)] || || '''득표수[br](득표율)''' || '''8,334.781 [br] (4.44%)''' || '''19,224 [br] (10.24%)''' || {{{#ffffff '''57,628[br](30.49%)'''}}} || '''7,359 [br] (3.92%)''' || '''19,334 [br] (10.29%)''' || '''4,349 [br] (2.32%)''' || '''33,471.215 [br] (17.82%)''' || '''35,599 [br] (18.95%)''' || '''2,886 [br] (1.54%)''' || ||<-10> '''지역별 결과''' || || '''와카마츠구''' || 3.96% || 12.15% || {{{#E90078 30.37%}}} || 3.82% || 9.65% || 2.20% || 17.81% || 18.63% || 1.42% || || '''야하타히가시구''' || 4.42% || 9.79% || {{{#D7003A '''30.53%'''}}} || 3.53% || 10.18% || '''2.56%''' || 17.90% || '''19.63%''' || 1.46% || || '''야하타니시구''' || '''4.59%''' || 9.17% || {{{#D7003A 30.51%}}} || '''4.12%''' || '''10.62%''' || 2.34% || '''18.24%''' || 18.88% || 1.53% || || '''토바타구''' || 4.47% || '''12.69%''' || {{{#D7003A 30.52%}}} || 3.63% || 9.90% || 2.09% || 15.98% || 18.91% || '''1.81%''' ||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지난 선거에서 낙선한 자민당 소속 미하라 아사히코 전 중의원 의원은 물론이고 같은 당 미하라 아사리 키타큐슈시 시의원이 무소속 출마도 불사하겠다고 밝혀 [[후쿠오카현 제4구]]처럼 보수분열 선거 가능성이 생겼다.[[https://www.yomiuri.co.jp/local/kyushu/news/20230611-OYTNT50012/|1]] 이후 [[후쿠오카현 선거구]] 현직 참의원 의원인 오이에 사토시까지 이 선거구 지부장 공모에 신청할 의향을 표명하였다.[[https://www.sankei.com/article/20230623-LK2M62FV7BNQXKQ6C5ZNZ7H6PI/|2]] 지부장 선거에서는 일단 오이에 사토시 참의원이 승리하였다. [각주] [[분류:선거구/일본]][[분류:후쿠오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