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후한)][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삼국시대(중국))][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삼국지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vTDkZn.png|width=70%]]}}} || || 서기 2년경 [[후한]]의 인구 밀도 지도. 예로부터 [[화북]] 평원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한나라]]가 건국되고 이전 [[진(영성)|진나라]]의 폐습들은 없애거나 고쳐서 사용하였는데, 전국의 백성들을 파악하기 위한 편호제민(編戶齊民)도 중앙집권적 황제지배체제를 전국적으로 관철시키기 위하 여전히 활용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의 연원은 전국시대 진나라의 재상이었던 [[상앙]]의 변법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그는 [[법가|법령으로서 나라를 다스리자는 법치주의자]]로서, 당시 전국 진의 백성을 편호제민하는 것을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백성에게 부역, 군역 등을 부과하고 국가가 동원할 수 있는 역량을 정확히 계수화할 수 있게 되었고, 동시에 혈연중심적인 향리의 봉건적 질서를 무너뜨리고 군주에게 권한을 집중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되어, [[전국시대]]에 진이 [[전국칠웅|육국]]을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초한쟁패기]]에 [[셴양시|함양]]에 입성한 [[소하]]가 제일 먼저 했던 일이 [[진나라]]의 장부를 입수하는 일이었고, 이후 [[고제(전한)|유방]]이 여러번 [[항우]]에게 패했지만 한이 최종적인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는 점에서 엿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논형]](論衡)』 별통편(別通篇)에서는 "소하가 [[한고조]]를 따라 진나라로 진입하였을 때 문서를 가장 먼저 수습하였는데, 한나라가 천하를 제압할 수 있었던 것은 문서의 힘이며 문서로 천하를 통제하였다."라고 평가하였다.] 편호제민의 가장 근간이 되는 호적 편찬에는 일반민의 자발적인 등록 내지는 신고라 할 수 있는 자점(自占)과 이러한 자점의 내용을 관(官)에서 확인하는 안비(案比)의 두 가지 형식이 있었다. 자점을 통해 향호판(鄕戶版)을 제작하고, 현정(縣廷)에서 안비를 통해 이를 검증하여 현호적(縣戶籍)을 만들어 보존하였다. 이러한 시기는 매년 8월 초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한서』에 이 제도와 관련한 단편적인 기술이 몇 군데 있다. 권10상 「황후기상」 "漢法常因八月筭人."; 같은 권에 인용된 『한의주』 "漢儀注曰:「八月初為筭賦, 故曰筭人.」"; 권10하 「황후기」하 [[영사황후 하씨]] 조에 인용된 『[[풍속통의]]』 "風俗通曰, 漢以八月筭人." 출토자료인 [[간독]]에서도 이러한 기록이 확인되는데, [[장가산한간]]의 호율에서도 발견되어 매년 8월에 시행되었다고 단정지을 수 있을 듯 하다.] 이러한 호적에는 어떤 집안에 어떤 사람이 구성원으로서 존재하는지, 개개의 인물들의 연령, 성별, 장애 유무, [[이십등작]] 하의 작위 보유 여부, 전년 대비 인구의 증감 등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었다. 한나라의 행정 구역 시스템상, 중앙 조정이 실질적인 인사를 담당했던 기층 행정구역인 [[현(행정구역)|현]] 단위에서 그 아래의 향 - 정 - 리의 조사 기록을 취합하여 상급 행정 단위인 [[군(행정구역)|군]]으로 보내고, 이후 정월 조회때 맞추어 파견하는 상계리(上計吏)를 통해 이를 중앙 조정으로 보고했으리라 여겨진다. 아래의 기록은 『[[후한서]]』 「군국지」의 기록으로, 모두 [[순제(후한)|순제]] 시기인 영화(永和) 5년(A.D. 140년)에 한 호구 조사를 토대로 하는 인구 내역이다. == 140년 == || [[군국제|군국]] || 호 || 구 || [[현(행정구역)|현]] || ||<-4> [[사례]] || || 하남윤 || 208,486 || 1,010,827 || 21 || || 하내군 || 159,770 || 801,558 || 16 || || 하동군 || 93,543 || 570,803 || 20 || || 홍농군 || 46,815 || 199,113 || 9 || || 경조윤 || 53,299 || 285,574 || 10 || || 좌빙익 || 37,090 || 145,195 || 13 || || 우부풍 || 17,352 || 93,091 || 15 || || 합계 || 616,355 || 3,106,161 || || ||<-4> [[예주]] || || 영천군 || 263,440 || 1,436,513 || 17 || || 여남군 || 404,448 || 2,100,788 || 37 || || 양국 || 83,300 || 431,283 || 9 || || 패국 || 204,095 || 251,393 || 21 || || 진국 || 112,653 || 1,547,572 || 9 || || 노국 || 78,447 || 411,590 || 6 || || 합계 || 1,146,383 || 6,179,139 || || ||<-4> [[기주]] || || 위군 || 129,310 || 695,606 || 15 || || 거록군 || 109,517 || 602,096 || 15 || || 상산국 || 97,500 || 631,184 || 13 || || 중산국 || 97,412 || 658,195 || 13 || || 안평국 || 91,440 || 655,118 || 13 || || 하간국 || 93,754 || 634,421 || 11 || || 청하국 || 123,964 || 760,418 || 7 || || 조국 || 32,719 || 188,381 || 5 || || 발해군 || 132,389 || 1,106,500 || 8 || || 합계 || 908,005 || 5,931,919 || || ||<-4> [[연주(중국)|연주]] || || 진류군 || 177,529 || 869,433 || 17 || || 동군 || 136,088 || 603,393 || 15 || || 동평국 || 79,012 || 448,270 || 7 || || 임성국 || 36,442 || 194,156 || 3 || || 태산군 || 8,929 || 437,317 || 12 || || 제북국 || 45,689 || 235,897 || 5 || || 산양군 || 109,898 || 606,091 || 10 || || 제음군 || 133,715 || 657,554 || 11 || || 합계 || 727,302 || 4,052,111 || || ||<-4> [[서주]] || || 동해군 || 148,784 || 706,416 || 13 || || 낭야국 || 20,804 || 570,967 || 13 || || 팽성국 || 86,170 || 493,027 || 8 || || 광릉군 || 83,907 || 410,190 || 11 || || 하비국 || 136,389 || 611,083 || 17 || || 합계 || 476,054 || 2,791,683 || || ||<-4> [[청주(중국)|청주]] || || 제남국 || 78,544 || 453,308 || 10 || || 평원군 || 155,588 || 1,002,658 || 9 || || 낙안국 || 74,400 || 424,075 || 9 || || 북해국 || 158,641 || 853,604 || 18 || || 동래군 || 104,297 || 484,393 || 13 || || 제국 || 64,415 || 491,765 || 6 || || 합계 || 635,885 || 3,709,803 || || ||<-4> [[형주]] || || 남양군 || 528,551 || 2,439,618 || 37 || || 남군 || 162,570 || 747,604 || 17 || || 강하군 || 58,434 || 265,464 || 14 || || 영릉군 || 212,284 || 1,001,578 || 13 || || 계양군 || 135,029 || 551,403 || 11 || || 무릉군 || 46,672 || 250,913 || 12 || || 장사군 || 255,854 || 1,059,372 || 13 || || 합계 || 1,399,394 || 6,315,952 || || ||<-4> [[양주(중국)|양(揚)주]] || || 구강군 || 89,436 || 432,426 || 14 || || 단양군 || 136,518 || 630,545 || 16 || || 여강군 || 101,392 || 424,683 || 14 || || 회계군 || 123,090 || 481,196 || 14 || || 오군 || 164,164 || 700,782 || 13 || || 예장군 || 406,496 || 1,668,906 || 21 || || 합계 || 1,021,096 || 4,338,538 || || ||<-4> [[익주]] || || 한중군 || 57,344 || 267,402 || 9 || || 파군 || 310,691 || 1,086,049 || 14 || || 광한군 || 139,865 || 509,438 || 11 || || 촉군 || 300,452 || 1,350,476 || 11 || || 건위군 || 137,713 || 411,378 || 9 || || 장가군 || 31,523 || 267,253 || 16 || || 월휴군 || 130,120 || 623,418 || 14 || || 익주군 || 29,036 || 110,802 || 17 || || 영창군 || 231,897 || 1,897,344 || 8 || || 광한속국 || 37,110 || 205,652 || 3 || || 촉군속국 || 111,568 || 475,629 || 4 || || 건위속국 || 7,938 || 37,187 || 2 || || 합계 || 1,525,257 || 7,242,028 || || ||<-4> [[서량|양(凉)주]] || || 농서군 || 5,628 || 29,637 || 12 || || 한양군 || 27,423 || 130,138 || 13 || || 무도군 || 20,102 || 81,728 || 7 || || 금성군 || 3,858 || 18,947 || 10 || || 안정군 || 6,094 || 29,060 || 8 || || 북지군 || 3,122 || 18,637 || 6 || || 무위군 || 10,042 || 34,226 || 14 || || 장액군 || 6,552 || 26,040 || 8 || || 주천군 || 12,706 || na || 9 || || 돈황군 || 748 || 29,170 || 6 || || 장액속국 || 4,656 || 16,952 || 5 || || 거연속국 || 1,560 || 4,733 || 1 || || 합계 || 89,785 + 12,706 || 419,268 + @ || || ||<-4> [[병주]] || || 상당군 || 26,222 || 127,403 || 13 || || 태원군 || 30,902 || 200,124 || 16 || || 상군 || 5,169 || 28,599 || 10 || || 서하군 || 5,698 || 20,838 || 13 || || 오원군 || 4,667 || 22,957 || 10 || || 운중군 || 5,351 || 26,430 || 11 || || 정양군 || 3,153 || 13,571 || 5 || || 안문군 || 31,862 || 249,000 || 14 || || 삭방군 || 1,987 || 7,843 || 6 || || 합계 || 115,011 || 696,765 || || ||<-4> [[유주(중국)|유주]] || || 탁군 || 102,218 || 633,754 || 7 || || 광양군 || 44,550 || 280,600 || 5 || || 대군 || 20,123 || 126,188 || 11 || || 상곡군 || 10,352 || 52,204 || 8 || || 어양군 || 68,456 || 435,740 || 9 || || 우북평군 || 9,170 || 53,475 || 4 || || 요서군 || 14,150 || 81,714 || 5 || || 요동군 || 64,158 || 81,714 || 11 || || 현토군 || 1,594 || 43,163 || 6 || || 낙랑군 || 61,492 || 257,050 || 18 || || 요동속국 || na || na || 6 || || 합계 || 396,263 || 2,045,602 || || ||<-4> [[교주]] || || 남해군 || 71,477 || 250,282 || 7 || || 창오군 || 111,395 || 466,975 || 11 || || 울림군 || na || na || 11 || || 합포군 || 23,121 || 86,617 || 5 || || 교지군 || na || na || 12 || || 구진군 || 46,513 || 209,894 || 5 || || 일남군 || 18,263 || 100,676 || 5 || || 합계 || 270,769 || 1,114,444 || || ||<-4> 총계 || || || 932만 7559호 + 1만 2706호 || 4794만 3413명 + @ || || == 2년 == 군국 호 구 현 소속 남해군 19,613 94,253 6 교주 울림군 12,115 71,162 12 교주 창오군 24,379 146,160 10 교주 교지군 92,440 746,237 10 교주 합포군 15,398 78,980 5 교주 구진군 35,743 166,013 7 교주 일남군 15,460 69,485 5 교주 위군 212,849 909,655 18 기주 거록군 155,951 827,177 20 기주 상산군 141,741 677,956 18 기주 청하군 201,774 875,422 14 기주 조군 84,202 349,952 4 기주 광평국 27,984 198,558 16 기주 진정국 37,126 178,616 4 기주 중산국 160,873 668,080 14 기주 신도국 65,556 304,684 17 기주 경조윤 195,702 682,468 12 내사 좌빙익 235,101 917,822 24 내사 우부풍 216,377 836,070 21 내사 홍농군 118,091 475,954 11 내사 하동군 236,896 962,912 24 내사 태원군 169,863 680,488 21 병주 상당군 73,798 337,766 14 병주 상군 103,683 606,658 23 병주 서하군 136,390 698,836 36 병주 삭방군 34,338 136,628 10 병주 오원군 39,322 231,328 16 병주 운중군 38,303 173,270 11 병주 정양군 38,559 163,144 12 병주 안문군 73,138 293,454 14 병주 하내군 241,246 1,067,097 18 사예 하남군 276,444 1,740,279 22 사예 낭야군 228,960 1,079,100 51 서주 동해군 358,414 1,559,357 38 서주 임회군 268,283 1,237,764 29 서주 초국 114,738 497,804 7 서주 사수국 25,025 119,114 3 서주 광릉국 36,773 140,722 4 서주 노강군 124,383 457,333 12 양주 구강군 150,052 780,525 15 양주 회계군 223,038 1,032,604 26 양주 단양군 107,541 405,171 17 양주 예장군 67,462 351,965 18 양주 동군 401,297 1,659,028 22 연주 진류군 296,284 1,509,050 17 연주 산양군 172,847 801,288 23 연주 제음군 290,025 1,386,278 9 연주 태산군 172,086 726,604 24 연주 성양국 56,642 205,784 4 연주 회양국 135,544 981,423 9 연주 동평국 131,753 607,946 7 연주 영천군 432,491 2,210,973 20 예주 여남군 461,587 2,596,148 37 예주 패군 409,079 2,030,480 37 예주 양국 38,709 106,752 8 예주 노국 118,045 607,381 6 예주 탁군 195,607 782,764 29 유주 발해군 256,377 905,119 26 유주 대군 56,771 278,754 18 유주 상곡군 36,008 117,762 15 유주 어양군 68,802 264,116 12 유주 우북평군66,689 320,780 16 유주 요서군 72,654 352,325 14 유주 요동군 55,972 272,539 18 유주 현토군 45,006 221,845 3 유주 낙랑군 62,812 406,748 25 유주 하간국 45,043 187,662 4 유주 광양국 20,740 70,658 4 유주 한중군 101,570 300,614 12 익주 광한군 167,499 662,249 13 익주 촉군 268,277 1,245,929 15 익주 건위군 109,419 489,486 12 익주 월휴군 62,208 408,405 15 익주 익주군 81,946 580,463 24 익주 장가군 24,219 153,360 17 익주 파군 158,643 708,148 11 익주 평원군 154,387 664,543 19 청주 천승군 116,727 490,720 15 청주 제남군 140,761 642,884 14 청주 제군 154,826 554,444 12 청주 북해군 127,000 593,159 26 청주 동래군 103,292 502,693 17 청주 치천국 50,289 227,031 3 청주 교동국 72,002 323,331 8 청주 고밀국 40,531 192,536 5 청주 무도군 51,376 235,560 9 하서회랑 농서군 53,964 236,824 11 하서회랑 금성군 38,470 149,648 13 하서회랑 천수군 60,370 261,348 16 하서회랑 무위군 17,581 76,419 10 하서회랑 장액군 24,352 88,731 10 하서회랑 주천군 18,137 76,726 9 하서회랑 돈황군 11,200 38,335 6 하서회랑 안정군 42,725 143,294 21 하서회랑 북지군 64,461 210,688 19 하서회랑 남양군 359,316 1,942,051 36 형주 남군 125,579 718,540 18 형주 강하군 66,844 219,228 14 형주 계양군 28,119 156,488 11 형주 무릉군 34,177 185,758 13 형주 영릉군 21,092 139,378 10 형주 육안국 38,345 178,616 5 형주 장사국 43,470 235,825 13 형주 5767만 1682명 -전체: 군국103개, 현1578개, 1223만 3062호, 5959만 4978명, 동서9302리, 남북13368리. == 관련 항목 == * [[중국사]] * [[중국/인구]] * [[한나라]] * [[전한]] * [[후한]] * [[삼국시대(중국)]] * [[삼국지]] * [[삼국지/지명]] * [[삼국지/관직]] [[분류:후한]][[분류:삼국시대]][[분류:삼국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