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종로구의 법정동)] ||<-2> '''[[종로구|{{{#000000,#dddddd 종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훈정동}}}'''[br]薰井洞 | Hunjeo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종로구 훈정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종로구 || || '''행정표준코드''' || 1111015000 || || '''관할 행정동''' || 종로1·2·3·4가동 || || '''면적''' || 0.21㎢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북쪽으로는 [[와룡동(종로구)|와룡동]], 동쪽으로는 원남동 · 인의동, 남쪽으로는 [[종로1.2.3.4가동|종로3가]] · [[종로1.2.3.4가동|종로4가]], 서쪽으로는 [[봉익동]] · 권농동과 접해있다. == 유래 == 훈정이란 지명은 더운 우물이 있었다는 것에서 유래한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묘전동, 순라동, 후정동, 태정동 등의 각 일부가 통합되어 훈정동이 되었으며, 같은 해 9월 출장소 제도 신설로 경성부 북부출장소 훈정동이 되었다가 1915년 6월 출장소 제도가 폐지되어 경성부 훈정동이 되었다. 1936년 4월 동명이 일본식 지명으로 변경됨에 따라 훈정정이 되었으며, 1943년 4월 구제(區制) 실시로 종로구 훈정정이 되었다가 1946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정(町)이 동(洞)으로 바뀔 때 훈정동이 되었다. 법정동인 훈정동은 행정동인 [[종로1.2.3.4가동|종로1·2·3·4가동]] 관할이다. == 주요 명소 == * [[종묘]] 사실상 훈정동 그 자체다. 훈정동 전 지역이 종묘와 종묘광장이기 때문이다. == 교통 == === 버스 === * [[서울 버스 101]] * [[서울 버스 103]] * [[서울 버스 140]][* [[도봉산역]] 방향만 경유.] * [[서울 버스 143]] * [[서울 버스 150]] * [[서울 버스 201]] * [[서울 버스 260]] * [[서울 버스 262]] * [[서울 버스 270]] * [[서울 버스 271]] * [[서울 버스 273]][* 중랑공영차고지 방향만 경유.] * [[서울 버스 370]] * [[서울 버스 720]] * [[서울 버스 721]] * [[서울 버스 N15]] * [[서울 버스 N16]] * [[서울 버스 N62]] * [[서울 버스 7212]] * [[서울 버스 종로12]] * [[경기광주 버스 9301]] === 도시철도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종로3가역]] == 출신 인물 == * [[김용림]] == 관련 문서 == * [[종로구/행정]] [[분류:종로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