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트랜스포머 세계관의 휠잭, rd1=휠잭)]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Wheeljackg1.jpg|width=100%]] || ||<-2> '''{{{#fff {{{+1 휠잭}}} [br]Wheeljack / ホイルジャック}}}''' || || '''{{{#fff 비클}}}''' ||1976년형 [[란치아 스트라토스]] 터보 5 레이싱카 || || '''{{{#fff 소속}}}''' ||[[오토봇]]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크리스토퍼 콜린스|크리스 라타]][* 원작 [[스타스크림(G1)|스타스크림]]과 [[트랜스포머(애니메이션)/기타 등장인물|스파크플러그 윗위키]], [[프로텍토봇|디펜서]], G.I. JOE 애니메이션에서 [[코브라 커맨더]]의 성우이기도 하다. 1994년에 뇌염으로 사망했다.], [[크리스토퍼 스윈들]] ,,(데바스테이션),,[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사카 오사무]], [[스즈키 카츠미]] ,,(TV 미방영분),,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G1]] 시리즈에 등장하는 [[오토봇]] 소속의 [[과학자]]이자 발명가로, 오토봇을 위해 이런저런 장치를 개발해내는 유능한 천재(天才)이긴 하지만... '''희대의 [[개그 캐릭터]]이자 [[매드 사이언티스트]]라 불릴 정도의 천재(天災)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 행적 == === 마블 코믹스 === === 애니메이션 === 트랜스포머 G1 본작에서 모든 캐릭터들 중에 처음으로 대사를 꺼낸 존재이다. 작중에서는 말할 때마다 귀 부분에 있는 파츠가 발광하는데, 주로 파란색으로 번쩍이지만 때때로 주황색이나 붉은색으로 번쩍이기도 한다. 그가 발명한 기계들은 [[디셉티콘]] 뿐 아니라 [[오토봇]][[팀킬|에게도 치명적인 것들이 대부분으로]][* 사실 휠잭이 뭘 만들면 그 위력에 반한 메가트론이 탈취하는 경우가 많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다른 트랜스포머 여럿을 [[올스파크]]의 품으로 돌려보낼 뻔했다. 그의 위험한 발명품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네가베이터: 휠잭의 주도로 만든 슈퍼웨폰으로, [[레이저]]에 맞은 사물을 소멸시키는 능력이 있다. 물론 이 흉악한 성능의 무기를 메가트론이 가만히 보고 있을 리는 없었다. * 임모빌라이저: 물질 순간 동결장치. 트랜스포머들을 비롯한 모든 물질을 동결시킨다. 그나마 시간 제한이 있었지만 그것도 디셉티콘에게 탈취되어서 대재앙을 불러올 뻔했다. * 대상의 정신을 다른 육체에 이송시키는 장치: 싸움에 휘말려 부상을 입고 목숨이 위태로워진 [[스파이크 윗위키]]의 몸이 치료를 받는 동안, 그의 정신을 오토봇 X[* 스파이크의 아버지 스파크플러그 윗위키가 오토봇들의 예비 부품을 모아 만든 로봇. 처음에는 단순 전기 자극으로 깨어났는데, 이성 없이 날뛰는 바람에 무력으로 진압해 작동을 정지시켰다.]의 몸에 이식하는 데에 사용했다. 스파이크는 [[프랑켄슈타인]]같은 자기 모습을 보고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정신 이식의 부작용으로 제대로 된 사고가 어려워진 것도 한 몫 했다.][* 이후 스파이크가 진정할 수 있도록 텔레트랜 1에 텔레비전을 연결해 주었는데, 하필이면 '''[[프랑켄슈타인]]'''을 방송하고 있었다.] 아크 내부에서 날뛰어 [[텔레트랜 I(G1)|탤레트랜 1]]까지 부수고 만다. * '''[[다이노봇(G1)|다이노봇]]''': 휠잭의 작품들중 흔치 않은 성공작… 이라고 말하기엔 문제가 좀 많긴 하다. * ~~인격 변환 장치~~: 메가트론이 찍은 조작 비디오의 휠잭이 만든 발명품. 성인군자도 극악인으로 바꾸는 장치로 디셉티콘을 날뛰게 만든 것이라는 설정이었는데, 시청자들에겐 휠잭이라면 '''실제로도 만들고도 남을 거라는 평을 받았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메가트론은 '오토봇들의 공격' 에피소드에서 '''이런 장치를 실제로 만들어 오토봇들에게 사용한 적이 있다.'''] 휠잭이 다이노봇을 막 완성했을 땐 이들의 지능이 짐승 수준으로 낮았다. 휠잭은 지능이 낮은 것에 대해 '''"물론 다이노봇도 공룡처럼 지능이 낮아 단순합니다. 세상에 완벽한 게 어디 있겠어요?"'''라고 옵티머스에게 얘기한다. 하지만 다이노봇은 마구 날뛰면서 아크 내부를 죄다 부숴버렸고, 이에 화가 난 옵티머스는 이제 지긋지긋하다며 다이노봇을 없애버리겠다고 총을 겨누었다. 그것을 말리는 휠잭의 모습은 말할 필요가 없는 개그씬. 결국 휠잭이 직접 정지시키지만 그 옵티머스가 다이노봇을 봉인해야 한다며 동굴에 가둬버린다. 그렇지만 이후 오토봇들이 위험에 빠지자 지능 상승 장치를 만들고는, 봉인시켜 놓았던 다이노봇들을 '''무단으로''' 풀어서 '''무단으로''' 지능을 올린 후 위기에 빠진 오토봇들을 구원하도록 시킨다. 애들 만화고 결과가 좋아서 해피엔딩으로 끝나긴 했지만 휠잭의 어처구니없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만드는 물건들이 어찌나 악명이 높은지를 보여주는 예로, 한 번은 [[메가트론(G1)|메가트론]]이 휠잭의 옛날 연구실에서 어떤 기계장치를 발견한 뒤 "휠잭이 만든거니 뭔가 '''치명적인 위력'''을 가지고 있을 거다"라면서 조사를 명령했는데 알고 보니 [[고물|별 볼것 없는 물건]]이라 그냥 버린 거였다. 그리고 메가트론은 언제나처럼 깐죽거리는 스타스크림을 언제나처럼 "네가 일을 또 말아먹었다"며 쪼아댔다.(...) 게다가 발명품만 위험한 게 아니라 본인도 [[매드 사이언티스트]]를 연상시키는 발언을 자주 한다. 예컨대 위에 설명됐던 정신 이식 소동 에피소드에선 날뛰다가 진압된 오토봇 X[* 참고로 이 녀석을 처음 가동할 때 스파크플러그의 대사가 '자네만 매드 사이언티스트인 게 아니라고, 휠잭.'이다. 거기에 휠잭은 '''바로 이 녀석을 개조할 생각을 품고 있었다.''']를 고쳐보겠다는 스파크플러그에게 자신과 라쳇이 돕겠다고 이야기하면서[* 이 때 라쳇이 놀란 듯한 몸짓을 하며 다른 오토봇을 돌아보는 반응이 일품이다.] '오토봇의 정신적 자극을 오토봇 X에 옮기는 방법을 찾아보고 싶다'고 이야기한다. 사실상 해당 에피소드 문제의 근원 중 하나.[* 이 에피소드는 범블비가 '만약에 로봇의 정신을 사람에게 옮기면 어떻게 될지 궁금한데?'라고 말하면서 마무리되는데, 이 발상은 시즌 3의 "Only Human" 에피소드에서 실현되었다. 이 에피소드에서 같은 하스브로 계열 애니인 [[G.I. Joe]]의 악당 코브라 커맨더가 카메오로 나오는데 코브라 커맨더의 성우가 바로 휠잭의 성우이기도 한 크리스 라타이다.] 게다가 은근히 인간들을 깔보는지 [[나이트버드]] 편에서는 닌자 로봇 나이트버드의 개발자인 박사가 통신을 끄자마자 어차피 인간의 로봇이니 수준은 뻔할 거라고 뒷담을 깐다.[* 다만 다른 오토봇들도 은근히 인간 기술을 낮춰 보고 있다. 나이트버드 때엔 라쳇도 휠잭과 함께 열심히 뒷담화를 까고, 옵티머스도 로켓 발사를 보면서 '인상적이다'는 말 이후 아이언하이드에게 '원시적인 로켓 기술 치고는 말이지.'라고 덧붙이는 걸 보면 확실하다.] 정작 그 수준 낮은 로봇에게 오토봇은 죄다 관광탔지만. 원판보다 대사가 많은 일본판의 경우 [[레이저비크(G1)|콘돌]]의 습격으로 콘보이가 폭발하는 장면에서 원판에도 없던 대사가 추가되었는데 '''[[https://youtu.be/Jy8AJUrIhWY|"콘보이 사령관이 폭★발한다! 호오오오오옥?!"]]''' 이라는 불후의 명대사를 남겼다. 뒤의 단말마가 페이드아웃 되며 삑사리 나는 게 웃겨서인지 네타 요소로 자주 쓰인다. 의외로 전투력은 1인분은 거뜬히 해내는 편으로 때때로 디셉티콘을 격투로 때려잡는 흠좀무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후 같은 과학자로 나온 [[퍼셉터(G1)|퍼셉터]]가 전투력이 약해 고생을 많이 했던 것과 비교된다. [[파일:external/tfwiki.net/Windcharger_wheeljack_otp.jpg|width=550]] 더 무비에서는 2005년 지구의 오토봇 시티에서 디셉티콘들과 싸우다 윈드차저와 함께 죽어있는 장면이 나온다. 딱히 싸우다 죽는 장면이 나온 것도 아니고 이미 죽은 상태에서 시체만 등장. 시즌 1~2까지 굉장히 비중이 높은 캐릭터였기에 꽤 충격적인 최후였다.[* 단, [[피터 쿨렌]]의 말에 따르면 원래 죽는 건 [[썬스트리커]]였는데 어째선지 휠잭이 죽은 걸로 그려졌다고. 정작 원래 저런 모습으로 죽어야 했던 썬스트리커는 멀쩡한 모습으로 옵티머스와 다이노봇들과 함께 아크를 타고 오토봇들을 지원해주러 온다.][* 콘티에서는 휠잭 대신에 [[스모크스크린(G1)|스모크스크린]]이 죽은 것으로 그려졌다.] === 일본 G1 애니메이션 세계 === 일본 G1 세계관에서 휠잭은 2005년 죽지 않고 살아남아 계속 등장한다. 일본에서는 [[트랜스포머 더 무비]]가 빅토리가 나올 때까지도 개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오류가 발생했는데 그 후일담이라 볼 수 있는 트랜스포머 레전즈 시점까지 계속 살아서 등장한다. ==== [[더 헤드마스터즈]] ==== 배경에 지나가듯 조금씩 나온다. ==== [[트랜스포머 빅토리]] ==== * 성우는 사토우치 시노부 [[파일:external/tfwiki.net/WheeljackVictory1.jpg|width=550]] 옆에 있는 인물은 [[미네르바#s-2.2.4]]. 빈사상태의 [[진라이(트랜스포머)|진라이]]의 육체를 '''[[빅토리 레오]]'''로 개조. [[퍼셉터(G1)|퍼셉터]]는 아직 진라이가 살아있어서 손대기를 꺼리는데 휠잭은 '''매우 기쁜듯이''' 나서서 개조하자고 다른 이들을 부추겼고 거기에 [[진라이(트랜스포머)|진라이]]까지 거기에 동조하면서 개조를 시작했는데.... 결과는 역시 몸과 마음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대폭주. 어째서인지 퍼셉터를 선생님이라고 부르면서 존대하며 오른쪽 어깨의 무기가 흰색이 아닌 붉은색으로 나온다. === 드림웨이브 코믹스 === === IDW 코믹스 === == 완구 == === 제네레이션 1 === [[파일:external/tfwiki.net/G1Wheeljack_toy.jpg]] 원형은 [[다이아클론]] 카로봇 란치아 스트라토스. 애니메이션판과는 다르게 눈이 안보이는데, 이는 사실 원본 완구의 얼굴이 원래 저렇게 되어있었던 것. === [[트랜스포머 클래식|유니버스]] === === [[마스터피스(완구)|마스터피스]] === [[파일:attachment/휠잭(G1)/MPWJS.jpg|width=300]] 20번째 마스터피스로 2014년 9월에 발매되었다. 아마존 한정으로 휠잭의 '공구 박스'가 들어갔다. [[파일:attachment/휠잭(G1)/MPExhaust.jpg|width=300]] 이후 23번째 마스터피스 '이그저스트'가 발매됐으며, 휠잭의 금형 재활용이다. 발매일은 2015년 3월 21일. 이 캐릭터는 G1에서 한번도 등장한 적이 없는 마스터피스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이 제품은 휠잭의 원본인 '다이아클론'의 '란치아 스트라토스 터보'의 '말보로 버전'이 있었는데 그것을 마스터피스화시킨 것이다.[* TF 코믹스에서 지나가는 역할로 잠깐 얼굴을 비춘 적은 있다.] 다만 이 말보로 컬러 때문에 미국에서는 담배곽을 연상시킨다 하여 판매 허가가 나지 않았다. 게다가 말보로에서도 라이센스를 얻지 못해서 말보로란 글씨조차 붙지 못했다. 그래서 타카라는 디자인을 약간 손봐서 내놨지만 그래도 [[말보로]] 담배곽이랑 너무 닮아서 결국 미국과 홍콩에서 판매되지 못하였다. 캐릭터 카드에 써져있는 설정에 의하면 다른 곳에서 정보를 캐오는 '스파이'이고 사운드웨이브의 직속 부하이며[* 그래서 포장박스에 보면 사운드웨이브와 함께 있는 사진이 있다.], 담배를 많이 피는 [[골초]]라고 한다. 왜 '골초'인지는 이그저스트의 자동차 모드를 보면 알 수 있다. ===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 === * 어스라이즈 휠잭 [[파일:어라휠잭.png]] 이 브랜드는 휠잭 외에 이그저스트랑 [[섀터드 글래스 컬렉션]]의 디셉티콘 슬라이서와 엑소-슈트 세트로도 발매된 바 있다. [[분류:트랜스포머 제네레이션 1/등장인물]][[분류:휠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