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산구의 법정동)] ||<-2> '''[[광산구|{{{#000000,#dddddd 광산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흑석동}}}'''[br]黑石洞 | Heukseo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 흑석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2920012400 || || '''관할 행정동''' || 하남동, 수완동 || || '''면적''' || 0.73㎢ || [목차][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북부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으로는 [[신가동]], 서쪽으로는 [[하남동]], 남쪽으로는 [[월곡동(광주)|월곡동]], 북쪽으로는 [[장덕동]]에 접해 있다. 흑석동 자체로는 광주 내에선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교통정보나 시내버스 정류장 등으로 익히 알려진 '''흑석사거리'''는 꽤 유명한 편. [[13번 국도|사암로]], [[하남대로(광주)|하남로]], 고봉로가 만나는 곳이라 과거에는 동운동에서 광산구로 오는 차들은 모두 이 곳을 지나야만 했다. 우회도로가 많이 생긴 지금도 하남, 비아/첨단, 우산/월곡, 임곡 방면이 갈라지는 결절점으로서 광산구 동북부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 교통 == === [[시내버스]] === * [[광주 버스 수완12]] * [[광주 버스 첨단20]] * [[광주 버스 송정33]] * [[광주 버스 문흥39]] * [[광주 버스 임곡89]] * [[광주 버스 첨단92]] * [[광주 버스 첨단94]] * [[광주 버스 송정98]] * [[광주 버스 선운101]] * [[광주 버스 평동701]] == 관할 행정동 == === 수완동 === 행정동 수완동에 대한 설명은 [[광산구/행정#s-3.5|항목]] 참조. 행정동 수완동의 남서쪽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수완지구를 이루는 마을 중 장자울마을이 법정동 흑석동에 해당하나, 정작 마을의 연원이 된 장자울은 장덕동에 있었다. 중흥, 진아, 이지 등의 민간 건설사 아파트와 [[주공아파트|휴먼시아]]가 있으며 하남대로와 사암로 연변에는 단독주택단지도 있다. 법정동 흑석동 관내의 유일한 학교인 새별초등학교가 이 곳에 있다. === 하남동 === 행정동 하남동에 대한 설명은 [[광산구/행정#s-2.2|항목]] 참조. 원래는 흑석동 전지역이 행정동 하남동에 있었지만 수완동이 생겨나면서 사암로 동쪽은 수완동으로 편입되었다. 행정동 하남동 중에서 하남산단에 속하지 않은 곳 중 하나다. 큰 공장은 없지만 사암로 주변으로 작업복 공장 등의 소규모 공장이 있으며, 흑석사거리와 제2흑석사거리 사이에 자동차 정비소들이 모여있다. 흑석동의 자연마을인 흑석, 시리 등의 마을은 모두 하남동에 속해있다. == 역사 == 1935. 전라남도 광산군 하남면 흑석리 1988. 1. 1. 광주직할시 광산구 흑석동(하남출장소 관할) 1995. 1. 1. 광주광역시 광산구 흑석동 1998. 10. 15. 하남출장소에서 하남동으로 전환 2010. 9. 6. 수완동 신설로 일부 지역 수완동으로 편입 == 기타 == [[분류:광산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