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랑이의 털 색에 따른 명칭)] [[파일:external/tigertribe.net/blacktiger1-283x300.jpg]] 1993년 7월 21일, [[인도]] 시미리팔 호랑이 보호구 인근에서 화살에 사살된 아분디스틱 [[벵골호랑이]].[*출처 [[http://tigertribe.net/tigers-origin/white-and-coloured-tigers/|이미지 출처]], [[http://cryptomundo.com/cryptozoo-news/black-tiger10/|날짜 출처]]] [목차] == 개요 == 흑호(黑虎)는 [[검은색]]의 [[호랑이]]를 의미한다. 흑호로 지칭될 수 있는 검은 호랑이는 멜라닌 색소 과다증으로 모든 체모가 검어지는 '멜라니즘' 또는 체모의 무늬가 굵고 짙어지는 '아분디즘'이 발현된 호랑이일 것이나, 공식적인 멜라니스틱 호랑이의 탄생 및 발견 사례는 없다. == 실존: 아분디스틱 호랑이(abundistic tiger) == [[파일:external/www.thehindu.com/Tigers_jpg_2489413f.jpg]] [[인도]] 난당카낭 줄라지얼 파크(Nandankanan Zoological Park)가 멜라니스틱(melanistic)으로 주장하는 [[벵골호랑이]] 형제, 크리슈나(Krishna, 우)와 슈브란슈(Subhranshu, 좌). [[http://www.thehindu.com/news/national/other-states/melanistic-tigers-exhibited-in-nandankanan-zoo/article7473887.ece|이미지 출처]] 실존하는 호랑이 중 "검은 호랑이"라 불릴 만한 호랑이는 무늬나 점이 크고 짙어지며, '가짜 멜라니즘(Pseudo-melanism)'으로도 불리는 '아분디즘(Abundism)'으로 무늬가 굵고 짙어진 호랑이이다. 호랑이의 아분디즘 발현은 [[벵골호랑이]]에게서만 보고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백변증]]이 발현된 [[백호(동물)|백호]]인 동시에 아분디즘이 발현된 사례가 많은 것으로 볼 때, [[백호(동물)|백호]] 생산을 위한 호랑이간의 [[근친]]교배가 아분디즘의 발현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nfxilbxjZl1sndg3zo1_1280.jpg]] 시미리팔 호랑이 보호구에서 촬영된 아분디스틱 호랑이. [[http://panthxra.tumblr.com/post/104114725295/abundisticpseudo-melanistic-tiger-caught-by-a|이미지 출처]] 야생에서 촬영된 아분디스틱 호랑이의 사진은 대부분 [[인도]] 오디샤(Odisha) 주 시미리팔 호랑이 보호구(Similipal Tiger Reserve)에서 촬영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 2020년 11월 흑호랑이 오보 사건 === [youtube(AwRw4MvdvvU)] 2020년 11월 초 국내외의 다수 언론사에서 오디샤 주에서 야생 흑호랑이가 촬영되었다는 내용의 기사가 연이어 보도되었으나 해당 기사들에서 공통적으로 게재한 사진의 호랑이는 상기한 난당카난 줄로지컬 파크에서 태어난 호랑이 중 하나인 '크리슈나'로, 야생 개체를 촬영한 것이 아닌 '''동물원 사육 개체'''를 촬영한 사진일 뿐더러 언론에 보도되기 1년도 이전인 2019년 2월 13일에 사진 촬영자인 수멘 바즈파예(Soumen Bajpayee)의 [[페이스북]] 계정에 업로드 되었던 사진이다.[* [[https://blog.naver.com/dt644/222137382564]]] 국내 보도에서는 분명히 동물원 시설인 난당카난 줄로지컬 파크를 '보호구역' 등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해외 언론에서 난당카난 줄로지컬 파크를 '난당카난 생추어리(Sanctuary)'로 언급하면서 국내 언론들이 난당카난이 국립공원과 같은 개념의 보호구역인 것으로 오인한 것이 이러한 오보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해외 언론에서부터 해당 사진이 야생동물 관찰 중 촬영되었던 것으로 설명했던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어 사진 촬영자인 수멘 바즈파예 또는 최초로 보도한 언론이 과장되었거나 꾸며낸 정보를 유포하였을 가능성을 의심해야 할 것으로 파악된다. == 비실존: 멜라니스틱 호랑이(melanistic tiger)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f3483e9c1801200f6eb5b37f242f03ec.jpg]] 검은 호랑이로 알려진 '''조작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 [[https://kr.pinterest.com/pin/75435362482887334/|이미지 출처]] 인터넷 상에서 볼 수 있는 털빛이 완전히 검은 호랑이의 이미지는 모두 '''조작된''' 이미지이며, 멜라니즘과 아분디즘의 구별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멜라니스틱 호랑이'라며 아분디스틱 호랑이의 이미지가 게재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호랑이의 멜라니즘 발현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으며,''' '검은 호랑이'라며 보고된 검은 대형 고양이과 동물의 사진들은 대부분 [[흑표범]] 등을 오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14년 8월 흑재규어 헤이리 오보 사건 === [[파일:external/imgnn.seoul.co.kr/SSI_20140829173848_V.jpg]] 국내 및 해외 언론에서 "중국에서 태어난 흑호랑이"라며 보도된 [[흑재규어]] 헤이리(黑利) [[http://ori.hangzhou.com.cn/ornews/content/2014-08/28/content_5423283.htm|중국어 원문기사]]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2736518/Rare-black-tiger-cub-does-best-terrify-s-cute-s-good.html|헤이리를 호랑이로 오보한 영국 데일리메일(dailymail)의 기사]]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829601034|헤이리를 호랑이로 오보한 국내 나우뉴스의 기사]] 2014년 8월 경, "2014년 8월 2일에 [[중국]] [[항저우]]의 야생동물보호센터에서 '헤이리'라는 이름의 검은 호랑이가 태어났다."는 내용의 기사를 국내 및 해외의 몇몇 인터넷 뉴스에서 보도하는 일이 있었으나, 흑호랑이라며 보도된 헤이리는 '''[[호랑이]]가 아닌 [[재규어]]이다.''' [[파일:external/i.dailymail.co.uk/1409213253934_Image_galleryImage_HANGZHOU_CHINA_AUGUST_27_.jpg]]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헤이리의 모습. 재규어 특유의 매화무늬를 확인할 수 있다. 재규어인 헤이리를 호랑이로 오보하게 된 것은 [[중국어]]로 재규어를 뜻하는 '미주호'(美州虎)에서 호([[虎]])를 본 의미 그대로 [[호랑이]]로 해석한 탓으로 [[http://blog.naver.com/96spore/220112522681|추정된다고 한다.]] == 참고 문헌 == [[http://karlshuker.blogspot.kr/2013/08/the-black-tiger-veritable-bete-noire-of.html|THE BLACK TIGER – A VERITABLE BÊTE NOIRE OF MYSTERY CATS]] [[분류:호랑이]][[분류:오보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