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희망의 당'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7~2018년에 존재했던 동명의 해산한 정당, rd1=희망의 당(2017년))] ||<-5> '''[[일본/정당|{{{#ffffff 일본의 보수정당}}}]]''' || || [[희망의 당(2017년)|구 희망의 당]] ||<|2> {{{+1 →}}} ||<|2> {{{#ffffff '''신 희망의 당'''}}} ||<|2> {{{+1 →}}} || ''해산'' || ||<-3> [[파일:희망의 당 로고.svg|width=100%]] || ||<-3> {{{+1 {{{#ffffff '''[ruby(希望の党,ruby=きぼうのとう)] | 희망의 당'''}}}}}} || ||<-2> '''영문 명칭''' ||Party of Hope|| ||<-2> '''약칭''' ||希望(희망)|| ||<-2> '''한글 명칭''' ||희망의 당|| ||<-2> '''창당일''' ||[[2018년]] [[5월 8일]][* 법률상, 희망의 당 합류파가 기존조직을 해산한 후 국민당을 창당하고 그 국민당을 [[민진당(일본)|민진당]]에 흡수하는 형태로 떨어져 나가 [[희망의 당(2017년)|(구) 희망의 당]] 조직을 승계한 것이 아닌, 신설정당인 "희망의 당"을 새롭게 창당한 것으로 해석.]|| ||<-2> '''해산일''' ||[[2021년]] [[10월 1일]] || ||<-2> '''전신''' ||[[희망의 당(2017년)|구 희망의 당]] (일부)|| ||<-2> '''이념''' ||[[국민보수주의]][br]일본 [[내셔널리즘]][br][[경제적 자유주의]][br][[우익대중주의]]|| ||<-2> '''스펙트럼''' ||[[우익]] ~ [[극우]][* Kate Wexler (2020). "[[https://scholar.colorado.edu/downloads/h128nf52m|The Power of Politics: How Right-Wing Political Parties Shifted Japanese Strategic Culture]]". ''International Affairs Program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민진당(일본)|민진당]]에서 합류한 리버럴들이 거의 다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으로 갔으며[* [[호소노 고시]], [[류 히로후미]], [[나가시마 아키히사]], [[마쓰바라 진]], [[오가와 준야]], 오구시 히로시 등 국민민주당에 합류하지 않은 민진당 출신 정치인들도 있지만, 이들 역시 (신) 희망의 당에 잔류를 선택하지 않았다.], 현재의 (신) 희망의 당은 자민당 [[보수방류]]와 별 다를 거 없는 성향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Kib%C5%8D_no_T%C5%8D|영어 위키백과]]에서도 이 시기의 희망의 당을 우익~극우라고 하고 있다. 그 이외에는 [[희망의 당(2017년)|(구) 희망의 당]] 문서 참조.]|| ||<-2> '''당 색''' || {{{#ffffff 녹색 ,,(#00A63C),,}}} || ||<-2> '''주소''' ||[[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1초메 11-4[br](東京都千代田区永田町一丁目11-4)|| ||<-2> '''대표''' ||[[나카야마 나리아키]] (中山成彬)|| ||<-2> '''참의원''' ||0석 / 245석 (0%)|| ||<-2> '''중의원''' ||1석 / 465석 (0.2%)|| ||<-2> '''도도부현의회''' ||0석[* 한국의 광역의회에 해당한다.] / 2,687석 (0%)|| ||<-2> '''시구정촌의회''' ||0석[* 한국의 기초의회에 해당한다.] / 30,399석 (0%)|| ||<-2> '''당원 수''' ||?명|| ||<-2> '''공식 사이트''' ||--[[https://kibounotou.jp/]]--|| ||<-2> '''SNS''' ||[[https://www.youtube.com/channel/UCVNm3_OJ-7TCBEXLpGxLc9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6]]]] [[https://www.facebook.com/kibounoto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bounotou, 크기=24)] [[https://www.instagram.com/kibouno.to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line.me/R/ti/p/%40suu7604a|[[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310950HDK.jpg|width=100%]]}}} || '''희망의 당'''은 [[일본]]의 보수 성향의 정당이다.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와 [[오쓰카 고헤이]] [[민진당(일본)|민진당]] 대표가 통합을 결정하자 [[민진당(일본)|민진당]]과의 통합을 반대하는 [[희망의 당(2017년)|(구) 희망의 당]] 보수파 의원 중 일부의 주도로 2018년 5월 8일 새롭게 창당된 정당이다. 2021년 10월 1일 [[나카야마 나리아키]] 대표의 정계 은퇴 등으로 해산되었다. == 역사 == [include(틀:일본의 보수정당(제2차 아베 신조 내각-현재))] [include(틀:일본의 보수정당)] 희망의 당과 민진당이 합당을 결정하자 합당을 반대한 [[나카야마 나리아키]], [[마쓰자와 시게후미]], 나카야마 교코, [[이노우에 가즈노리]], [[고다 구니코]] 5명의 의원이 희망의 당을 승계하는 형태로 재창당했다. 사실상 [[희망의 당(2017년)|(구) 희망의 당]] 잔여조직을 승계하는 형태로 당명까지도 희망의 당을 그대로 유지했으나, 각주에도 나와있다시피 기존의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은 2018년 5월 7일자로 해산되어 기존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소속 당원 등은 무소속 신분이 된 터라 일본에서는 법적으로 신설정당으로 간주된다고 한다. 이후 당 대표로는 마쓰자와 시게후미, 간사장으로는 고다 구니코, 당 고문으로는 나카야마 교코가 임명되었다. 이미 2019년에는 통일지방선거에서 살펴보면 자당 소속 후보를 내지 못하고 타당 소속 후보를 우리도 공인한다는 수준[* 한국으로 치자면 서울시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정의당]]이 연합하여 민주당으로 단일후보를 낸 상황에서 정의당의 입장에서 따져보는 것으로 치환해볼수 있겠다.]에 그쳤고, 참의원 3명 중 2명[* 6월 초에 '''간사장''' [[고다 구니코]](行田邦子)가 [[사이타마현]]지사 선거 출마로 탈당하고, 뒤이어 '''당대표''' [[마쓰자와 시게후미]](松沢成文)가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로 이적했다.]이 당을 떠났으며 나머지 한 명인 나카야마 교코(中山恭子)도 2019년에 임기가 마지막이라 2019년 5월 현재의 처참한 지지율로는 재선을 바라보기가 힘들어 향후 선거에서 (新)희망의 당의 존폐 자체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결국 나카야마 의원은 2019년 4월 8일,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하지 않고 정계를 은퇴한다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표명했다. 그러나 대신 5월 28일, 당 선거대책위원장에 취임했다. 2019년 6월 5일에 고다 구니코(行田邦子) 참의원 의원이 탈당하면서 정당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어 법적으로 '''정치단체'''가 되었다. == 전망 == 향후 당으로서 존속여부가 가능할것인지 의심될정도로 처참한 지지도를 기록하고 있다. 물론 일본 야권 지지자들이 전체적으로 여론조사에 잘 응답을 하지 않아 부동층 등이 과반에 가까운 40%+α 정도로 집계되는 상황이라[* 한국에서 말하는 속칭 샤이층.] 실제 선거에서 득표율이 일정 부분 나올 가능성은 있겠지만, 2018년 현재 일본 언론에 보도된 것을 보면 재창당 이래 NHK 기준 최고지지율이 0.1%, 2018년 8월 기준으로 '''0%'''가 나왔다(...). 그 이후로도 2019년 여름에 접어드는 5월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꾸준히 '''0~0.1%''' 수치를 왔다갔다 하고 있는데, 이정도면 아무리 높아봤자 실선거에서는 5% 미만 한자릿수 득표율일 확률이 확실시되고 있는 상태이다. 아마도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전후하여 [[중의원 의원 총선거]]가 있을 텐데, 이 무렵 과거 일본 군소정당 대다수가 그랬듯 예전 [[모두의 당]]처럼 해산되거나 타 정당에 흡수되는 운명을 맞을 듯 하다. 그리고 이전의 예상대로 희망의 당은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단 한명도 자당 소속 후보자를 공인하지 않았다.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이후 2019년 7월 27일 기준 이제는 희망의 당 소속 현직 의원이 중의원 2명밖에 남지 않았는데, 그래서 사실상 희망의 당은 인터넷 홈페이지에도 2019년 5월 말 이후로 전혀 새로운 소식이 업데이트되지 않는 등 해체수순을 밟아가고 있다. 일본 현지에서는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와의 합당설이 돌고 있는 듯 하다. 2020년 중의원에서 희망의 당 소속 의원 두 명이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과 회파를 꾸렸다. 회파 희망의 당은 국민민주당과의 회파를 새로 꾸림에 따라 해산했다. 2021년 [[이노우에 가즈노리]]가 희망의 당을 탈당했다는 걸로 보아 아직까지는 존속 중이다.[[https://www.kyoto-np.co.jp/articles/-/493605|#]] 이제 당에 남은 의원은 나카야마 대표 뿐. 2021년 10월 7일, [[나카야마 나리아키]] 대표가 차기 중의원선거에 출마하지 않고 은퇴하는 것을 밝힘에 따라서, 이 당도 해체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실제로 10월 1일 당이 해산된 것으로 확인되어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https://mrt.jp/localnews/?newsid=202110183682|#]] == 문서 관련 틀 == [include(틀:제48대 일본 중의원의 원내 구성)] [[분류:일본의 없어진 정당]][[분류:희망의 당(2017년)]][[분류:국민보수주의 정당]][[분류:우익대중주의 정당]][[분류:일본 내셔널리즘 정당]][[분류:2018년 정당]][[분류:2021년 해체]][[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