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ruby(東札幌, ruby=ひがしさっぽろ)][ruby(駅, ruby=えき)]}}}[br] || {{{+1 Higashisapporo Station}}} || ||<-3> {{{#!wiki style="margin: -0px -5px;" [[일본국유철도|[[파일:JNR_Wlogo.svg|height=50&align=left]]]]}}}[[일본국유철도|{{{#d8d8d8 일본국유철도}}}]][br]'''{{{+1 {{{#d8d8d8 히가시삿포로역}}} {{{#ffffff (폐역)}}}}}}'''||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43.055333 141.383861, 너비=100%, 높이=300px)]}}} || ||<-3> '''다국어 표기''' || || 일본어 ||<-2> 東札幌[br](ひがしさっぽろ) || || 영어 ||<-2> Higashisapporo || ||<-3> '''주소''' || ||<-3>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 키쿠스이7죠 4초메[br]北海道札幌市白石区菊水7条4丁目 || ||<-3> '''역 운영기관''' || || [[치토세선|{{{#ffffff 치토세선}}}]]{{{#ffffff →}}}[br][[하코다테 본선|{{{#ffffff 하코다테 본선}}}]] ||<-2> [[일본국유철도]] || || [[죠잔케이 철도선|{{{#ffffff 죠잔케이 철도선}}}]] ||<-2> [[죠잔케이 철도]] || ||<-3> '''개업일''' || ||<-3> 1926년 8월 21일 || ||<-3> '''폐역일''' || ||<-3> 1986년 11월 1일 || ||<-3> '''노선거리표''' || || [[시로이시역(홋카이도)|{{{#000000,#e5e5e5 {{{#!html
시로이시 방면
}}}}}}]]--[[시로이시역(홋카이도)|시로이시]][br]← 3.0 km-- || '''--[[하코다테 본선/역 목록#s-2.2|{{{-2 하코다테 본선}}}[br]화물지선]]--{{{#ff0000 {{{#!html
(폐선)
}}}}}}'''--히가시삿포로-- || [[츠키삿푸역|{{{#000000,#e5e5e5 {{{#!html
츠키삿푸 방면
}}}}}}]]--[[츠키삿푸역|츠키삿푸]][br]2.8 km →-- || || [[누마노하타역|{{{#000000,#e5e5e5 {{{#!html
누마노하타 방면
}}}}}}]]--[[츠키삿푸역|츠키삿푸]][br]← 2.7 km-- || '''--[[치토세선#s-2.3|옛 치토세선]]--{{{#ff0000 {{{#!html
(폐선)
}}}}}}'''--히가시삿포로-- || [[나에보역|{{{#000000,#e5e5e5 {{{#!html
나에보 방면
}}}}}}]]--[[나에보역|나에보]][br]3.1 km →-- || || [[시로이시역(홋카이도)|{{{#000000,#e5e5e5 {{{#!html
시로이시 방면
}}}}}}]]--[[시로이시역(홋카이도)|시로이시]][br]← 2.7 km-- || '''--{{{-2 [[죠잔케이 철도]]}}}[br][[죠잔케이 철도선]]--{{{#ff0000 {{{#!html
(폐선)
}}}}}}'''--히가시삿포로-- || [[죠잔케이역|{{{#000000,#e5e5e5 {{{#!html
죠잔케이 방면
}}}}}}]]--[[토요히라역|토요히라]][br]1.0 km →-- || [[파일:히가시삿포로역(폐역).jpg|width=640]] 1976년 영업 당시 모습 [목차] == 개요 ==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에 위치한 [[일본국유철도]] [[치토세선]]([[하코다테 본선]] 화물지선) 및 [[죠잔케이 철도선]]의 폐역이다. 1945년부터는 죠잔케이 철도선의 기점역이기도 했는데, 시로이시~당역 구간이 [[불요불급선]]이 되어 폐선되었기 때문이다. 1973년에 치토세선 선로개량으로 당역을 포함한 [[나에보역|나에보]]~[[츠키삿푸역|츠키삿푸]] 구간은 여객취급을 중지하고 하코다테 본선 화물지선에 편입되었다. 그 이후 명맥을 이어오다 1986년에 화물취급 업무를 [[삿포로 화물터미널역]]에 이관하고 폐역된다. 역 주변에는 물류창고가 많고, [[삿포로 시영 지하철]]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도자이선]] [[히가시삿포로역]], 시로이시 경찰서, 홋카이도 정보전문학교 등이 있다. == 험난한 재개발 과정 == 역 터는 한동안 [[일본국유철도]] 소유였다가 1997년에 재개발을 위해 삿포로시에 양도되었다. 그 전부터 역 터에는 '''[[돔구장]]''' 건설계획이 추진되고 거의 확정 단계에 들어갔을 때 쯤, 아베 후미오(阿部文男) 前 홋카이도개발청 장관이 뇌물을 받은게 걸려서(...) 무산되고 돔구장은 [[토요히라구]]에 [[삿포로 돔|뺏긴다]]. --잘하는 짓이다-- 그 이후 부지 북쪽에는 삿포로 컨벤션센터가 세워졌고 남쪽에는 대형 상업시설이 세워....질 예정이었으나 이번에는 땅에서 '''발암물질인 6가크로뮴[* hexavalent chromium. 인체 접촉시 호흡기 장애, 부종, 궤양,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시간 흡입 시 비중격천공이나 인후점막염을 유발한다. 다량 농축 시에는 복통 등의 경련을 일으켜 '''사망할 수 있다.''']이 검출'''되어 한동안 빈땅으로 남아있다가 2008년에 이아스 삿포로(イーアス札幌)가 들어섰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죠잔케이 철도선 운영 당시에는 2면 4선이었으나 페지 이후 섬식 승강장이 되었다. [[분류:일본의 폐지된 철도역]][[분류:192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86년 폐지된 철도역]][[분류:하코다테 본선]][[분류:치토세선]][[분류:죠잔케이 철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