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히다마리 스케치)] [include(틀:망가타임 키라라 작품)] [목차] == TVA 1기: [[히다마리 스케치(애니메이션 1기)|히다마리 스케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다마리 스케치(애니메이션 1기))] == TVA 2기: [[히다마리 스케치×36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다마리 스케치×365)] == TVA 3기: [[히다마리 스케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다마리 스케치×☆☆☆)] == OVA 1탄: 히다마리 스케치×SP == ||<-2>
{{{#373a3c,#dddddd '''{{{+1 히다마리 스케치×SP}}}''' (2011)[br]ひだまりスケッチ×S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히다마리스케치_애니3기키비주얼.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아오키 우메]] || || '''{{{#373a3c,#dddddd 감독}}}''' ||[[신보 아키유키]][br][[야세 유키]]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하세가와 나호코(長谷川菜穂子)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2>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이이지마 히사하루(飯島寿治)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타키자와 이즈미(滝沢いづみ) || || '''{{{#373a3c,#dddddd 비주얼 이펙트}}}''' ||사카이 모토이(酒井 基)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에토 신이치로(江藤慎一郎) || || '''{{{#373a3c,#dddddd 편집}}}''' ||세키 카즈히코(関 一彦)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 || '''{{{#373a3c,#dddddd 음악}}}''' ||[[키쿠야 토모키]] || || '''{{{#373a3c,#dddddd 음악 제작}}}''' ||[[란티스]]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샤프트(기업)|샤프트]] || || '''{{{#373a3c,#dddddd 제작}}}''' ||히다마리장 관리 조합[br][[TBS 테레비|TBS]]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1년 10월|2011. 10. 30.]] ~ 2011. 11. 06.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BS 테레비|TBS]] / (일) 01:3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5분 || || '''{{{#373a3c,#dddddd 화수}}}''' ||4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tbs.co.jp/anime/hidamari/3r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아오키 우메]]의 [[히다마리 스케치]]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시리즈 OVA 시리즈. 2011년 10월~11월에 방영했던 SP는 샤프트 특유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틱한 연출이 다소 가미되었으며, 카메라가 ~~수영복을 입은~~ 전신을 비추는 등 서비스 컷도 많이 늘어났다. SP후편에서는 [[안녕 절망선생]]에서 쓰인 연출(깜빡, 뒤적뒤적, 콰광 같은 효과음까지 성우가 레코딩하는 기법)이 덧붙여졌다. ~~샤프트 연출의 총집합체~~ === 주제가 === * 오프닝: 気まぐれ、じゃんけんポンっ! (변덕스런 가위바위보) {{{#!folding [영상] [kakaotv(382321066)]}}} * 엔딩: nora {{{#!folding [영상] [kakaotv(382321067)]}}}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2> 전편 || {{{-2 感じるままに[br]느끼는 대로[br](7월 15일)}}} ||<|2> {{{-2 하세가와 나호코[br](長谷川菜穂子)}}} ||<|2> {{{-2 이토 요시아키[br](伊藤良明)}}} ||<|2> {{{-2 [[이타무라 토모유키]]}}} || {{{-2 타니가와 료스케[br](谷川亮介)}}} ||<|2> {{{-2 2011.10.30.}}} || || {{{-2 プカリ[br]푸카리[br](8월 28일)}}} || {{{-2 시오츠키 카즈야[br](潮月一也)}}} || ||<|2> 후편 || {{{-2 ザブザブザザー!![br]자부자부자자!![br](5월 9일)}}} ||<|2> {{{-2 오오시마 미쿠[br](大嶋実句)}}} ||<|2> {{{-2 [[신보 아키유키|進藤里子]]}}} ||<|2>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나카야마 하츠에[br](中山初絵)}}} ||<|2> {{{-2 2011.11.06.}}} || || {{{-2 らっしゃい! 肉の里[br]어서옵쇼! 고기 마을[br](5월 25일)}}} || {{{-2 시오츠키 카즈야}}} || == TVA 4기: [[히다마리 스케치×허니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다마리 스케치×허니컴)] == OVA 2탄: 히다마리 스케치 사에·히로 졸업 편 == ||<-2>
{{{#373a3c,#dddddd '''{{{+1 히다마리 스케치 사에·히로 졸업 편}}}''' (2013)[br]ひだまりスケッチ 沙英・ヒロ 卒業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히다마리스케치_애니4기키비주얼.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아오키 우메]] || || '''{{{#373a3c,#dddddd 감독}}}''' ||[[신보 아키유키]] || || '''{{{#373a3c,#dddddd 시리즈 디렉터}}}''' ||[[야세 유키]]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하세가와 나호코(長谷川菜穂子)[br]오오시마 미쿠(大嶋実句)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이토 요시아키[br]니시다 미야코(西田美弥子)[br]나카야마 하츠에(中山初絵) ,,(5화~),,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이이지마 히사하루(飯島寿治)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타키자와 이즈미(滝沢いづみ) || || '''{{{#373a3c,#dddddd 비주얼 이펙트}}}''' ||사카이 모토이(酒井 基)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에가미 레이(江上 怜) || || '''{{{#373a3c,#dddddd 편집}}}''' ||세키 카즈히코(関 一彦)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 || '''{{{#373a3c,#dddddd 음악}}}''' ||[[키쿠야 토모키]] || || '''{{{#373a3c,#dddddd 음악 제작}}}''' ||[[란티스]]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샤프트(기업)|샤프트]] || || '''{{{#373a3c,#dddddd 제작}}}''' ||히다마리장 관리 조합[br][[TBS 테레비|TBS]] || || '''{{{#373a3c,#dddddd 공개 시기}}}''' ||2013. 11. 3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2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tbs.co.jp/anime/hidamar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2013년 3월 히다마리 스케치 '''사에·히로 졸업편''' 제작이 발표되었다. 발표 당시[* 사에와 히로의 졸업은 2013년 4월 말에 나온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 6월호에 수록되었다.] 원작의 졸업편이 연재되기도 전에 나온 발표라 많은 팬들의 심금을 울리고 있다. PV도 공개되었는데 이제까지의 히다마리 스케치와 다르게 애잔한 분위기.[[https://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QxOW9XGCiYc|#]] 거기다 방영된 졸업편 마무리는 마치 애니판 히다마리 스케치 시리즈의 최종화라도 되는 것 같은 구성. === 주제가 === * 졸업편 오프닝: おーぷん☆きゃんばす(오픈☆캔버스) {{{#!folding [영상] [kakaotv(382292885)]}}} * 졸업편 엔딩: またね、ようこそ、ひだまり荘 (또 만나, 어서 와, 히다마리장) {{{#!folding [영상] [kakaotv(382320975)]}}}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受験スケッチ[br]수험 스케치[br](2월 1~20일)}}} ||<|2> {{{-2 오오시마 미쿠}}} || {{{-2 시오츠키 카즈야}}} || {{{-2 야세 유키}}} ||<|2> {{{-2 시오츠키 카즈야[br]미야니시 타마코}}} ||<|2> {{{-2 2013.11.30.}}} || || {{{-2 제2화}}} || {{{-2 卒業スケッチ[br]졸업 스케치[br](2월 28일 ~ 3월 1일)}}} || {{{-2 야세 유키}}} || - || == [[/타임라인|타임라인]] == 에피소드들 간의 시간 순서만 다룬다. SP를 제외한 각 기수의 특별편은 TV판과 같은 항목에서 다룬다. 사에·히로 졸업편은 허니컴과 함께 다룬다. == [[/엔드 카드|엔드 카드]] == 분량이 워낙 많다보니 엔드 카드도 상당히 많다. 항목 참조. == 애니화되지 않은 부분 == * 1권 : 유노와 미야코의 환영회 때 술을 마시는 장면. [[적절]]히 편집되었다. * 2권 : 유노 혼자 백화점에 간 에피소드. / 여름 방학 마지막날 유노 혼자 정원을 청소하는 에피소드. 이 두 에피소드의 몇 부분은 유노가 '''혼자'''한 일을 다같이 한 것으로 다른 에피소드에 사용되었다. * 3권 : 컬러페이지의 히다마리장 식구들의 4컷 만화 그리기. / 히다마리장 식구들이 크리스마스를 보내는 에피소드. * 4권 : 컬러페이지의 오늘의 운세 에피소드. * 5권 : 9~14번째 에피소드. * 6권 : 3~7, 9번째 에피소드. * 7권 : 컬러페이지의 나즈나와 노리의 에피소드, 4~5, 14번째 에피소드부터 이후 전부 4기에서 방영 당시 발매되지 않은 7권 내용이 5화 방영분부터 들어가기 시작해 두 에피소드를 제외한 5화 이후의 에피소드는 전부 7권 내용이었다. == OST == 오프닝곡들은 SP까지는 모드 주역 4인방 유노, 미야코, 히로, 사에 명의로 이들의 성우 [[아스미 카나]], [[미즈하시 카오리]], [[고토 유코]], [[신타니 료코]]가 부른 합창곡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4기에는 노리와 나즈나([[하라다 히토미]], [[오미가와 치아키]])까지 합류해서 6인 합창. 엔딩곡들은 모두 [[marble(가수)|marble]]이 불렀다. 또한 전 기 모두 오프닝은 쾌활하고 밝은 느낌인 반면 엔딩은 잔잔하고 어두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애니메이션에 사용된 OST는 [[키쿠야 토모키]]가 작곡하였고, 은근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특히 감동적인 부분에 넣는 OST는 거의 최고급으로 평가되고있다.] 일본 내 다른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한다. 이는 각 방송국에 은근히 높은 덕을 가진 은자들이 포진해 있는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로, KBS의 [[청춘불패]]라든가 SBS방송 [[스타주니어쇼 붕어빵]]에서 OST가 사용된 경우가 포착되었다. 한편, OST의 자켓들은 [[비틀즈]]의 앨범 자켓을 패러디했다. 1기는 [[Abbey Road]], 2기는 [[Help!]]를 패러디하였으며, 3기는 [[A Hard Day's Night]]의 자켓을 패러디,[* 멤버들의 사진이 흑백일색이었던 원본에 비해 좀 더 [[앤디 워홀]]스러운 색감이 더해졌다.] 거기에 Hidamari Day's Night라는 부제까지 붙었다. 4기 OST는 발매되지 않았다. == 흥행 == BD 판매량은 1기가 7388장, 365가 10026장, ☆☆☆가 9361장, 허니컴이 9928장으로 키라라 작품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 다른 키라라 계열 중 이에 비빌 수 있는 작품은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 '''[[금빛 모자이크/애니메이션|금빛 모자이크]]''', '''[[주문은 토끼입니까?/애니메이션|주문은 토끼입니까]]''', '''[[유루캠△/애니메이션|유루캠]]''' 정도밖에 없다.] [[분류:히다마리 스케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샤프트(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