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히든싱어1)]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히든싱어)] [목차] == 개요 == 히든싱어 첫 번째 왕중왕전에 대한 내용을 서술한 문서. == 패널 == ||<|13> '''{{{#f7e67a 패널}}}''' || [[주영훈]] || || [[태진아]] || || [[박상민]] || || [[이수영(가수)|이수영]] || || [[조관우]] || || [[김경호]] || || [[솔비]] || || [[김동준(제국의아이들)|김동준]] || || [[경리(1990)|경리]] || || [[공서영]] || || [[장동혁(코미디언)|장동혁]] || || [[티아라(아이돌)|티아라]][br]([[함은정|은정]], [[지연(1993)|지연]]) || || 조홍경[* 시즌1 보컬 트레이너.] || == 모창능력자 명단 == ||[[파일:히든 싱어 1기 모창 능력자 명단.jpg|width=500]]|| 히든싱어 1기 왕중왕전에 진출한 모창 능력자는 총 14명이며, 이들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히든싱어|상위 문서]] 참조. * 진주 김경호 [[원킬]] - 소울하모니의 보컬이며 출연 당시 유일한 연예인 모창능력자였다. * 맨해튼 박싱민 김영현 - 출연 당시 맨해튼에 거주 중이라고 하였으며, 1라운드 0표를 받았다. * 초대가수 김건모 최동환 - 각종 행사 활동에서 섭외 1순위라고 할 정도로 인기가 높으며, 성대모사를 굉장히 잘한다. * 여중생 박정현 오하늘 - 출연 당시 여중생이었으며, 모창 능력자 중 최연소.[* 최근에 시즌7 송가인편 우승자인 박성온이[* 2010년생이자 2022년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다] 오하늘보다 어리다] [*시즌7 때 리매치을 하였고 유민지가 시즌7 왕중왕전 진출을 하였음. 또한 유민지는 리매치에서 1라운드~3라운드까지 김혜빈과 함께 원조가수인 박정현을 끈질기게 위협을 하거나 이긴 적이 있음.] * 4남매 아빠 조관우 강남순 - 조관우와 똑같이 4 자녀가 있으며, 외모가 조관우와 많이 닮았다. * 울산 김종국 김병수 - 2라운드에서 0표를 받은 모창능력자며, 커버 가수로 활동 중이다. * 가짜 이문세 안웅기 - 노래 뿐만이 아니라 평상시 목소리가 이문세와 똑 닮은 모창능력자. * 신입사원 백지영 박해영 - 출연 당시 H 그룹의 신입사원이라고 한다. 1라운드에서 1표를 받으며 1위를 한 적이 있다. * 7번방 김종서 이현학 - 시각 장애인 모창능력자며, 비교적 쉬운 시즌으로 평가 받는 시즌1에서 드물게 원조 가수를 끈질기게 압박했다. * 호주 바비킴 폴 송 - 유일한 외국인 모창능력자. * 판매원 이수영 우연수 - 판매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모창능력자. 이현학과 함께 비교적 쉬운 시즌이던 시즌1에서 원조 가수를 끈질기게 압박했다. * 작곡가 윤민수 김성욱 - 작곡가로 활동하고 있는 모창능력자. * 마술사 성시경 박지훈 - 마술사로 활동하고 있는 모창능력자. 최초로 1~3라운드 내내 원조 가수보다 앞섰다. * 새댁 장윤정 오예중 - 드물게도 원조가수보다 나이가 많은 모창능력자.[* 장윤정보다 오예중이 4살 많다.] == 왕중왕전 진행 방식 == 왕중왕전에 진출한 모창능력자들은 각각 A,B,C 세 개의 조로 나누어지며 노래 한 소절이 아닌 완곡을 다 불러야 되며 300명의 평가단들은 전반부를 듣고 오리지널 가수의 모창을 잘했다고 생각하면 간주 중 'O'버튼을 눌러 투표한다. 각 조에서 제일 높은 표를 받은 1위가 결승전에 진출하게 되며 결승전에 진출한 모창능력자들은 재투표를 통해 '킹 오브 히든싱어'가 결정된다. == A 조 == === [[곽동현(가수)|원킬]]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1 || 진주 김경호 || 원킬 || 비정 || [[김경호]] || '''{{{#lime 233}}}''' || ||
'''{{{#d6d1ff 영상}}}''' || || [youtube(iTVdqGY8rtA)] || 대망의 첫 번째 참가자, 원조 가수 김경호가 앞에 앉아 있는 가운데 원킬은 김경호 모창은 물론, 놀라운 가창력을 선보여 판정단들의 큰 환호를 받았다. 그리고 원킬은 특별 무대로 [[https://www.youtube.com/watch?v=4veW8bi2qQ4|'tears']]를 선보여 히든싱어 스테이지를 콘서트장으로 만들었다. 받은 득표 수는 300표 만점에 233표로 첫 순서 치고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 김영현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2 || 맨해튼 박상민 || 김영현 || 하나의 사랑 || [[박상민]] || 79 || ||
'''{{{#d6d1ff 영상}}}''' || || [youtube(nUNdQg77hd8)] || 본인이 1라운드에 0표를 받았던 박상민의 '하나의 사랑'을 다시 보여주었다. 뛰어난 실력을 보였음에도 79표라는 꽤 적은 점수를 받았다. 네티즌들은 79표를 받을 무대가 아니었다고 말하였으며 좋은 실력에 비해 표를 많이 못 받았다는 평. 아무래도 앞의 원킬에 비해 임팩트가 떨어졌던 점이 크다. 히든싱어 왕중왕전의 사실상 인기투표적인 요소의 피해자로 보는 사람이 많다. 원조 가수와의 싱크로율도 높았는데다 같은 날 재도전 대결에서 원조 가수인 박상민을 이겼을 정도인데도 79표 밖에 나오지 않은 것이 가수의 인기가 비교적 떨어지는 편이어서 그럴 가능성이 높다는 것. 실제로 다른 시즌에서 싱크로율이 낮은 모창자들도 대부분 90표는 넘는 걸 보면 상당한 실력임에도 인기투표적인 요소 때문에 표를 많이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 [[나건필|최동환]]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3 || 초대가수 김건모 || 최동환 || 뻐꾸기 둥지 위로 올라간 새 || [[김건모]] || 216 || ||
'''{{{#d6d1ff 영상}}}''' || || [youtube(-kme-A6ciuA)] || 신나는 곡을 준비하였으며, 통 밖으로 나오자 진짜 김건모인 듯 복장을 차려입었으며 하는 동작도 김건모를 따라하여 관객들의 웃음을 주었다. 좋은 싱크로율을 자랑하였지만 원킬이 너무 셌다는 평이 대다수. 17표 차로 아깝게 결승전 진출에 실패하였다. 최동환은 <동반자>를 김건모, 조영남, 박상민, 조용필 버전으로 성대모사를 하여 또 한 번 놀라운 싱크로율을 자랑하였다. [[https://youtu.be/PDgcWiqSDxI|영상]]. 그 이후 최동환은 ''''[[나건필]]'''('''나'''훈아+김'''건'''모+조용'''필''')'이라는 예명으로 행사를 뛰고 있다고 한다. === 오하늘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4 || 여중생 박정현 || 오하늘 || 편지할게요 || [[박정현]] || 135 || ||
'''{{{#d6d1ff 영상}}}''' || || [youtube(b-y7RuBkhnI)] || 박정현의 '편지할게요'를 불렀으며, 파일럿 때보다 실력이 좀 늘었다는 평. 하지만 135표를 받았으며 결승전 진출에 실패하였다. 오하늘은 기타를 치며 Jessie J의 'Price Tag'를 불렀다. [[https://youtu.be/9RSxPkTLxMQ|영상]]. 이후 오하늘은 성인이 되고 난 뒤 '그러지 마세요'라는 노래를 냈다. [[https://youtu.be/rz5ZMZ7G5vc|#.]] === 강남순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5 || 4남매 아빠 조관우 || 강남순 || 늪 || [[조관우]] || 138 || ||
'''{{{#d6d1ff 영상}}}''' || || [youtube(Pmd4B2Zvpho)] || 가족들과 원조 가수 조관우가 지켜 보는 가운데, 강남순은 조관우의 특유의 팔세토 창법을 완벽하게 모창하였으며 막판에 가성을 내어 관객들의 박수들을 이끌어 냈다. 결과는 138표를 받아 결승전 진출을 하지 못하였다. 김영현과 더불어 표를 짜게 줬다는 평. 혹은 사람들이 조관우를 잘 몰라서 찍지 못했다는 의견이 있다. == B 조 == === 김병수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1 || 울산 김종국 || 김병수 || 한 남자 || [[김종국]] || 64 || ||
'''{{{#d6d1ff 영상}}}''' || || [youtube(WvRPhQBujrk)] || 초반에는 그럭저럭 잘 불렀으나, '니 곁에 손 내밀면 꼭 닿을 거'''리''''(볼드체 친 부분)에서 음이탈이 나게 되어 모두를 숙연케 했다. 이 안타까운 실수로 인하여 64표를 받았으며 현재까지 왕중왕전에서의 최소 득표 기록이다. 이어서 그는 'Nella Fantasia'를 완벽하게 소화해서 명예를 회복했다. [[https://youtu.be/xhAF16LhXVM|영상]]. === 안웅기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2 || 가짜 이문세 || 안웅기 || [[옛사랑]] || [[이문세]] || '''{{{#lime 242}}}''' || ||
'''{{{#d6d1ff 영상}}}''' || || [youtube(vInHG-8nD7w)] || 이문세 특유의 담담한 톤을 완벽히 소화하여 감탄을 자아냈으며, 자신의 기타 반주에 노래를 불렀다. 안웅기는 242표라는 고득표를 받으며 결승전에 진출한다. 또 100%의 목소리 싱크로율을 보여주었으며 '광화문 연가', '사랑이 지나가면', '추카해요'를 불렀다. 안웅기가 친 기타에 이문세 친필 싸인이 있다. === 박해영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3 || 신입사원 백지영 || 박해영 || 사랑 안해 || [[백지영]] || 112 || ||
'''{{{#d6d1ff 영상}}}''' || || [youtube(I0T5Wf-wZqI)] || 화려한 의상으로 관객들을 놀라게 하였으며, 이어서 살사 댄스 'sway'를 춰 전현무를 유혹했다. 처음에는 틱틱대다가 끝내 넘어오는 전현무를 보고 웃음을 자아냈다. 결과는 112표로 꽤나 낮은 표를 받았다. === 이현학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4 || 7번방 김종서 || 이현학 || 아름다운 구속 || [[김종서(가수)|김종서]] || 191 || ||
'''{{{#d6d1ff 영상}}}''' || || [youtube(FAsonZuHTbI)] || 김종서의 '아름다운 구속'을 불렀으며, 시각장애인이기 때문에 통 밖에서 나올 때 전현무가 에스코트 하였다. 당시 목상태가 조금 안 좋아서 한 키 낮춰서 불렀다.--그래도 높다-- 191표로 적지않은 득표를 했지만 많은 사람들의 반응이 실력에 비하면 많이 받지는 못했다는 평이다. 또 미국에 있는 조이에게 Jason Mraz의 'I'm Yours'를 불러주었으며,지팡이를 이용하여 춤을 추었다. [[https://youtu.be/ZYbEjQXNBCo|영상.]] === 폴 송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5 || 호주 바비킴 || 풀 송 || Tic Tac Toe || [[바비킴]] || 239 || ||
'''{{{#d6d1ff 영상}}}''' || || [youtube(kuNS0NkPy8o)]|| 다른 엔트리에 있었거나 시즌 3~5의 왕중왕전 룰(시즌3~4에서는 와일드카드, 시즌5는 밀어내기)을 따랐더라면 3위권에 올라갈 수 있었던 안타까운 참가자. 이 때는 결승전을 예선과 같은 날 같은 곡으로 치뤘고 생방이 없었다. 바비킴 모창능력자 폴 송은 전체 인원 중에서 득표수 2위라는 엄청난 기록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하필 목소리가 너무나도 비슷한 안웅기와 같은 조인 바람에 3표 차이로 떨어지게 됨으로서 많은 논란과 아쉬움을 자아냈다.[* 절대적인 평가는 아니지만, 어쨌든 히든싱어가 목소리가 닮은 모창능력자를 찾는게 목적이기 때문이다. 사실 가창력이라는 부분에서는 폴 송이 좀 더 뛰어나다는 평가가 많지만, 안웅기의 경우는 가창력은 조금 뒤질지라도 원조가수와 목소리가 너무 판박이였기에 더욱 현장의 투표 분위기를 가져오는데 성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물론 타 조 결승 진출자보다 높은 득표를 가지고도 불합리하게 떨어진 건 원킬의 4위와 함께 시즌1 진행방식의 미숙함을 드러내는 일화이기도 하다. ] 히든싱어 5 왕중왕전처럼 밀어내기 식으로 했었다면 준우승이었다. 그게 아니었어도 시즌3부터 나온 와일드카드 적용시 결승 진출도 가능했다 이 부분을 의식해서 였는지 이후 시즌의 왕중왕전에서는 와일드 카드 제도 등의 여러가지 구제가 되는 방법이 마련되곤 하였다. 왕중왕전 방식에 대한 비판을 제기할때 가장 많이 드는 예시이다. == 번외 대결 == ||
'''{{{#d6d1ff 대결 성격}}}''' || '''{{{#d6d1ff 참가자}}}'''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4> '''번외''' || 전대원 ||<|4> 무기여 잘 있거라 ||<|4> [[박상민]] || 42 || || [[박상민]] || 79 || || 김영현 || '''{{{#lime 125}}}'''[* 어찌보면 팝페라 신승훈 장진호보다 먼저 원조가수를 이겼다고 볼 수도 있겠다.] || || 안윤상 || 15 || ||
'''{{{#d6d1ff 영상}}}''' || || [youtube(qdE8iSHxloA)] || 3라운드에서 그만 박자 실수를 하여 가창력 논란(?)에 휩싸였으며 제대로 굴욕을 본 박상민이 재대결을 신청하였다. 어찌보면 시즌 6 백지영보다 먼저 리매치를 한 셈. 투표를 하지 않은 36표가 제외되었으며 리매치마저 김영현이 이기면서 명예 회복에 실패하였다. 박상민이 받은 79표는 묘하게도 김영현이 왕중왕전에서 받은 표와 같다. == C 조 == === 우연수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C-1 || 판매원 이수영 || 우연수 || Grace || [[이수영(가수)|이수영]] || '''{{{#lime 223}}}''' || ||
'''{{{#d6d1ff 영상}}}''' || || [youtube(Q6HJ8S915jI)] || 이수영의 'Grace'를 불렀으며 놀라운 싱크로율로 223표를 받았으며 김성욱과 공동 진출한다. === 김성욱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C-2 || 작곡가 윤민수 || 김성욱 || 그리움만 쌓이네 || [[윤민수]] || '''{{{#lime 223}}}''' || ||
'''{{{#d6d1ff 영상}}}''' || || [youtube(1WL5h4_X9ng)] || 신들린 애드리브를 보여주었으며 223표를 받아 우연수와 같이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또한 히든싱어 로고송을 작곡하였다. [[https://youtu.be/o3RQZrmkrIw|영상.]] === 박지훈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C-3 || 마술사 성시경 || 박지훈 || 우린 제법 잘 어울려요 || [[성시경]] || 166 || ||
'''{{{#d6d1ff 영상}}}''' || || [youtube(O4jpqndMeBw)] || 사실, 이 모창능력자는 성시경 본 편에서는 상당한 실력을 보였고 성시경의 꺾는 소리와 비음 가성을 상당히 잘 모창해내는 실력자였고 왕중왕전에선 [[거리에서]]를 하려고 했다가 막판에 곡을 바꾸었다고 하였다.[* 이것 때문에 댓글을 보면 아쉬워하는 사람이 많다.] 본업이 마술사이다 보니 모창을 하면서 마술을 보여주었다. 미녀 도우미로 [[솔비]]가 참여하였다. === 오예중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C-4 || 새댁 장윤정 || 오예중 || 초혼 || [[장윤정]] || 144 || ||
'''{{{#d6d1ff 영상}}}''' || || [youtube(XPHpuym8xcc)] || 장윤정의 '초혼'을 선곡하였다. 결과는 144표를 받았으며 결승 진출에 실패하였다. 그 이후 오예중은 트로트 가수로 활동 중이며, 도플 싱어 가요제에 장윤정과 같이 나오게 된다. == 특별 무대 == ||
'''{{{#d6d1ff 영상}}}''' || || [youtube(XNnHOe8HaTw)] || ||
'''{{{#d6d1ff 가사}}}''' || || {{{#!folding 펼치기 / 접기 ,,{{{#0ffff0 오하늘}}} {{{#gray 원킬}}} {{{#FF2400 박지훈}}} {{{#000080 강남순}}} {{{#b13 우연수}}} {{{#silver 이현학}}} {{{#800000 풀 송}}},, ,,{{{#pink 오예중}}} {{{#008000 김영현}}} {{{#871B4D 박해영}}} {{{#FFD700 김병수}}} {{{#4166F5 안웅기}}} {{{#0066a2 김성욱}}} {{{#B8860B 최동환}}} 다같이,, {{{#4166F5 난 난 꿈이 있었죠 버려지고 찢겨 남루하여도}}} {{{#008000 내 가슴 깊숙히 보물과 같이 간직했던 꿈}}} {{{#000080 혹 때론 누군가가 뜻 모를 비웃음 내등뒤에 흘릴 때도}}} {{{#800000 난 참아야했죠 참을 수 있었죠 그날을 위해}}} {{{#0ffff0 늘 걱정하듯 말하죠 헛된 꿈은 독이라고}}} {{{#FF2400 세상은 끝이 정해진 책처럼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현실이라고}}} {{{#FFD700 그래요 난 난 꿈이 있어요 그 꿈을 믿어요 나를 지켜봐요}}} {{{#silver 저 차갑게 서 있는 운명이란 벽 앞에 당당히 마주칠 수 있어요}}} {{{#gray 언젠가 나 그 벽을 넘고서 저 하늘을 높이 날을 수 있어요}}} {{{#B8860B 이 무거운 세상도 나를 묶을수 없죠}}} {{{#0066a2 내 삶의 끝에서 나 웃을 그날을 함께해요}}} {{{#871B4D 늘 걱정하듯 말하죠 헛된 꿈은 독이라고}}} {{{#pink 세상은 끝이 정해진 책처럼}}} {{{#b13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현실이라고}}} 그래요 난 난 꿈이 있어요 그 꿈을 믿어요 나를 지켜봐요 {{{#0066a2 저 차갑게 서 있는 운명이란 벽 앞에 당당히 마주칠 수 있어요}}} {{{#008000 언젠가 나 그 벽을 넘고서}}} {{{#FF2400 저 하늘을 높이 날을 수 있어요}}} {{{#silver 이 무거운 세상도 나를 묶을수 없죠}}} {{{#gray 내 삶의 끝에서}}} {{{#0066a2 나 웃을 그날을}}} {{{#gray 함}}}{{{#0066a2 께}}}{{{#gray 해}}}{{{#0066a2 요}}} 그래요 난 난 꿈이 있어요 그 꿈을 믿어요 나를 지켜봐요 {{{#0ffff0 함께해요}}} }}} || 모창능력자들이 함께 준비한 첫 번째 특별무대. 이후 시즌을 진행할수록 특별무대라는 전통이 생겼다.[* 시즌6 이후부터는 특별 무대가 없어졌다. 다만 새로운 시즌에서는 다시 등장할 지는 아직은 불명] 김종서 모창능력자 이현학은 시각장애인이기 때문에 김종국 모창능력자 김병수의 손을 잡고 나왔으며, 갑자기 툭 튀어 나온 김종서 모창에 모두가 빵 터졌다. 김종서를 모창한 이현학 뿐만이 아니라 김건모를 모창한 최동환, 윤민수를 모창한 김성욱도 미친 존재감을 드러냈다. 역대 특별무대 중 모창능력자들이 원조가수의 특징을 잘드러냈고, 웃음을 주어 가장 평가가 좋다. == 결승 == ||
<-2> '''{{{#d6d1ff 결승전}}}''' || || '''{{{#black 참가자}}}''' || '''{{{#black 최종 득표}}}''' || || 원킬 || 31 || || 안웅기 || '''{{{#ffd700 157}}}''' || || 우연수 || '''{{{#cd7f32 45}}}''' || || 김성욱 || '''{{{#c0c0c0 51}}}''' || 원래 제작진의 의도는 각조 1위를 뽑고, 최종 투표를 통해 순위를 정해서 3등까지 상금을 줄 생각이었지만[* 사실 원킬과 폴송의 낙오와 같이 엮이는 것으로 같은 곡으로 같은 판정단에게 투표를 맡길거면 뭐하러 조는 나누고 투표는 두번 하는지에 대한 비판이 많다. 밀어내기 식으로는 안웅기 폴송 원킬 우연수, 김성욱 공동4위]... C조에서 윤민수 모창능력자 김성욱과 이수영 모창능력자 우연수가 동시 진출 하는 바람에[* 원래 이 조는 시청자가 뽑은 우승후보 1위인 우연수를 밀어주는 조였고 김성욱은 윤민수 편에서 크게 윤민수를 위협한 편은 아니었으니, 전혀 생각못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정작 이후 인지도는 [[더 히든]] 등으로 김성욱이 압도적이다.] 꼴찌를 한 A조 1위인 김경호 모창능력자 원킬이 상금을 못 받는 사태가 벌어졌다.[* 239표를 받고도 조편성으로 떨어진 폴 송처럼 안웅기를 제외한 모든 결승 진출자를 이기고도 예상치 못한 공동진출 탓이 컸다. ]많이 아쉬움이 남았던 출연자 중 하나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원킬은 이후, [[곽동현(가수)|본명으로 바꿔 활동하면서]] 인지도가 높은 현역 가수로 남아있다는 것은 그나마 전화위복이 될만한 사실이다. 이후 시즌에서는 따로 생방송 결승을 했기에 시즌3~4에서는 4위도 상금을 받았다.[* 시즌5, 6, 7은 와일드카드가 없는 밀어내기 단판승부라 제외.] 특히 시즌3에서는 와일드카드를 급조한 것에 가까워 예정과 다르게 4명이 결승에 가더라도 4위도 상금을 마련해 주었다. == 역대 왕중왕전 득표수 순위 == [include(틀:히든싱어 왕중왕전 득표 수 순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paragraph=16, title=히든싱어, version=317)] [[분류:히든싱어/왕중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