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십이사)] [include(틀:근대사격제도)] ||<-2> {{{#FFF {{{+1 '''[ruby(平野神社, ruby=ひらのじんじゃ)]'''}}}[br]'''히라노 신사 | Hirano Shrine'''}}} || ||<-2> [[파일:hiranojinja.jp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京都平野神社, 너비=100%, 높이=100%)] || || {{{#FFF '''소재지'''}}} ||[[교토부]] [[교토시]] 키타구 히라노미야모토초 1[br](京都府京都市北区平野宮本町1) || || {{{#FFF '''제신(祭神)'''}}} ||이마키노스메오오카미(今木皇大神)[br]쿠도노오오카미(久度大神)[br]후루아키노오오카미(古開大神)[br]히메노오오카미(比売大神) || || {{{#FFF '''사격(社格)'''}}} ||식내사(式內社)[br][[이십이사]](二十二社) 중 상칠사(上七社)[br][[근대사격제도|구 관폐대사]](官幣大社)[br]별표신사(別表神社) || || {{{#FFF '''창건'''}}} ||[[794년]] || || [[예대제|{{{#FFF '''예대제'''}}}]] ||[[4월 2일]] || || {{{#FFF '''홈페이지'''}}} ||[[http://www.hiranojinj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교토]] 시 기타 구에 있는 [[신사(신토)|신사]]. 나라의 헤이조쿄에 있던 사당을 794년 헤이안 천도와 함께 교토로 옮겨온 것이 시초이다. 신사들 가운데서도 격이 높은 곳으로 일찍부터 황실이 주관해 제사를 지냈다. 오늘날에는 그보다도 [[벚꽃]]이 아름답기로 이름났다. 985년 [[가잔 덴노]]가 직접 행차해 벚나무를 심은 것에서 부터 시작되어 오늘날에는 수백 그루의 벚나무가 경내를 장식하고 있다. 벚꽃철이 되면 신사의 벚꽃 정원 사쿠라엔(さくら[[苑]])은 야간 라이트업까지 하며, 입장료 500엔을 받는다. 매년 4월 10일에는 가잔 덴노를 기리는 벚꽃 축제([[桜]][[花]][[祭]])가 열린다. == 모시는 신 == * 이마키스메오오카미([[今]][[木]][[皇]][[大]][[神]]) 이마키신의 정체에 대해 여러 설이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마키신이 도래계 신이라는 주장이다. 이마키란 곧 今來로 "(한반도에서) 이제 도착했다"라는 의미이고 도래인 거주지이던 야마토 국 이마키 지역에서도 이 신을 모셨다는 것이다. 이런 추정의 유력한 근거는 속일본기로, 782년에 다무라 후궁의 이마키신을 종4위로 지정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다무라 후궁에는 [[코닌 덴노]]의 황후 [[타카노노 니이가사]](高野新笠)가 머물렀는데, 그녀는 [[무령왕]]계로 전한다. 따라서 무령왕계인 황후가 모셨고 천도할 때에도 모셔간 신이라면 도래계라고 보는 것. 그밖에 [[닌토쿠 덴노]]라는 설, [[미나모토|겐지 가문]]의 조상신이라는 설, 궁중의 [[조왕신]]이라는 설이 있다. 각기 가마쿠라 시대, 무로마치 시대, 에도 시대에 제기된 이야기들이다. 히라노 신사 홈페이지에서는 원기와 활력을 돋워 주는 신이라고 한다.(...) * 쿠도노오오카미(久度大神) * 후루아키노오오카미(古開大神) * 히메노오오카미(比賣大神) 히메신이 위에 서술한 타카노노 니이가사라는 설이 있지만 확인되지 않았다. 반 노부토모는 후루아키신과 히메신이 타카노노 니이가사의 외조부, 외조모라고 추정했다. 동양사학자 나이토 고난(內藤湖南)은 오히려 의미를 축소해, 어느 신사에나 1위씩 모시는 여성 신격으로서의 히메신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 백제 왕을 모셨다? === * 히라노 신사의 주제신인 이마키신(今木神)이 [[백제]] [[성왕(백제)|성왕]]이라는 설이 있다. 이 이야기는 [[에도 시대]] 학자인 반 노부토모(伴信友, 1773~1846)의 주장에서 시작됐다. 반 노부토모는 '번신고(蕃神考)'라는 글에서 이마키신 = [[순타태자]] = 성왕[* 그러나 일본서기에 따르면 순타태자는 513년 사망한 것으로 나와, 554년 [[관산성 전투]]에서 사망한 성왕과 동일인으로 볼 수 없다.]이라고 했다.[[http://dl.ndl.go.jp/info:ndljp/pid/991313/237|#]] 주장의 근거는 헤이안 시대 후기인 1159년 쓰여진 시가집인 [[https://kokusho.nijl.ac.jp/biblio/200003739/160?ln=ja|《대초지(袋草紙)》]]에 나오는 히라노의 노래(平野御歌)이다.[[https://chibasi.net/souke1_4.htm|#]] || 히라노의 노래 원문 ||志らかへのミかとのおやのおほちこそひらのの神のこゝろなりけれ || || 반 노무토모의 해석 ||白壁のみこのみおやのおほちこそ平野の神のひヽこなりけれ[br][[코닌 덴노]]의 아들([[간무 덴노]])의 어머니의 할아버지는 히라노의 신의 증손이다 || 히라노 신사가 밝힌 입장은, 반 노부토모의 주장은 허위이며 여기에 따른 학설 역시 학문적으로 부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발 더 나아간 이마키신 = 성왕 = 긴메이 덴노설도 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긴메이 덴노]] 문서 참고. 반 노부토모는 이마키신과 함께 모셔진 쿠도신, 후루아키신과 히메신은 모두 [[간무 덴노]]의 외조모의 집안인, 일본 호족의 조상들이라고 보았다. * 나이토 고난(内藤湖南, 1866~1934)은 반 노무토모와 다른 주장을 폈다. 히라노 신사의 이마키신은 [[온조왕]]이고, 쿠도신(久度神)은 [[구수왕]](혹은 [[구태]])이라고 추정했다. 후루아키신(古開神)은 두 신격이 합쳐진 것으로 古는 온조의 형인 [[비류]]라고 했다. 開는 곧 關이고, 關은 [[초고왕]]을 뜻한다고 보았다.[[http://www.aozora.gr.jp/cards/000284/files/2251_21435.html|#]] 그러나 이 주장은 사료를 참고한 것이 아니라 발음의 유사성만을 근거로 한 것이다. 나이토 고난의 글에 따르면 귀수(구수왕) 또는 구태가 발음이 비슷하니 쿠도신이 되고, 비류(沸流)는 ‘후루’라고 읽히니 후루아키신(古開神)의 후루(古)에 해당한다는 식이다. 의미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 두 일본 학자의 미흡한 주장에서 입맛에 맞는 것만 취해 이마키신은 성왕이고 나머지 신들도 모두 백제왕 또는 왕족이라고 주장하는 [[https://m.segye.com/view/20070501001149|경우]]도 있으나 [[유사역사학]]에 가깝다. 결론적으로, '''히라노 신사에서 모시는 신들이 성왕 또는 백제의 어떤 왕이라는 근거는 없다.''' == 구조 == * 본전: 가장 북쪽에 있는 이마키신의 제1전부터 시작해 히메신의 제4전까지, 4위의 신을 차례로 모신다. 제1전과 제2전이 연결되어 있고, 역시 제3전과 제4전이 연결되어 있는 독특한 형태이다. [[중요문화재(일본)|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건물은 동향인데, 히라노 신사의 신들은 궁중신이었기 때문에 동쪽의 [[교토고쇼]]를 향하게 지었다고 한다. * 배전: 1650년에 [[도쿠가와 마사코]]가 지어 준 건물로 교토부 지정 유형문화재이다. 2018년 태풍 [[제비(2018년 태풍)|제비]] 때문에 무너져 내리는 큰 피해를 입었다가 2021년에 복구가 완료되었다. * 남문: 1651년에 교토고쇼에 있던 문을 옮겨왔다. 교토부 지정 유형문화재이다. == 찾아가는 길 == JR [[교토역]]에서 50번, 205번 버스를 타고 기누가사코마에(衣笠校前) 정류장에서 내린다. [[한큐 전철|한큐]] [[교토카와라마치역]]에서 접근할 때에는 203번을 타고 같은 정류장에서 내린다. [[분류:교토시]][[분류:신사(신토)]][[분류:일본의 중요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