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템플릿: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등장인물/인게임 정보]] 문서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신규 문서 생성 및 기존 문서 수정 시 해당 템플릿의 양식을 지켜주시고, 수정이 필요할 경우 템플릿 문서도 동일하게 수정해주시길 바립니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인게임 정보 모음)] [목차] == 개요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히시 미라클]]의 인게임 정보를 정리한 문서. == 육성 우마무스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kAFMczpf44)]}}} || ||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79 「히시 미라클」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육성 목표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
'''주니어급 데뷔전에 출전'''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주니어급 6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없음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90EE90;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데뷔}}}}}} 코쿠라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 ||<-2> '''팬을 8000명 모은다'''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클래식급 5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8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없음 || ||<-2> '''고베 신문배에서 3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클래식급 9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175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FF1493;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I}}}}}} 한신 / 잔디 / 2400m(중거리) / 우, 외측 || ||<-2> '''국화상에서 3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클래식급 10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75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교토 / 잔디 / 3000m(장거리) / 우, 외측 || ||<-2> '''텐노상(봄)에서 1착'''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4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교토 / 잔디 / 3200m(장거리) / 우, 외측 || ||<-2>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1착'''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6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한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내측 || ||<-2> '''텐노상(가을)에서 3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10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도쿄 / 잔디 / 2000m(중거리) / 좌 || ||<-2> '''재팬컵에서 3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11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5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 ||<-2> '''아리마 기념에서 1착'''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12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5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나카야마 / 잔디 / 2500m(장거리) / 우, 내측 ||}}}}}}}}} || * 고유 칭호는 '''느긋한 치유 우마무스메'''(のんびり癒しウマ娘). 칭호 획득 조건은 '''"국화상, 텐노상(봄), 타카라즈카 기념(시니어급)에서 우승하고, 7회 이상 휴식하고, 「밤샘 습관」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로 육성을 완료한다."''' 우승해야 할 레이스 모두 육성 목표에 포함(목표4~6)돼있어서 별도의 레이스를 더 뛰어줄 필요는 없다. 게다가 텐노상(봄)과 타카라즈카 기념은 '1착'이 클리어 조건이므로, 국화상 우승만 놓치지 않는다면 육성을 완료하는 것 자체로 우승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밤샘 습관' 상태의 경우엔 육성 완료 시점에만 걸려있지 않으면 되므로, 7회 이상의 휴식을 취하면서 자연 치료되기를 기대해도 좋고, 영 아니다 싶으면 양호실 등의 수단을 이용해 육성 완료 전에만 치료해주면 된다. 휴식 횟수 조건의 경우엔 좀 신경을 써줘야 하는데, 트레이닝 효율을 끌어올려보겠다고 휴식 턴 수를 줄이다보면 7회 미만이 돼버리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 때문이다.[* 마침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킬/진화 스킬 목록#히시 미라클|진화 스킬]] 중 하나인 '초조해하지 말고, 기죽지 말고' 역시 스킬 진화를 위해 7회 휴식을 요구하므로, 진화 조건 화면의 카운터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휴식 횟수를 체크해주는 것이 좋다.] 참고로 우승 조건의 경우엔 [[히시 미라클|원본마]]의 커리어를 반영한 것으로, 셋 다 원본마가 낮은 인기 순위에도 불구하고 깜짝 우승한 것으로 유명한 G1 레이스들이다. 다만 낮은 인기 순위까지 고증해버리면 칭호 획득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지기 때문인지 인기 순위는 조건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우마무스메 히시 미라클의 느긋한 캐릭터성은 원본마의 성격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휴식 횟수 조건과 '밤샘 습관' 관련 조건, 그리고 '치유 우마무스메'라는 칭호명은 모두 이를 반영한 것으로 추측된다. * 고유 아나운스는 '''국화상, 텐노상(봄)에서 우승한 뒤, 시니어급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우승'''하면 들을 수 있는데, [[https://youtu.be/jyrY0RQ4hXc|#]] 2003년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우승했을 당시의 아나운스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https://youtu.be/_i-eOYjk25I?t=306|#]] 고유 칭호와 조건이 겹치기 때문에 칭호 획득을 노린다면 쉽게 들어볼 수 있다. >またまたミラクルだ~、阪神レース場! 天皇賞も菊花賞も伊達ではない! 勝ったのは天皇賞、菊花賞ウマ娘のヒシミラクル! >---- >다시 한 번 미라클이다~, 한신 경기장! 텐노상도 국화상도 겉치레가 아니다! 승자는 텐노상, 국화상 우마무스메 히시 미라클! * [[클라이맥스 시나리오]]에서의 고유 해설은, 평범함을 입에 달고 살면서도 그 달리기 만큼은 평범치 않은 히시 미라클의 캐릭터성을 반영한 것이다. >ヒシミラクル! 決して平凡ではないその脚力で 熱いファンに応える奇跡の走りを見せてくれました! >---- >히시 미라클! 결코 평범하지 않은 그 다릿심으로 열렬한 팬들에게 보답하는 기적의 달리기를 보여주었습니다! === ★★★ - [미라클 메이크 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시 미라클 1차 아이콘.png|width=90%]]}}} ||{{{+1 {{{#!html ★★★}}}{{{#!html ★★}}}}}} || ||[미라클 메이크 업!][br]{{{+1 히시 미라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rgba(255, 255, 255, 0) 50%, #bdd1e9 50%, #bdd1e9 65%, #4b72b3 65%, #4b72b3 73%, rgba(255, 255, 255, 0) 73%, rgba(255, 255, 255, 0) 74%, #4b72b3 74%, #4b72b3 82%, rgba(255, 255, 255, 0) 82%, rgba(255, 255, 255, 0) 83%, rgba(255, 255, 255, 0) 90%, #bdd1e9 90%, #bdd1e9 92%, rgba(255, 255, 255, 0) 92%)" '''そんなに期待されても、''' '''わたし、ふつーですし~!''' '''그렇게 기대해주셔도,''' '''저, 평범하다구요~!'''}}}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시 미라클 스킬 모션.gif|width=100%]]}}} || {{{-1 [미라클 메이크 업!] 스킬 모션}}}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margin: 0px; padding: 0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0px; font-style: normal; width:100%; height:32px; 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ccffff, #ffccff, #ffcccc, transparent 150%)" '''{{{+2 {{{#!html Bang☆기적 같은 결과!}}}}}}'''}}}}}}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 ||<|1> '''[ruby(문무양도\,, ruby=文武両道、)] [ruby(학급의 인기인~, ruby=クラスの人気者~)] [ruby(…이랑은 거리가 먼\,, ruby=…とは程遠い、)] [ruby(평범한 아이지만…, ruby=ふつーの子だけど…)][br][ruby(으~음\,, ruby=んんん、)] [ruby(열심히 해보자~!, ruby=がんばるぞ~!)]'''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 ||<|1> '''[ruby(내 나름대로\,, ruby=わたしなりに、)] [ruby(열심히 해보자~!, ruby=がんばるぞ~!)]''' || ||
<|2> 출시 일자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23년 5월 10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4년 8월 28일 {{{-2 {{{#f00 (예상)}}}}}} || ||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width=20&align=left]]{{{-2 스피드}}} ||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width=20&align=left]]{{{-2 스태미나}}} ||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width=20&align=left]]{{{-2 파워}}} ||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width=20&align=left]]{{{-2 근성}}} ||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width=20&align=left]]{{{-2 지능}}} ||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90,,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95,,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92,,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87,,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86,,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7%)]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8%)]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7%)]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8%)]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0%)] || ||<-5><^|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10,,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16,,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13,,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07,,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04,, ||}}}}}}}}} || ||
경기장 적성 ||[include(틀:잔디 A)] [include(틀:더트 G)] || || 거리 적성 ||[include(틀:단거리 G)] [include(틀:마일 G)] [include(틀:중거리 A)] [include(틀:장거리 A)] || || 각질 적성 ||[include(틀:도주 G)] [include(틀:선행 C)] [include(틀:선입 A)] [include(틀:추입 B)] || ||
✦ 고유 스킬 || ||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Bang☆기적 같은 결과!)] || ||✦ 초기 스킬 || ||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복병○)]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짧은 휴식)]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한 걸음부터)] || ||✦ 각성 스킬 || || * 각성 Lv.2에 해방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교토 경기장○)] * 각성 Lv.3에 해방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릴랙스)] * 각성 Lv.4에 해방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선입 직선○)] * 각성 Lv.5에 해방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천릿길)] || ||✦ 진화 스킬 || || * '릴랙스' 스킬 (각성 Lv.3) 진화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초조해하지 말고 기죽지 말고)] * '천릿길' 스킬 (각성 Lv.5) 진화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좀 좋은 것 모아서)] || 태생 3성의 '''중장거리 선입마.''' 적성을 보완하면 선행 및 추입 각질로도 뛸 수 있긴 하지만, 소지 스킬과 고유 스킬이 극단적으로 선입 각질에 맞춰져있어서 굳이 그렇게까지 할 이유는 없다. 고유 스킬은 '''최종 코너의 후반부에서 중단(상위 40~70% 이내)에 있으면 발동'''하는 스킬로, 발동 구간 및 순위 조건만 만족하면 되는 스킬이라 발동률 자체는 괜찮은 편이다. 그리고 다른 고유 스킬들에 비해 속도 상승량이 한 단계 낮은 대신 기본 지속시간이 긴 것이 특징. 여기에 '''장거리 레이스고 인기 순위가 낮은 경우(4위~최하)엔 속도 상승량이 증가하는 추가 효과'''도 있는데, 지속시간이 긴 상태 그대로 속도 상승량이 '많이(すごく)' 수준으로 높아지니 막판 스퍼트에 많은 도움이 된다. [[히시 미라클|원본마]]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다가 G1 레이스에서 깜짝 우승을 하는 기적을 보여준 것으로 굉장히 유명한데, 이런 커리어는 육성 우마무스메 구성에도 그대로 반영돼있다. 주요한 것들을 살펴보자면 아래와 같다. * 원본마는 클래식 시즌까지 계속 신마전과 미승리전을 전전했고, 10번째 레이스에서 첫 승을 따내면서 겨우 미승리전 신세를 탈출할 수 있었다. 그래서 클래식급 5월 후반이란 비교적 늦은 시기까지 팬 수만 모으면 되도록 육성 목표가 설정돼있다. * 출전했던 10번의 신마전 및 미승리전 중 8번이 모두 단거리(1200m) 또는 마일(1800m) 레이스였는데, 여기서 모두 우승하지 못했던 것을 반영해 단거리 및 마일 적성이 최하 랭크인 G로 매겨져있다. 그리고 이렇게 적성이 매겨진 탓에 히시 미라클의 인게임 데뷔전은 실제(1200m)와는 달리 중거리(2000m) 코스에서 치러진다. ~~하지만 경기장은 고증대로 코쿠라~~ * 고베 신문배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중상 레이스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인기 순위는 대부분 낮은 편이었는데,[* 출전했던 13번의 중상 레이스 중에서 2번 인기와 3번 인기를 받은 적이 한 번씩은 있었으나, 나머진 모두 4번 인기 미만이었다.] 그 와중에도 G1 3승이란 기적 같은 커리어를 남겼다. 이를 반영해 4번 인기 이하면 발동하는 '복병◯' 스킬을 소지하고 있고, 상술한 고유 스킬에서도 4번 인기 이하인 경우에 추가 효과가 발동한다. * G1 3승을 제외하면 특별히 눈에 띄는 커리어가 없었던 점을 반영했는지, 우마무스메 히시 미라클은 자신을 지극히 평범한 우마무스메라고 여기는 캐릭터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런 모습은 지능을 제외한 4개 능력치에 성장률이 골고루 배치돼있는 구성으로 인게임에도 반영되었다.[* 히시 미라클 이전에 이렇게 4개 능력치에 성장률이 배치된 사례는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아그네스 디지털]] 뿐이었다.] * 깜짝 우승을 했던 3회의 G1 레이스 중 둘이 모두 3000m 이상의 초장거리 레이스(국화상, 텐노상(봄))였던 것을 반영해, 상술한 고유 스킬의 추가 효과는 장거리 레이스에서만 발동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소지 회복 스킬이 '짧은 휴식/릴랙스' 뿐이란 점, 성장률이 고르게 배치된 탓에 스태미나가 중요한 장거리에선 메리트가 떨어진다는 점 등, 전체적으로 장거리 레이스에 유리한 구성이라고 보기엔 아쉬운 점이 있다. * 타카라즈카 기념(목표6) 이후의 목표들(텐노상(가을), 재팬컵, 아리마 기념)은 5세(2004년) 때 출전했던 레이스들을 가져온 것으로, 그 해는 [[젠노 롭 로이]]가 가을 3관을 따며 활약했던 때이기도 하다. ~~고증대로 전개하면 히시 미라클은 시니어 하반기 내내 백댄서를 맡는다.~~ 여담으로 히시 미라클의 육성 우마무스메 출시는 많은 유저들을 깜짝 놀라게 한 의외의 픽업이었는데, 이는 사흘 전에 종영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ROAD TO THE TOP|애니메이션]] 때문이었다. 사람들은 당연히 주인공이었던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나리타 탑 로드]]가 육성 우마무스메로 출시될 것으로 생각했지만 이를 뒤엎고 히시 미라클이 출시되었던 것.[* 직전의 신규 육성 우마무스메였던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s-2.1|네오 유니버스]]가 실제 사츠키상 시즌에 맞춰 출시되었던 것처럼, 텐노상(봄) 시즌에 갱신되는 픽업이니 히시 미라클이 출시될 것이라는 예측도 있긴 했었다. 하지만 그런 예측을 한 사람들조차도 탑 로드가 출시되겠거니 하며 반신반의하던 것이 당시 분위기였다.] 사람들이 전혀 예상치 못했던 곳에서 깜짝 우승을 했던 원본마처럼, 우마무스메 히시 미라클도 유저들이 전혀 예상치 못했던 타이밍에 깜짝 등장을 했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분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등장인물/인게임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