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분류:히어로(유희왕)]]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엘리멘틀 히어로)]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HeroBarrier-DP03-KR-C-UE.jpg]] || 한글판 명칭 ||<-4>'''히어로 베리어'''|| || 일어판 명칭 ||<-4>'''ヒーローバリア'''|| || 영어판 명칭 ||<-4>'''Hero Barrier'''|| ||<-2> 일반 함정 || || OCG/TCG ||자신 필드 위에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1번만 무효로 한다.[* 유희왕 공식 DB 한국어판과 마스터 듀얼에서는 '''1장만 무효로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사이버 트윈 드래곤의 2번째 공격을 막을 수 없는 걸 생각하면 표기 오류.]|| || 듀얼링크스 ||이 턴에, 자신 필드 위에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1번만 무효로 한다.|| [[엘리멘틀 히어로]]가 존재할 경우 그 턴 동안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1번만 무효로 해주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공격 무력화]]나 [[화목의 사자]], [[위협하는 포효]] 등 몬스터와 플레이어를 모두 공격에서 보호해주는 카드는 널려있다. 1장 지키는 경우로 한정해도 추가 효과가 있는 [[매직 실린더]]나 [[드레인 실드]], 그리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고철의 허수아비]] 등 역시 상위호환은 많다. 이 모양 이 꼴이니 [[엘리멘틀 히어로]] 덱에서조차 채용될 일은 없을 듯. 발동 타이밍에 제한이 없어 데미지 스텝만 아니면 언제든 사용이 가능하며, 공격을 무효화하는 시기에는 체인 블록을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틀 페이즈 돌입 전에 파괴되어도 체인 발동해서 효과를 적용할 수 있으며, [[앤틱 기어]] 등 공격시 상대 카드 효과를 봉쇄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의 공격까지 막아낸다. 이 효과는 발동 턴에만 유효하며, 적용 후 상대가 공격 선언 없이 턴을 종료하면 효과는 그대로 끝난다. 공격 선언시 발동했을 경우에는 [[엘리멘틀 히어로]]가 존재만 해준다면 그 공격을 무효로 할 수는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작중에서는 [[미궁형제]]와의 태그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공격 무력화]]와 더불어 공격 방어용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그러나 [[크리보를 부르는 피리]], [[네크로 가드너]] 등이 주요 방어 수단이 되면서 사용 빈도가 급락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아유카와 에미]]와의 듀얼 중 사용했지만, 후속의 공격은 막지 못해 공격 무력화가 우월하다는 꼴밖에 못 보여줬다. 다크니스 디스트로이어를 상대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다만 [[블랙 매지션 걸]] 전에서는 한번의 상쇄가 오히려 도움이 되었다. [[유희왕 GX(코믹스)|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는 쥬다이 본인과 [[히비키 코요]]가 사용.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는 마찬가지로 [[유우키 쥬다이]]가 [[패러독스(유희왕)|패러독스]]와의 3vs1 듀얼 중 사용. [[Sin 패러독스 드래곤]]의 공격을 막아냈다. 여담이지만 이 때 깨알같이 듀얼 디스크의 함정 발동 버튼을 누르는 묘사가 나온다. 이후 [[유희왕 ZEXAL]]에서 직접 사용된 건 아니지만, 13화 차회예고 미니 퀴즈에 잠시 모습을 보인 바가 있다. 프리 체인인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판과는 달리 작중에서는 늘 공격 선언시에만 발동했다. 이는 위기 상황을 아슬아슬하게 빠져나가는 연출을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엘리멘틀 히어로, version=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