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주전신관학원 시리즈/등장인물)] [include(틀:전진관 세력)] ||[[파일:attachment/bg_chara_01.png|width=100%]]||[[파일:attachment/bg_chara_o_01.png|width=100%]]|| || 천신관 || 전진관 || ||<-2>
{{{#000000,#dddddd '''{{{+1 히이라기 요시야}}}'''[br]柊四四八}}}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_히이라기 요시야.png|width=80%]]}}} || || '''{{{#000000,#dddddd 이름}}}''' ||히이라기 요시야 || || '''{{{#000000,#dddddd 성별}}}''' ||남성 || || '''{{{#000000,#dddddd 신장}}}''' ||178cm || || '''{{{#000000,#dddddd 체중}}}''' ||68kg || || '''{{{#000000,#dddddd 직업}}}''' ||학생 || || '''{{{#000000,#dddddd 소속}}}''' ||전진관 || || '''{{{#000000,#dddddd 세계관}}}''' ||[[상주전신관학원 시리즈]] || || '''{{{#000000,#dddddd 등장 작품}}}''' ||《[[상주전신관학원 팔명진]]》[br]《[[상주전신관학원 만선진]]》 || || '''{{{#000000,#dddddd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사토 타쿠야|도몬 아츠시]](PC판)[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사토 타쿠야]] (PS Vita판)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르는 건 어쩔 수 없어. 하지만 모르기 때문에 단념하는 태만이 마음에 들지 않아."''' >- 공식 프로필 첨부 대사 《[[상주전신관학원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인 《[[상주전신관학원 팔명진]]》의 주인공. 만선진에서도 주인공으로 등장하지만 이쪽은 이름만 같은 후손. == 특징 == 도리에 어긋나거나 비합리적인 일, 태만을 싫어해서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엄하지만 그런 신랄한 언동은 냉담함의 표현이 아니라 곤란한 사람을 놔둘 수 없는, 남을 잘 보살피는 성격의 이면에 가깝다. 이런 성실하고 딱딱한 모습에서 그가 좋은 집안의 자식이라고 생각되기 십상이지만, 실제로는 결코 유복하다고 말할 수 없는 모자가정에서 성장하였다. 여자 홀몸으로 길러준 모친을 경애하며,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출세해서 어머니를 편하게 하려고 생각하고 있다. 문무 양면에 뛰어나며, 성적은 항상 전교 1등을 하는 듯. 사용하는 무기는 [[톤파]] [include(틀:스포일러)] == 작중 행적 == === 팔명진 === === 만선진 === == 대인관계 == == 능력 == 전방위 만능. 모든 응용이 가능해 어떤 상황에서도 대응이 가능하나[* 예로 창법으로 톤파를 만들거나, 창법과 주법을 조합하여 아군들에게 무기 전달, 극법의 강과 해법의 붕을 조합하여 카루마의 창법을 부수는 등등], 본인은 이를 개성이 모자라다고 여겼다. [[세라 미즈키]]를 제외하면 다른 동료들보다 [[몽계]] 제2층에서 활동한 경력이 길어서 꿈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는 나름 일가견이 있고, 때문에 전진관 멤버들의 리더로 더할나위 없는 적성을 가졌다. [[노생]]의 자격을 가져 몽계로 진입할 수 있지만, 딱딱한 사고와 고정관념을 가진 군도생 요시야는 [[단 카루마]]의 세공과 [[세라 미즈키]]의 급단 덕분에, 매회차 루프때 마다 기억을 잃으며, 다양한 삶과 사상을 체험하면서, 보통 한사람 앞에 하나에서 두개정도 습득이 가능한 파단을, 요시야는 3가지나 얻을 수 있었다. [[노생]]의 속성은 "[[영웅]]"으로[* 그러면서도, 자신의 지침으로 인의팔행을 내세우며, 자신의 삶을 후대의 인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미래]]를 조금씩 더 나은 것으로 바꾸어가는 계승 자체를 이상으로 삼는다고 한다.], 이 때문에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는 영웅들의 소환을 특기이자 장점으로 삼는다. 게다가, 영웅들이 지닌 능력들은 다양한 상황에 대응이 가능할 정도로 그 폭과 다양성이 넓은 편이다. 다만, 소환된 [[영웅]]들은 분명 강력한 편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인간이라는 틀에 묶여있어서 종단을 통해 소환된 신격에 비하면 기본적인 스펙이 크게 떨어진다라는 약점이 존재한다.[* 실제로, 아마카스가 소환한 [[인도 신화]]의 3주신 중 한명이자 [[파괴신]] [[시바]]의 가혹한하고 잔인한 면모를 드러내는 아바타인 바이바바의 공격에 소환한 팔견사 절반이 무너졌다.] 한단법에 대해서는 스펙올 7의 상궤를 벗어난 밸런스형이나, 파단의 능력에 따라 수치를 자유로이 할당하거나 동료의 힘을 빌리는 것이 가능한 만능형에 해당된다. 요시야를 포함한 전진관 멤버들의 파단 이상의 기술들은 모두 '''사토미 팔견전'''에 등장하는 팔견사의 이름과 상징을 모티브로 따왔다. === 파단 === ==== 이누타코분고 야스요리 ==== ||信濃なる、戸隠山に在す神も、豈まさらめや、神ならぬ神 (しなのなる、とがくしやまにますかみも、あにまさらめや、かみならぬかみ) 시나노가 되어, 도가쿠시 산에 있는 신(神)도, 어찌 당신보다 우수할 수 있는가, 신이 아닌 신 破段顕象―― 파단현상―― 犬田小文吾――悌順ッ! (いぬたこぶんご――やすより) 이누타코분고――야스요리!|| 아유미루트 후반부에서 사용한 파단. 효과는 동료들 사이에서 성립하는 의식의 동조. 미츠키 루트에서 밝혀진 그 진정한 힘은 동료들의 꿈의 공유이며, 자신의 동료인 아키라의 꿈을 요시야가 사용할 수 있게 되거나, 창법에 재능이 없는 아츠시가 꿈의 공유로 린코의 창법의 형의 자질을 빌려와 사용할 수 있다. ==== 이누야마도세츠 타다토모 ==== ||それ三界は火宅かたくなり。穢土にいて穢土を知らず、嗜欲ぎよくに耽りて嗜欲を思わず。愛惜あいじゃくによりて輪廻あり、好悪によりて煩悩多かり。四大原しだいげんこれ何処いずこより来きたる[* 린코 루트에선 이 축사를 부분을 아마카스가 부르며, 미즈키 루트 + 그랜드 루트에선 요시야가 부른다.] 그것은 삼계의 화택[* 火宅 : 번뇌와 고통에 찬 세상]을 굳힌다. 이승에 있어 이승을 모르고, 기욕[* 嗜欲 : 향락적 욕구]에 곧잘 빠져 기욕을 생각한다. 애석(애착)에 따라서 윤회가, 호오[* 好悪 : 좋아함과 싫어함]에 따라 번뇌가 많다. 사대[* 四大 : 만물의 근본이 되는 地,水,火,風]기원에 따라서 이것은 어느 곳보다 다가온다. 破段、顕象―― 파단, 현상―― 犬山道節いぬやまどうせつ――忠与ただともッ! (いぬやまどうせつ――ただとも) 이누야마도세츠――타다토모!|| 린코 루트에서 [[나키리 쿠보]]와 싸울때 처음으로 사용한 파단. 효과는 신(神)에 대한 충(忠)의 마음이 구현화한 꿈. 영락해 버린 신을 정화하는 힘을 가졌기에 [[나키리 쿠보]] 한정으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이누즈카시노 모리타카 ==== ||抜けば玉散る氷の刃 (ぬけばたまちるこおりのやいば) 뽑아 들면 번쩍이는 서슬 퍼런 칼날 破段、顕象―― 파단, 현상―― 犬塚信乃――戌孝! (いぬづかしの――もりたか) 이누즈카시노――모리타카!|| 미즈키 루트 + 그랜드 루트에서 [[노생]]이 겪어야할 아뢰야식의 시련으로 [[히이라기 세이주로]]를 용서한다는 시련을 극복할 때 사용한 파단. 효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버리는 효의 꿈. 이 파단의 진정한 의의는 빠지면 벗어나기 어려운, 급단의 협력강제 조건 조차 지우거나 약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덕분에 세이주로의 급단을 통한 악순환[* 세이주로를 행위를 알면 부정적인 감정을 가진다->세이주로가 부러워하는 것과 세이주로의 병마와 강제로 교환된다->더욱더 세이주로를 미워한다->이하반복.]을 끊어버린다. 후속작 [[상주전신관학원 만선진]]에서 [[이시가미 시즈노]]가 효의 견사가 되면서 이 파단을 사용한다. === 급단 === ||急段、顕象―― 급단, 현상―― 犬江親兵衛仁 (いぬえしんべえまさし) 이누에신베에마사시!|| 아마카스와 최종결전에서 사용한 급단. 효과는 요시야의 사상에 찬동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요시야를 강화하는 능력. 협력강제조건은 마왕과 싸우는 요시야를 보고 '용사에 대한 동경을 품고 자신도 용기를 낸다'이다. [[아마카스 마사히코(상주전신관학원 시리즈)|아마카스]]의 급단이 나타내는 사상이, '인간은 시련이 없으면 용기를 낼 수 없다.'였다면, 요시야의 급단은 '누구나 스스로 용기를 내어 일어설 수 있다.'는 사상으로, 인류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는 꿈이다. === 종단 === ==== 인의예지충신효제 ==== ||終段、顕象―― 종단, 현상―― 仁義礼智忠信孝悌 (じんぎれいちちゅうしんこうてい) 인의예지충신효제|| 아마카스와의 최종 결전에서 [[한단의 꿈#s-2.7|오상・현상]]의 종단으로 소환한, 무의식의 집합이 그린 영웅, '''사토미 팔견전'''의 [[팔견사]]를 소환한다. 소환된 팔견사 멤버들은 원전대로의 능력을 가졌으며, 각각 괴력 무쌍을 자랑하고 강함, 화둔술, 전황을 내다보는 전략안, 마성에 대한 특공 등을 가지고 있다. 아마카스가 소환한 사룡, 크로우 크루아흐와 상성차이로 격파했으며, 파괴신, 바이라바에 의해 절반가량이 무너졌고, 라그나로크 땐, 모두 전멸했다. 작중 언급된 견사들의 이름과 각능력 목록. * 이누타 코분고[* 전진관 멤버 중 이를 상징하는 멤버는 [[나루타키 아츠시]].] : 괴력무쌍으로 주먹을 적에게 때려박아 공격한다. * 이누야마 도세츠[* 전진관 멤버 중 이를 상징하는 멤버는 [[오스기 하루미츠]].] : 화둔의 달인으로 지옥에 업화에 지지않는 불꽃을 일으킨다. * 이누무라 다이카쿠[* 전진관 멤버 중 이를 상징하는 멤버는 [[가도 린코]].] : 요괴퇴치 같은 마성에 특화된 성능을 지니고 있다. * 이누사카 케노[* 전진관 멤버 중 이를 상징하는 멤버는 [[타츠노베 아유미]].] : 팔견사 최고의 지능으로 눈앞의 전황을 파악하고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 * 이누카이 켄파치[* 전진관 멤버 중 이를 상징하는 멤버는 [[세라 미즈키]].] : 작중 보조 역할이라고만 나와있다. * 이누즈카 시노[* 전진관 멤버 중 이를 상징하는 멤버는 히이라기 요시야.] : 악의 연쇄를 끊는 파마의 검, [[무라사메]]의 검을 휘두른다. * 이누에 신베에[* 전진관 멤버 중 이를 상징하는 멤버는 히이라기 요시야.] : 모든 분야의 올라운더로 사자소생이 가능한 신의 영약을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이 영약의 힘으로 다른 팔견사 멤버들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그리고 이누카와 소스케[* 전진관 멤버 중 이를 상징하는 멤버는 [[마나세 아키라]]]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아마 '의(義)'의 견사답게 힐러쪽이지 않을까 추측된다. ==== 영호동자 ==== ||民の怨みと鬼神の怒り、虎と成りて悪を討て―― (たみのうらみときじんのいかり、とらとなりてあくをうて――) 백성의 원망과 귀신의 분노, 호랑이가 되어 악을 토벌한다―― 終段、顕象―― 종단, 현상―― 霊虎童子! (れいこどぉぉじッッ!) 영호동자!|| 아마카스와의 최종 결전에서 [[한단의 꿈#s-2.7|오상・현상]]의 종단으로 소환한, '''사토미 팔견전'''의 이누에 신베에의 분신이라고 볼 수 있는 영호의 화신을 소환한다. 효과는 신약과 같이, 악당을 불허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어, 동료인 팔견사들에게 치유 및 능력 상승효과는 물론이고, 악신의 종류는 철저하게 배척하는 힘을 가졌다. 작중 이 종단의 힘으로 효의 견사, 이누즈카 시노의 [[무라사메]]의 검의 파마의 힘을 증폭시켜, 아마카스의 급단인 악의 순환을 파괴하는데 사용됐다. == 기타 == * 시력은 0.6 정도. 몽계에서는 시력을 강화 할 수 있어서 안경이 필요 없지만 습관적으로 쓰고 있다. * 이름의 유래는 '여호수아'이며 [[히이라기 세이주로|세이주로]]가 지었다. * 주인공 페이지인데 악역들보다 늦게 채워진다. ~~악역이 주인공보다 매력적이니...~~ * 요시야 담당 성우를 뽑는 오디션을 할 때 45명이나 몰렸다고 한다. [[분류:상주전신관학원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