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08년]][[분류:VOCALOID 전설입성]][[분류:VOCALOID 환상광기곡]][[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분류:TikTok/밈]][[분류:유튜브/밈]][[분류:인터넷 밈/음악/대한민국]] |||||| {{{#ffffff {{{+2 '''人柱アリス'''}}}[br](히토바시라 앨리스)}}} || || '''가수''' |||| [[MEIKO]], [[KAITO]],[br][[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렌]] || || '''작곡가''' ||||<|2> [[유가미P]] || || '''작사가''' |||| || '''페이지''' |||| [[https://www.nicovideo.jp/watch/sm314371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 2008년 4월 30일 ||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br][[VOCALOID 전설입성]] || ||<|2>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금영]] || 43217 || || [[TJ미디어|TJ]] || 28416 || [목차] [clearfix] == 개요 == > 첫 투고 KAITO, MEIKO, 미쿠, 린렌 전원이 불러주었습니다. 고마워 너희들. 반성은 하고 있어. 후회도 하고 있어. 그러나 자중은 안했다... 뭔가 죄송합니다. >해석 힌트: 보컬로이드들의 경위 그것만으론 나아갈 수 없습니다. '히토바시라 앨리스(人柱アリス)'는 [[유가미P]]가 2008년 4월 30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MEIKO]], [[KAITO]],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렌]]의 [[VOCALOID 오리지널 곡|VOCALOID 합창 곡]]이다. 사람들에게 잊혀지고 싶지 않았던 작은 꿈이 5명의 VOCALOID(보컬로이드)들을 차례로 자신의 세계에 초청해 그 세계를 열심히 이어가고 꾸미기 위해 그들을 제물로 삼는다는 내용. 'EXIT TUNES PRESENTS Vocaloanthems feat. 하츠네 미쿠'에 수록되었다. 이 곡의 한국어로 조교된 버전도 있다. 그것도 원곡의 보컬로이드로 조교되었다. 조교는 대체적으로 잘된 편. == 상세 == 전체적으로 동화의 분위기를 내며 공포스러운 가사가 인상적이다. 이러한 성격을 띠는 곡을 각각 VOCALOID 공상 동화곡, [[VOCALOID 환상광기곡]]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이 곡의 이름이 '[[인주 앨리스]]'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한자 人柱를 그대로 한국어 독음으로 읽은 것. 원래는 '[[히토바시라]]'라고 읽으며 이 단어는 [[인신공양]], 혹은 그 대상이 되는 사람을 뜻하지만 어떤 목적을 위해 희생된 사람을 뜻하는 말이기도 한다. 즉, 원래의미까지 살려서 제목을 번역하면 '인신공양 앨리스'. 2011년 4월 30일에 [[VOCALOID 전설입성]]을 달성하였다.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 [nicovideo(sm3143714)] == 가사 == || '''MEIKO''' || '''KAITO''' || '''하츠네 미쿠''' || '''카가미네 린''' || '''카가미네 렌''' || '''카가미네 린·렌''' || '''자막''' || ||<-2>
''『あるところに、小さな夢がありました。'' || ||<-2> ''『어느 곳에, 작은 꿈이 있었습니다.'' || ||<-2> ''だれが見たのかわからない、'' || ||<-2> ''누가 꾼 것인지 알 수 없는,'' || ||<-2> ''それは小さな夢でした。'' || ||<-2> ''그것은 작은 꿈이었습니다.'' || ||<-2> || ||<-2> ''小さな夢は思いました。'' || ||<-2> ''작은 꿈은 생각했습니다.'' || ||<-2> ''このまま消えていくのはいやだ。'' || ||<-2> ''이대로 사라지는 건 싫어.'' || ||<-2> ''どうすれば、人々が僕を見てもらえるだろう。'' || ||<-2> ''어떡하면, 사람들이 날 보게 할 수 있을까?'' || ||<-2> || ||<-2> ''小さな夢は考えて考えて、'' || ||<-2> ''작은 꿈은 생각에 생각을 거듭해,'' || ||<-2> ''そしてついに思いつきました。'' || ||<-2> ''마침내 깨달았습니다.'' || ||<-2> ''人間を自分の中に迷い込ませて、'' || ||<-2> ''인간을 자신의 속에 끌어들여,'' || ||<-2> ''世界を作らせればいいと。』'' || ||<-2> ''세상을 만들게 하면 된다는 것을.』'' || ||<-2> ''絵本『人柱アリス』'' || ||<-2> ''그림책 『히토바시라 앨리스』'' || ||<-2> || ||<-2> 一番目アリスは勇ましく || ||<-2> 이치방메 아리스와 이사마시쿠 || ||<-2> [[MEIKO|첫 번째 앨리스]]는 용감하게 || ||<-2> 剣を片手に、不思議の国。 || ||<-2> 켄오 카타테니, 후시기노 쿠니. || ||<-2> 검을 한 손에 쥐고서, 이상한 나라로. || ||<-2> いろんなものを斬り捨てて、 || ||<-2> 이론나 모노오 키리스테테, || ||<-2> 여러 가지 것들을 베어나가며, || ||<-2> 真っ赤な道を敷いていった。 || ||<-2> 맛카나 미치오 시이테잇타. || ||<-2> 새빨간 길을 만들어 갔다. || ||<-2> そんなアリスは、森の奥。 || ||<-2> 손나 아리스와 모리노 오쿠 || ||<-2> 그런 앨리스는 숲속에 || ||<-2> 罪人の様に閉じ込められて。 || ||<-2> 츠미비토노요-니 토지코메라레테. || ||<-2> 마치 죄인처럼 갇혀버려서. || ||<-2> 森に出来た道以外に、 || ||<-2> 모리니 데키타 미치 이가이니, || ||<-2> 숲에 난 길 이외에는, || ||<-2> 彼女の生を知る術はなし。 || ||<-2> 카노죠노 세이오 시루스베와 나시. || ||<-2> 그녀의 생존을 알 방법이 없네. || ||<-2> || ||<-2> 二番目アリスはおとなしく || ||<-2> 니방메 아리스와 오토나시쿠 || ||<-2> [[KAITO|두 번째 앨리스]]는 얌전히 || ||<-2> 歌を歌って、不思議の国。 || ||<-2> 우타오 우탓테, 후시기노 쿠니. || ||<-2> 노래를 부르면서, 이상한 나라로. || ||<-2> いろんな音を溢れさせて、 || ||<-2> 이론나 오토오 아후레사세테 || ||<-2> 여러 가지 소리를 흘러넘치게 해서, || ||<-2> 狂った世界を生み出した。 || ||<-2> 쿠룻타 세카이오 우미다시타. || ||<-2> 미쳐버린 세계를 만들어냈다. || ||<-2> そんなアリスは、薔薇の花。 || ||<-2> 손나 아리스와, 바라노 하나. || ||<-2> 그런 앨리스는, 장미꽃. || ||<-2> いかれた男に撃ち殺されて。 || ||<-2> 이카레타 오토코니 우치코로사레테. || ||<-2> 미친 남자에게 총을 맞아 살해당해서. || ||<-2> 真っ赤な花を一輪咲かせ || ||<-2> 막카나 하나오 이치린 사카세 || ||<-2> 새빨간 꽃을 한 송이 피우고는 || ||<-2> 皆に愛でられ枯れてゆく。 || ||<-2> 민나니 메데라레 카레테 유쿠. || ||<-2> 모두에게 귀여움받으며 사라져 가네. || ||<-2> || ||<-2> 三番目アリスは幼い娘。 || ||<-2> 삼방메 아리스와 오사나이 코. || ||<-2> [[하츠네 미쿠|세 번째 앨리스]]는 어린 아가씨. || ||<-2> 綺麗な姿で、不思議の国。 || ||<-2> 키레이나 스가타데, 후시기노 쿠니. || ||<-2>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이상한 나라로. || ||<-2> いろんな人を惑わせて、 || ||<-2> 이론나 히토오 마도와세테, || ||<-2> 여러 사람들을 유혹하여, || ||<-2> おかしな国を造りあげた。 || ||<-2> 오카시나 쿠니오 츠쿠리아게타. || ||<-2> 이상한 나라를 만들어 냈다. || ||<-2> そんなアリスは、国の女王。 || ||<-2> 손나 아리스와, 쿠니노 죠오-. || ||<-2> 그런 앨리스는, 나라의 여왕. || ||<-2> 歪な夢にとり憑かれて。 || ||<-2> 이비츠나 유메니 토리츠카레테. || ||<-2> 비뚤어진 꿈에 사로잡혀서. || ||<-2> 朽ちゆく体に怯えながら、 || ||<-2> 쿠치유쿠 카라다니 오비에나가라, || ||<-2> 썩어가는 몸을 두려워하면서, || ||<-2> 国の頂点に君臨する。 || ||<-2> 쿠니노 쵸-텐니 쿤린스루. || ||<-2> 나라의 정점에 군림한다네. || ||<-2> || ||<-2> 森の小道を辿ったり || ||<-2> 모리노 코미치오 타돗타리 || ||<-2> 숲의 샛길을 걷기도 하고 || ||<-2> 薔薇の木の下でお茶会 || ||<-2> 바라노 키노시타데 오챠카이 || ||<-2> 장미나무 아래에서 다과회 || ||<-2> お城からの招待状は || ||<-2> 오시로카라노 쇼-타이죠-와 || ||<-2> 성으로부터 온 초대장은 || || ハートの || トランプ || || 하-토노 || 토람프 || || 하트의 || 트럼프 || ||<-2> || ||<-2> 四番目アリスは双子の子。 || ||<-2> 욘방메 아리스와 후타고노코. || ||<-2> [[카가미네 린·렌|네 번째 앨리스]]는 쌍둥이. || ||<-2> 好奇心から不思議の国。 || ||<-2> 코-키신카라 후시기노 쿠니. || ||<-2> 호기심에 의해 이상한 나라로. || ||<-2> いろんな扉を潜り抜けて、 || ||<-2> 이론나 토비라오 쿠구리누케테, || ||<-2> 여러 가지 문을 지나와, || ||<-2> ついさっきやって来たばかり。 || ||<-2> 츠이삿키 얏테 키타 바카리. || ||<-2> 이제 막 도착했을 뿐. || || 気の強い姉と、 || 賢い弟。 || || 키노 츠요이 아네토, || 카시코이 오토-토. || || 기가 센 누나와, || 영리한 남동생. || || 一番アリスに || 近かったけど、 || || 이치반 아리스니 || 치카캇타케도, || || 가장 앨리스에 || 가까웠지만, || ||<-2> 二人の夢は、覚めないまま。 || ||<-2> 후타리노 유메와, 사메나이마마 || ||<-2> 두 사람의 꿈은, 깨어나지 않은 채. || ||<-2> 不思議の国を彷徨った。 || ||<-2> 후시기노 쿠니오 사마욧타. || ||<-2> 이상한 나라를 헤매었다. || == 해석 == 기본적으로 동화임에도 불구하며 가사의 호러함과 많은 인기를 얻고 있어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곡이다. 일반적인 해석은 [[MEIKO|메이코]]가 검으로 모든 것을 베어 갈라 '''길'''을 만들었지만, 더 이상 메이코가 필요 없어진 꿈은 메이코를 숲속에 가둬 버린다[* "숲속에 난 [[피|붉은 색의 길]] 외에는 그 기사의 생사를 알 수 없다."라는 말로 보아 메이코가 죽으면 길, 즉 입구가 사라진다는 해석도 있다.]. [[KAITO|카이토]]는 노래로 여러 가지 음을 흘러넘치게 하여 미쳐버린 '''세계'''를 만들어낸 뒤 [[자살|총에 맞아 죽었으며]], [[하츠네 미쿠]]는 수많은 사람을 유혹[* 여기서 유혹이 [[성관계]]로 해석되기도 한다. 밑의 '썩어가는 몸'이 [[HIV]]로 해석되는 것도 위 해석에서 나온 것.]하여 '''나라'''를 만들었다. 그 후, 그 나라의 여왕이 되지만 자신의 썩어가는 육체를 두려워하며 살게 된다. 한편, 마지막 앨리스인 [[카가미네 린|린]]과 [[카가미네 렌|렌]]은 그 세계를 방문한 인물들 중 '[[앨리스]]'에 가장 가까운 인물이었으나 둘은 꿈에서 나오지 못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는 것. 또는 렌이 모두를 죽이고 동화의 구성이 된 '''길, 세계, 나라'''가 사라져 나갈 수 없다는 것. 다만 이쪽은 국내에서 널리 알려진 해석으로, 영어권에서는 동인 PV에 근원을 두어, 린과 렌이 갇혀 있던 메이코를 풀어주는 바람에 [[끔살]]당해 나가지 못했다는 해석이 유명하다. 또 다른 해석으로, 당시의 [[VOCALOID]] 사회를 풍자했다는 해석이 있다. '''꿈''' = [[크립톤 퓨처 미디어]]이고, [[MEIKO]]가 보컬로이드 시장의 길을 닦지만 결국 후대에는 알려지지 못하고,[* 감옥에 갇혔다는 것은 상당한 양의 재고가 창고에 남아있다는 것. 다만 메이코가 카이토의 판매량에 6배 차였다는 것을 보면 사람들에게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못한 것일 뿐으로 볼 수도 있다. MEIKO 항목에서도 나오지만 보컬로이드는 대략 1000장 이상 팔리면 성공이고, 메이코는 미쿠가 나오기 이전에도 3000장 팔렸으니 흑자면 흑자이지 적자는 아니다.] [[KAITO]]는 사장에게 실패작(...)[* 카이토를 살해한 남자는 크립톤 사장.]이라는 등 초반에는 푸대접을 받지만 [[하츠네 미쿠]] 발매 이후 다시 재조명된 점,[* 모두에게 칭찬받는다는 것은 전성기를 묘사. ~~문제는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가 미쿠의 성공 이후 재조명되며 생긴 전성기란 점~~] [[하츠네 미쿠]]는 [[니코니코 동화]]의 여왕이 되지만 언젠가는 그 인기가 끝날 거라는 암시, [[카가미네 린·렌]]은 두 사람이라는 실험적이면서도 훌륭한 시도를 했지만, 결국은 하츠네 미쿠의 인기를 뛰어넘지도 못하고 (act2가 나오기 전까지) 판매량도 저조했던 것을 풍자한 것이라는 해석. 이외의 해석에는 트럼프 카드를 만지면 이상한 나라로 가는 것인데, 린과 렌 중 린이 하트를 만져 결국 하트는 린이 다 가지게 된 거고 렌은 린을 제외한 앨리스들을 죽이고 그들의 피로 자신의 손에 하트를 새긴 것이고, 더는 자신들을 죽일 사람이 없으니 꿈에서 깨어나지 않는다는 해석. 이것은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해석'''일 뿐이니 참고만 하자. == 2차 창작 == === 커버 === * [[꽃핀]] [[https://youtu.be/ul_Fhw409vA|#]] * [[설레임 에디션 ♬]] [[https://youtu.be/qfyX_FKSlac|#]][* 주로 밈에 쓰이는 음원. 자세한 것은 하단을 참고.] * [[차커 Chaco]] [[https://youtu.be/8BJ-Xjm-EYU|#]] * [[Raon]] [[https://youtu.be/phJQdljA39Y|#]] === 밈화 === [youtube(qfyX_FKSlac)] 해당 밈의 음원으로 주로 쓰이는 [[설레임 에디션 ♬]]의 커버 영상. 흔히 '''두번째 앨리스 뭐하노'''로 불린다. 가사에 맞춰 컨셉이 변하는 게 특징. 곡 자체가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초기 보컬로이드 호러곡 중 하나로써 인기 있었지만 어쨌건 알 사람만 아는 곡이기도 했고 원곡 자체는 2008년에 나왔으며, 커버 영상도 [[2017년]]에 나왔다.] [[보컬로이드]] 곡에 공포스러운 분위기와 심오한 해석으로 [[오타쿠|아는 사람]]만 안다는 곡이였지만, [[2022년]] 8월 쯤을 기점으로 [[틱톡]]에서 [[실패작 소녀]]와 함께 폭발적으로 인지도가 높아졌다. [[https://www.tiktok.com/@0201_yr/video/7092650433797213442?is_from_webapp=1&sender_device=pc&web_id=7150107300294903298|원본]]은 유명 틱톡커 4명을 [[짜깁기]]하여 노래에 맞춰 영상을 제작했는데, [[KAITO|두 번째 앨리스]] 부분에서 뜬금없이 가슴을 끌어올리고 [[제로투 댄스]]를 추는 장면이 나온다. 이러한 황당한 전개와 어느 [[트위터]] 유저가 해당 틱톡 영상을 올리며 쓴 '''"두번째 앨리스 뭐하노"'''라는 내용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밈이 되었다. 원본에는 [[하츠네 미쿠|세 번째]]와 [[카가미네 린·렌|네 번째]]까지 있으나 보통 두 번째 앨리스까지만 하는 경우가 많다. 한 트위터 유저가 이 밈에 편승하여 [[침착맨]]으로 패러디 영상을 제작하였는데, 이에 위의 커버 영상에서 [[KAITO]] 파트에 게스트로 참여한 [[https://twitter.com/Chang0_0?t=Bou77D8gTPHBj7hLrdWG-w&s=09|창영]]이 보인 반응으로 보아 틱톡 밈들이 그러하듯 [[불펌]]으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https://twitter.com/Chang0_0/status/1560574165736112134?t=rqoIWFSRuChxl146T3EIvw&s=19|#]] [[선바]]가 자신으로 패러디한 [[틱톡]] 영상을 보고 방송에서 이 밈에 대해 다루었다.[[https://youtu.be/VH7k-jzSr2U|#]] ==== 챌린지/패러디 ==== * [[구기동(인터넷 방송인)|구기동]] [[https://youtube.com/shorts/6wODMOvxt3k?feature=share|#]] * [[근환TV]] [[https://youtube.com/shorts/ty7NRPqxFhY?feature=share|#]] * [[김재원의 즐거운 세상]] [[https://youtube.com/shorts/dZrL7JbJC5M?feature=share|#]] * [[르말린]] [[https://youtube.com/shorts/YkcITyZ3E7M?feature=share|#]] * [[에라이! 얘네 웃겨서 곧 뜨겠네]] [[https://youtube.com/shorts/BvPjD0RgjsM?feature=share|#]] * [[으스스]] [[https://youtube.com/shorts/hpQ3yV7kXbo?feature=share|#]] * [[이승재(유튜버)|이승재]] [[https://youtu.be/4vPnLkKDrEI|#]] * [[수도권 전철 1호선/문제점#s-2|지하철 빌런들]] --[[https://youtube.com/shorts/oshLMNSrQbg?feature=share|#]]-- * [[정치인]] [[https://youtube.com/shorts/IX066xmMtlg?feature=share|#]] * [[팥쥐(유튜버)|팥쥐]] [[https://youtube.com/shorts/AaZt34FCLIw?feature=share|#]] * [[히키킹]] [[https://www.youtube.com/shorts/1Glw4-HKDR8|#]] * [[Wall Su]] [[https://www.youtube.com/shorts/cPyCRpuoF_w?app=desktop|#]][* 첫 번째 앨리스는 M자 집게사장, 두 번째 앨리스는 눈물의 요징, 세 번째 앨리스는 재배맨, 네 번째 앨리스는 기린근육 두마리이다.] * [[퉁퉁구구]] [[https://youtube.com/shorts/0y1ufn4Ac0c?feature=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