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그레이시 가문]][[분류:리우데자네이루 출신 인물]][[분류:1958년 출생]][[분류:1980년 데뷔]][[분류:2000년 은퇴]][[분류:브라질의 주짓수 선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UOVNtl.jpg|width=100%]]}}} || || '''{{{#white 이름}}}''' ||'''힉송 그레이시[br](Rickson Gracie)'''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white 출생지}}}''' ||'''[[리우데자네이루]]''' || || '''{{{#white 생년월일}}}''' ||'''[[1958년]] [[11월 20일]] ([age(1958-11-20)]세)'''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herdog.com/fighter/Rickson-Gracie-292 | 11전 11승]]''' || || '''{{{#white 승}}}''' ||'''2KO''', '''9SUB''' || || '''{{{#white 패}}}''' ||'''없음''' || || '''{{{#white [[그래플링|{{{#white 그래플링}}}]] 전적}}}''' ||'''[[https://en.wikipedia.org/wiki/Rickson_Gracie#Jiu-Jitsu_record| 8전 8승]]''' || || '''{{{#white 체격}}}''' ||'''178cm / 84kg''' || ||<|2> '''{{{#white 주요 타이틀}}}''' ||'''VTJ 1994 무제한급 토너먼트 우승''' || ||'''VTJ 1995 무제한급 토너먼트 우승''' || || '''{{{#white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icksonofficial, 크기=24)] [[https://m.facebook.com/ricksongraciejj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ricksongraciejj?igshid=x1glgj54xnl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개요 == >내 형 힉슨은 나보다 10배는 강하다. >- [[호이스 그레이시]] 브라질의 전 종합격투기 선수, 전 [[삼보]] 국가대표 선수, 주짓수 선수, 영화배우이다. [[브라질리언 주짓수]]의 달인으로 NHB, [[발리 투도]] 시절 그레이시 전설의 한복판에 있던 인물이였다. == 전적 == === 종합격투기 === * 주요 승 : 레이 줄루(2), 버드 스미스, [[야마모토 요시히사(1970)|야마모토 요시히사]] [[나카이 유키]], [[타카다 노부히코]](2), [[후나키 마사카츠]] * 패배 : 없음 === 그래플링 === == 커리어 == 브라질의 각종 대회에서 600전이 넘는 승부를 모두 승리로 이끌었다고 하지만 셔독이나 기타 MMA 커뮤니티에서는 전적에 포함시키지 않고 레이 줄루[* [[줄루징요]]의 [[아버지]]이다. ]와의 2전만을 인정한다. 각각 1980년 4월과 1984년 1월의 기록인데 2차전에는 무려 '''2만명의 관중'''이 모였다고 한다. 1993년 힉슨의 [[동생]]인 [[호이스 그레이시]]가 [[UFC]] 1 토너먼트에서 우승을 거두자, UWF 인터내셔널의 [[안조 요지]]가 [[미국]]에 있는 도장으로 [[도장 깨기]]를 시도하러 오기도 했다. 이 대결은 도장의 문을 잠근채 행해졌는데, 힉슨이 '''차마 눈뜨고 보기 힘들 정도'''로 안조를 두들겨 팼다고 전해진다. 이 사건은 그레이시 일족과 U-계열 [[프로레슬링]] 사이의 갈등의 시발점이 되며, 훗날 [[Pride]] 출범의 계기가 된다. 무패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1993년 미국 삼보 선수권대회에서 론 트립(Ron Tripp)[* 미국 국적의 1994년 세계 삼보 대회 우승자이다.]과의 경기에서 47초 만에 [[허벅다리걸기]]로 패배한 적이 있다. 당시 힉슨은 [[팬아메리칸 게임]] 삼보 종목[* 브라질 국가대표로 힉슨이 참여했었다.]에서 [[자랑|두번 우승했다고 말함에도 불구하고]] 룰을 잘못 이해했다는 이유를 댔다.[* 물론 발리투도나 MMA 경기에서는 무패 기록은 유지된다. 다만 사람들의 환상처럼 절대적인 무적 같은 선수는 아니었다.] 당시 무패로 유명했는데, 전략 실패로 공식적인 패배한 기록이 생겼기에 창피해서 둘러댄 듯 하다. 상식적으로 삼보 국가대표로 금메달까지 딴 사람이 룰을 잘못 이해할리가 없다. 게다가 유도 검은띠 유단자이기도 하다. 전략 실패로 보는게 맞을 것이다. 1994년과 1995년에는 2차례에 걸쳐 [[일본]]에서 열린 발리투도 재팬의 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10월 11일 [[Pride]] 첫번째 흥행인 PRIDE 1에서 UWF 인터내셔널의 수장인 [[타카다 노부히코]]와 자존심을 건 대결을 벌였다. 5만명의 관중들이 운집한 [[도쿄 돔]]에서 힉슨은 경기 시작 4분만에 타카다의 팔을 비틀어 암바를 완성시키며 관광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1년 뒤인 1998년 10월 11일 PRIDE 4에서 벌인 타카다와의 2차전에서도 암바로 승리하여 [[UFC]] 토너먼트 3관왕에 오른 [[호이스 그레이시]]와 함께 '그레이시 주짓수 = 세계 최강'이라는 전설을 써내려갔다. 2000년 5월 24일에는 C2K - Closseum[* 힉슨의 경기를 메인이벤트로 했던 일본의 단발성 MMA 이벤트. 이 경기의 일화로는 당시 주최사였던 Sammy(FEG 전신)가 일회성 이벤트였던 만큼 흥행을 위해 힉슨의 경기 출전을 상대가 정해지지 않은 채 미리 계약지었으며, 도쿄돔으로 장소를 미리 정한 상태였다. 또한 지상파 중계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힉슨의 상대로 스타급 선수가 필요했는데, [[Pride]]에서는 계약 문제와 경쟁사를 의식했기에 선수 출전을 불허한 상태였다. 따라서 판크라스, 슈토, Rings 선수들에게 오퍼를 했고, 그 중 자국 선수이면서 판크라스의 최강자로 인지도가 높았던 후나키가 상대로 가장 적합했다. 다른 선수들은 주최 측의 뻔한 의도 때문에 상당히 좋은 조건(메인이벤터였던 만큼 거액의 대전료)을 제시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거절했으나, 후나키는 이 제안에 기꺼이 응했다. 경기에 응한 이유가 꽤나 간단했는데, 단지 힉슨과 시합이라면 해보고 싶다는 마음으로 임했던 것이라고 한다. 이 대회는 일본 내에서 TV 중계로만 3천만명이 시청할 정도로 대흥행을 이루었다. ][* 힉슨의 경기 섭외를 놓치게 되자 PRIDE 측은 호이스 그레이시를 무차별급 그랑프리 토너먼트 출전을 하도록 움직였다. 일본 격투기 내에 그레이시 가문의 인지도가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이 과정에서 힉슨은 지속적으로 이 점을 이용해 대전료 인상을 계속 요구해왔었다.]에서 Pancrase의 수장격인 [[후나키 마사카츠]][* 후나키는 사실상 경기 전 언급이 없었으나 부상이 누적되어 있어 1년 가까이 경기를 쉬었을 정도로 몸상태가 안 좋아 이른 나이에도 불구하고 은퇴를 고려할 수 있었던 상황이었다. 이는 중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바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단 후 판크라스까지 대략 15년 동안 꾸준히 경기를 뛴 여파가 컸기 때문이다. 은퇴에 대한 복선은 어느 정도 있었던게 경기 입장 당시 사무라이 복장을 입고 등장하여 경기에 임했기 때문이다. 후나키는 힉슨 그레이시한테 안와골절 부상을 만들 정도로 선전했으나 결국 경기는 패하고 말았다. 이 경기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고, 2007년 K-1 Dynamite로 잠시 복귀했다가 다시 은퇴했다.]를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꺾었다.[* 3주전 같은 장소에서 동생 [[호이스 그레이시]]는 [[사쿠라바 카즈시]]한테 패했다. (2000년 5월 1일, 프라이드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0 8강)] 그 이후로는 나이 때문인지 더이상의 경기를 가지지 않았고, [[Pride]] 측에서 [[사쿠라바 카즈시]]와의 경기가 성사 직전까지 갔으나 후술할 이유로 취소됐다. == 파이팅 스타일 == 6세에 주짓수 훈련을 시작했고 15세에 수련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18세에 블랙벨트를 수여받았다. 주짓수 외에도 [[유도]], [[삼보(무술)|삼보]], [[레슬링]] 등 그래플링 전반에 걸쳐 두각을 나타냈으며 대외적인 활동도 활발했다. 브라질의 자유형 레슬링 대회에서 2회에 걸쳐 우승했으며, 삼보 금메달을 획득했고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에서는 거의 20년에 걸쳐 미들-헤비급과 무제한급에서 정상을 지키고 있었다. 물론 NHB에서도 패한 적이 없다고 한다. 하지만 이미 전성기를 지나도 한참 지났고, 그 사이 격투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했으므로 00년대에 들어서도 최강으로 평가받기에는 부족함이 많다. 80~90년대의 발리 투도의 홍보 영상을 보면 의외로 기술적으로는 지금에 비해 투박하고 단순한 점이 많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물론 힉슨도 트레이닝을 계속 했겠지만 현대 MMA에서도 그가 통할지는 미지수. 그래도 [[히카르도 아로나]], [[파울로 필리오]], [[데미안 마이아]]같은 현대의 일류 MMA 주짓떼로, 초 일류 주짓떼로들이 직접 만나서 주짓수로 붙어보고 스스로 자신들이 상대가 안된다고 말하는 걸로 보아 주짓수 테크닉만큼은 현대에도 통할 정도로 발전했고, 상대적으로도 봐도 실력은 여전히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그의 테크닉을 그대로 전수받은 그의 아들, [[크론 그레이시]]가 유명 그래플링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걸로 보아, 일단 그래플링 테크닉은 확실히 지금도 통할 수 있을 정도로 더욱 발전한 듯 하다. 크론 그레이시는 힉슨이 사용하던 클래식한 주짓수를 베이스로, 세부적으로 보다 섬세해진 형태의 주짓수를 사용한다. 주짓수적인 측면을 봤을 때는 무게의 배분을 굉장히 중요시한다. 소위 "인비지블 주짓수"라고 하는데, 보기에 똑같은 자세, 똑같은 기술 같아보여도 사소한 힘의 배분과 무게중심의 차이에 따라서 상대방을 훨씬 더 강하게 압박하거나 자신보다 강한 상대방의 힘에 버틸 수 있음을 강조한다. == 기타 == [[브라질리안 주짓수|BJJ]]의 전설과도 같은 인물. 80 ~ 90년대에는 그야말로 세계 최강이라는 명성에 걸맞는 포스를 보였다. 특히 UFC 1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호이스 그레이시]]가 '''"내 형 힉슨은 나보다 10배는 강하다!"'''라는 코멘트를 날림과 동시에 전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호이스는 북미에서, 힉슨은 일본에서 활약하며 그레이시 일족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하지만 90년대 이후의 떠오르는 강자들과의 대전을 피하려는 듯한 움직임을 보였다. 사실 90년대까지만해도 대부분의 상대는 호이스, 호일러선에서 정리가 가능했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헨조 그레이시|그]][[하이안 그레이시|레이]][[호이스 그레이시|시 헌터]]"''' [[사쿠라바 카즈시]]가 나타난 후로는 그 위치가 꽤나 흔들리게 되었다. 결국 사쿠라바와의 대결을 거절하며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대해서는 설왕설래가 많은데 자기보다 작은 상대와 싸우지 않겠다며 거절했다는 설, 아들의 죽음으로 거절했다는 설 등등이 있다. 사실 58년생으로 이미 90년대 후반에 이미 40대에 접어든, 스포츠계에선 그야말로 '''어르신'''급인 나이 대의 격투가에게 더이상을 바라는 것이 무리인 것도 있다. 40대에 복귀하여 42세에 챔피언 자리를 탈환한 [[조지 포먼]]의 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예외중의 예외라고 할수 있다. [[UFC]] 초대 헤비급 챔피언인 [[마크 콜먼]] 조차도 힉슨보다 '''6살이나 어리다.''' 이후로는 공식 무대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는데, 잊을만 하면 튀어나와 정상급의 MMA 파이터들을 상대로 독설을 날렸다. • [[표도르 예멜리아넨코]] '''"기술적으로는 그저 그런 수준이다. 내가 100% 이길 수 있다."'''[* [[히카르도 아로나]]전의 판정을 문제삼기도 했다. ] •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 '''"[[브라질리언 주짓수/가드|가드]]가 없다."''' • [[브록 레스너]] '''"[[브라질리언 주짓수/가드|가드]]에서의 디펜스가 형편없다."''' • [[쉐인 카윈]] '''"[[황소]]처럼 힘은 세지만 종이 호랑이다."''' 순수 그래플링만을 놓고 본다면 아예 틀린 말도 아니지만[* 주짓수부심이라고 하기도 뭐한 게 [[마크 콜먼]]이 챔프가 되었을 당시에는 [[수족관]]에 [[상어]]를 풀어놨다고 말한 양반이다.] 종합과 그래플링은 엄연히 대회부터도 따로 있고 예나 지금이나 MMA도 그래플링만 가지고는 안된다.[* 호이스 그레이시도 타격, 유술, 레슬링 다 준비했었다. 크리스토프 라이닝거는 미국 국가대표 유도 상비군이었는데 유도 실력이 뛰어나서 호이스처럼 그라운드에서 클로즈드 가드를 하면서 그라운드에서 싸웠으나 타격과 레슬링 실력이 부족해서 켄 샴락에게 패배했다.] 어쨌든 이런 관계로 00년대의 MMA 팬들에게는 별로 이미지가 좋지 못하다. 물론 레전드로서 충분히 예우받고 있으나 미묘하게 [[꼰대]] 취급. [[반달레이 실바]]는 힉슨의 이런 독설을 두고 "환상 속에서 살고 있다"라는 말을 남겼다. 초창기 UFC를 휩쓸던 호이스 조차도 14년 뒤 [[맷 휴즈]]에게 일방적으로 맞는 신세니 [* 사실 초창기에도 호이스도 레슬러들에게는 고전했었다. 다만 레슬러가 조르기나 관절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끝에 가서 이기긴했다. 물론 무제한급에서 20~30kg가 넘는데도 이겼으니 대단한건 맞다.] 또한 [[반달레이 실바]]는 힉슨의 전적에 의구심을 보이며, 힉슨의 "요즘 파이터들은 수준이 낮다."는 말에 뒤에서 말만 하지말고 프라이드 챔피언 벨트를 걸테니 한번 붙어보자며 인터뷰에서 도전장을 던지기도 하였다. 다만 '주짓수는 게이들이나 하는 짓이다'라던 [[탱크 애봇]]이 "나는 힉슨만은 존경한다."라고 말하거나, [[파울로 필리오]]가 "그의 기술은 아직까지도 비교가 불가하다."라고 말하는 등 많은 선수들과 팬들로부터 경외의 대상이 되고 있다. 몸값이 비싸기로 유명한데 [[Pride]] 1에서 그를 부르려고 2억엔이 들었다라는 이야기가 있다. 젊은 시절에도 상당한 [[미남]]이었는데 50세가 넘은 지금의 사진을 보면 멋지게 늙었다는 말이 저절로 나온다. 일본의 창작물에 상당히 많이 등장하는데, 이유인즉 90~00년대에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들이 어린 시절 힉슨과 그레이시의 전설을 경험했던 세대였기 때문이다. [[그래플러 바키]] 시리즈나 [[수라의 문]] 등 많은 매체에서 힉슨과 그레이시 일족들을 모티브로 한 듯한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엘리오 그레이시의 [[아들]]로 [[UFC]] 공동설립자인 호리온의 동생이다. 호이스, 호일러와는 [[이복형제]] 사이. 호리온과 함께 실전 주짓수 단체를 표방하는 JJGF(Jiu Jitsu Global Federation)라는 단체를 설립했다. 2017년 호리온에게 [[https://www.youtube.com/watch?v=ZVEoA_tj8wA|레드벨트(9단)를 받았지만]], 본인은 아직 부족하다며 계속 검빨띠를 매고 있다. 이에 대해선 호리온과의 협회 주도권 다툼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2008년에 개봉한 영화 [[인크레더블 헐크]]에서 초반에 주인공 [[헐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브루스 배너]]를 훈련시키다가 주인공의 '''싸대기를 후려갈기는''' 역할로[* 브루스에게 화가 나서 그런게 아니라, 헐크로 변신하지 않으려면 브루스 자신이 분노를 억제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일부러 분노하게 만들고 곧바로 그걸 억제하는 호흡법을 가르쳐준다. ] 짤막하게 등장하신다. 일부 격투기 팬들은 이 영화를 관람하던 도중 힉슨 그레이시의 예상치 못한 출현으로 살짝 놀랐다는 후문이 있다. 그런데 엔딩 크레딧에서는 [[아이키도]] 인스트럭터라고 나온다.[* 힉슨은 주짓수 뿐만이 아니라 유도, 삼보, 레슬링 등 그래플링에 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