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요일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金}}}쇠 금, 성 김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金,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8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8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キン, コン{{{#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かね, (かな), {{{#c88 こがね}}}}}}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jī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9%87%91-order.gif]]|| || 金의 필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金은 ''''쇠 금'''' 또는 ''''성 김''''이라는 [[한자]]로, '쇠 금'으로 읽을 때는 모든 금속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쓰이며, '성 김'으로 읽을 때는 한국의 [[김씨]]를 뜻하거나 지명을 이를 때 쓴다. 그래서 훈음을 땅이름 김이라 쓰는 경우도 있다.[* ex) 김천시, 김해시 등] == 특징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쇠 || || {{{-1 '''음'''}}} ||금, 김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īn || || {{{-1 '''[[광동어]]'''}}} ||gam^^1^^ || || {{{-1 '''[[객가어]]'''}}} ||kîm || || {{{-1 '''민북어'''}}} ||géng || || {{{-1 '''민동어'''}}} ||gĭng || || {{{-1 '''[[민남어]]'''}}} ||kim || || {{{-1 '''[[오어]]'''}}} ||ji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キン, コン || || {{{-1 '''훈독'''}}} ||かね, (かな), {{{#c88 こがね}}} || ||<-3> || ||<-2> '''[[베트남어]]''' ||kim || [[유니코드]]에는 U+91D1에 배당되어 있으며, [[주음부호]]로는 ㄐㄧㄣ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C(金)로 입력한다. || [[파일:金(금문)1.svg|width=100]] || [[파일:金(금문)2.svg|width=100]] || [[파일:金(소전).svg|width=100]] || ||<-2> 금문 || 소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2064670|이 글]]에 의하면 [[도끼]], [[창(무기)|창]] 등 쇠로 된 도구, 무기를 만들 때 쓰는 거푸집 모양을 본뜬 상형자라고 한다. 글자의 기원에 이설이 많아 섣불리 단정하긴 어렵지만, 今(금)과 玉(옥)의 형성자로 깔끔한 설명이 가능하다. 다른 해석으로는 소리를 나타내는 今(이제 금)과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를 합친 형성자라는 견해도 존재한다. 王 안에 있는 점 2개는 원래 [[금문]]에서는 글자 왼쪽에 따로 떨어져 있었는데, [[소전]]체로 오면서 王 안쪽으로 이동했다. 현재는 금속으로서는 [[금]](Au)을 의미하지만, [[전국시대]] 전까지만 해도 이 글자는 동(銅), 즉 '''[[구리]](Cu)'''를 의미하는 한자였다. 고대인의 기술로도 녹이기 쉬웠고 광석도 눈에 잘 띄었기 때문에, 춘추시대 중국인들에게 '금'이란 곧 구리라는 의미로 통했다. 이후 전국시대에 접어들면서 구리 외에도 여러 금속을 제련하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구리를 포함한 금속 전반을 뜻하다가, 구리가 귀금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지면서 현재의 황금으로 의미가 전도되었고, 본래의 한자를 잃어버린 구리는 銅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사람의 [[성씨]]나 일부 지명[*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급 지명에 쓰인 사례는 [[김제시]], [[김천시]], [[김포시]], [[김해시]], [[김화군]] 5개가 전부이다.]으로 쓰일 때는 '김'으로 읽고, 나머지 경우에는 '금'으로 읽는다. 부수로 쓰이는 경우에는 주로 금속을 뜻하는 형성자를 만든다. 이른바 대륙의 주기율표에서도 금속 원소를 뜻하는 원소 기호 한자에는 죄다 金 자가 부수로 붙어 있다. 모양이 '[[全]]'(완전할 전)과 비슷하나 全은 入(들 입) 부수의 한자[* [[정체자]]와 달리 [[간화자]]와 [[신자체]]는 윗부분이 入 모양이 아니라 人 모양이다. 그 편이 더 쓰기도 편하고, 모양이 크게 다르지 않으니 변한 것 같다.]이며 金은 제부수 한자이다. 잘 보면 맨 위 ㅅ 모양의 끝부분이 약간 다르다.[* 金과 全의 모양이 비슷하긴 하지만 갑골문 시절 자형을 보면 판이하게 다르다. 金의 경우 갑골문 시절에도 자형이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全의 경우에는 확실히 다르다. 入 밑에 丅(下의 옛 형태)가 있고 양 옆으로 卯가 있는 형태였는데 이 형태가 全 밑에 두 손 모양이 있는 형태로 변하고 소전체로 와선 더욱 간략화되어 仝과 全 모양의 두 가지로 나타났다가 예서체에 와서 全 모양으로 정착된 것.] 또한 [[한글]]의 '숲' 글자와도 [[야민정음|비슷하다.]][* 해당 야민정음을 사용한 가장 유명한 용례가 바로 [[숲튽훈]].] [[2000년]]과 [[2012년]]에 [[일본]]에서 [[올해의 한자]]로 선정되었는데, 같은 한자가 두 번 선정된 것은 이 한자가 처음이다. 그리고 2016년과 2021년에도 선정되면서 처음으로 세 번, 네 번 선정된 한자가 되었다. [[시트콤]] [[오포졸]] 제52화에서 기생들이 세금고지서의 '金'자가 '쇠 금'자냐 '성 김'자냐를 놓고 다투는 내용이 나오기도 하였다. 이 경우는 '쇠 금'이라고 하여야 맞는데, 한 글자가 두 가지 음와 뜻을 가진 점을 노린 일종의 [[언어유희]]이다. [[남자셋 여자셋]]에서도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었다. 이 한자의 본음은 '금'이지만, 어째선지 컴퓨터에서 입력할 때엔 '금'이 아니라 '김'으로 입력한 후 변환해야 통합 한자가 나온다. 금으로 입력한 후 변환하면 호환 한자. 이게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안 간다면 [[완성형/중복 한자]] 문서에 설명된 것을 참고하면 된다. == 두 의미 == === '쇠 금'일 때 === * [[금|황금]](Gold) (예: 황금, [[백금]](白金), 금광(金鑛), 금괴(金塊), 금메달, 금반지, 금목걸이, 금두꺼비 등등) 이 경우 일본어에서는 대부분 음독한다(きん). * [[금속]], 쇠붙이 (예: [[금속]], [[합금]], [[오행]]에서의 금) * 돈 (예: 금전(金錢), 입금(入金), 출금(出金), 예금(預金)) 이 경우 일본어에서는 훈독을 하며, 앞에 접두사 お를 붙여 お金(오카네)라고 한다. === '성 김'일 때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0,689,959명, 인구 순위 1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김해(金海), 경주(慶州), 광산(光山), 김녕(金寧)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김(성씨)]] 문서 참조. [[대한민국]]에서 '김'이라는 [[한국 한자음|한자음]]을 가지고 있는 [[한자]]는 이 글자뿐이다. 따라서, 해당 성을 가진 사람들은 모두 이 글자를 쓴다. 다만 일부 옥편이나 프로그램에서 '김'으로 읽는 한자가 수록된 경우가 있으나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 계몽사에서 나온 가정대옥편(家庭大玉篇)에는 '고개숙이고달아날 김'(𧾏)이 수록되어 있다. "(集韻) 丘甚切, 音昑"으로 [[반절]]은 '김'(丘甚切), 독음은 '금'(昑)인데 반절 쪽을 취한 것이다. 그런데 이 글자는 赺·趛(머리숙이고빨리달릴 금/음)의 이체자이며 다른 자전들도 '금'으로 수록했다. * 네이버 한자사전에서는 𨾰이 뜻은 미상, 독음은 '김'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독음은 [[강희자전]]에 [[반절]]을 巨林切이라 한 것에 근거한다. 그러나 한어속자총고(漢語俗字叢考)에 따르면 이 글자는 雂(도요새 금)의 이체자이다. * [[아래아 한글]]에는 김+F9 하면 琻과 鍂이 검색된다. * 鍂은 鈸이라는 금속제 타악기의 방언을 나타내는 중국한자로 병음이 pian이며 보통 한국 한자음 '편'에 대응하므로 '김'과는 무관하다. 鍂은 또한 銓(저울질할 전)의 이체자로도 쓰인다. * 琻 역시 중국한자로 뜻은 '진귀한 옥' 병음은 jin인데 이 역시 '금'에 해당된다. 琻은 한편 捦(붙잡을 금)의 이체자로도 쓰인다. [[http://www.korean.go.kr/nkview/nklife/2004_4/2004_0410.pdf|연구]]에 따르면 한자 전래 당시의 [[한국 한자음|한자음]]은 '검~금[kəm]'이며, 이후 중국에서 큰 음운변화가 일어났고 [[몽골 제국|몽골]]([[원나라|원]])의 [[고려]] 침략 시기 많은 고려인이 몽골식 이름을 짓는 등 몽고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변화된 발음 '김'이 유입된 것으로 본다. 이 시기가 [[여말선초]] 즈음이기에 [[이성계]]가 [[오행]]에 따라 쇠의 기운을 누르려 음을 바꿨다는 루머가 널리 펴져있다.[* 엽기 조선왕조실록(이성주 저) 등] 그 외에 金을 일본에서 '긴(キン)'이라고 읽기에 [[일제강점기]]에 일본어의 영향으로 발음이 변형되었다는 낭설도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인 '[[김(성씨)|김]]'을 표기할 때 쓰며, 김씨 성을 가진 사람은 대부분 金을 사용한다. 아주 희귀한 성씨로 钅씨가 있긴 하지만 이쪽도 金의 변형. 따라서 [[김유정역]], [[김량장역]][* 정확히는 시장 이름이지만, 그 시장을 '김량'이라는 사람이 세웠다고 알려져 있다.], [[김형직군]], [[김정숙군]], [[김형권군]], [[김책시]]와 같은 인명을 따온 지명도 다 金자를 쓴다. [[김제시]], [[김천시]], [[김포시]], [[김해시]], [[김화군]][* 김화의 경우 1950년대까지만 해도 금화와 김화가 함께 쓰였으며 지금도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는 금화로도 불린다.] 등, 인명과 상관없이 金이 들어가는 지방자치단체급 지역의 이름에도 쓰인다.[* 시/군 단위에서 金을 김으로 읽는 지명은 예시인 이 5개가 전부다. 물론 위의 예시처럼 인명으로 시/군명을 변경한 북한의 행정구역을 인정하면 더 늘어나긴 하지만.] 그러나 [[금정구]](金井區), [[금천군]](金川郡), [[금성(동음이의어)|금성군]](金城郡), [[금야군]](金野郡), [[금릉군]](金陵郡) 등은 원음인 '금'으로 쓰인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金(쇠 금) 부수의 제부수 [[한자]]이다. [[강희자전]]에서 167번째로 분류되며, 이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800여 자가 있다. 주로 변[* 글자의 왼쪽에 놓인 부수]의 형태로 사용되며(쇠금변, 釒), 金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금속]]에 해당하는 물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金 자체는 간체자에서 간략화되지 않았지만, 쇠금변은 钅로 간략화되었다. == 자형 == ||<:>[[파일:120px-金-oracle.svg.png]]||<:>[[파일:120px-金-bronze.svg.png]]||<:>[[파일:120px-金-bigseal.svg.png]]||<:>[[파일:120px-金-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 [[과금]]([[課]]金) * [[과징금]]([[課]][[懲]]金) * [[금강(동음이의어)|금강]](金[[剛]]) * [[금고]](金[[庫]]) * [[금리]](金[[利]]) * [[금문]](金[[文]]) * [[금박]](金[[箔]]) * [[금색]](金[[色]]) * [[금속]](金[[屬]]) * [[비금속]]([[非]]金[[屬]]) * [[준금속]]([[準]]金[[屬]]) * 금싸라기(金-) * [[금액]](金[[額]]) * [[금요일]](金[[曜]][[日]]) * [[금융]](金[[融]]) * [[금은]](金[[銀]]) * [[금전]](金[[錢]]) * 금전적(金[[錢]][[的]]) * [[기금]]([[基]]金) * [[기부금]]([[寄]][[附]]金) * [[대금]]([[大]]金/[[貸]]金/[[代]]金) * [[도금]]([[鍍]]金) * [[등록금]]([[登]][[錄]]金) * [[모금 #s- 2]]([[募]]金) * [[배금주의]]([[拜]]金[[主]][[義]]) * [[벌금]]([[罰]]金) * [[재산비례벌금제]]([[財]][[産]][[比]][[例]][[罰]]金[[制]]) * 부의금([[賻]][[儀]]金) * [[비자금]]([[秘]][[資]]金) * [[성금]]([[誠]]金) * [[세금]]([[稅]]金) * [[송금]]([[送]]金) * 시금석([[試]]金[[石]]) * 야금([[冶]]金) * [[야금술]]([[冶]]金[[術]]) * [[연금]]([[年]]金[* 소득이 없거나 매우 적은 사람에게 해마다 주는 돈], 燃金[* [[연금술]]의 그 '연금'이다.]) * [[예금]]([[豫]]金) * [[요금]]([[料]]金) * [[임금]]([[任]]金) * [[입금]]([[入]]金) * [[자금]]([[資]]金) * 잔금([[殘]]金) * [[장학금]]([[奬]][[學]]金) * [[저금]]([[貯]]金) * [[적금]]([[積]]金) * [[출금]]([[出]]金) * [[포상금]]([[褒]][[償]]金) * [[헌금]]([[獻]]金) * [[현금]]([[現]]金) * [[황금]]([[黃]]金) * [[후원금]]([[後]][[援]]金) === [[고사성어]]/[[숙어]] === * 가서만금([[家]][[書]][[萬]]金) * 견금여석([[見]]金[[如]][[石]]) * [[금과옥조]](金[[科]][[玉]][[條]]) * [[금란지교]](金[[蘭]][[之]][[交]]) * [[금석뇌약]](金[[石]][[牢]][[約]]) * [[금자탑]](金[[字]][[塔]]) * [[금지옥엽]](金[[枝]][[玉]][[葉]]) * 단금지계교([[斷]]金[[之]][[契]][[交]]) * [[삼김시대]]([[三]]金[[時]][[代]]) * [[일확천금]]([[一]][[攫]][[千]]金) === [[인명]] === * [[스쿠이 킨타]]([[巣]][[久]][[井]] 金[[太]]) * [[윤석금]]([[尹]][[錫]]金) * [[잉읍금]]([[芿]][[邑]]金) * [[정금이]]([[鄭]]金[[伊]]) * [[카나가와 사야]](金[[川]] [[紗]][[耶]]) * [[카나사시 잇세이]](金[[指]] [[一]][[世]]) * [[카나자와 유우키]](金[[澤]] [[有]][[希]]) * 카네마루(金[[丸]]) * [[카네키 켄]](金[[木]] [[研]]) * 킨다이치(金[[田]][[一]]) * [[페이진자]]([[裴]]金[[佳]]) * [[하카리 킨지]]([[秤]] 金[[次]]) === [[지명#s-2]] === * [[금강산]](金[[剛]][[山]]) * 부산광역시 [[금정구]](金[[井]][[區]]) * 경기도 [[김포시]](金[[浦]][[市]]) * 전라북도 [[김제시]](金[[堤]][[市]]) *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 경상남도 [[김해시]](金[[海]][[市]]) * 강원도 [[김화군]](金[[化]][[郡]]) * 황해도 [[금천군]](金[[川]][[郡]]) * 전라북도 [[담양군]] [[금성면(담양)|금성면]](金[[城]][[面]])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의성)|금성면]](金[[城]][[面]])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하동)|금성면]](金[[星]][[面]]) * [[가나자와시]](金[[沢]][[市]]) *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서울)|금호동1~4가]] * [[금호역(서울)|금호역]](金[[湖]][[驛]]) * [[김포공항역]](金[[浦]][[空]][[港]][[驛]]) * [[신금호역]]([[新]]金[[湖]][[驛]]) * [[콘피라마에역]](金[[比]][[羅]][[前]][[駅]]) * [[금화터널]](金[[化]]터널)[* 김화군과는 달리 여기는 금으로 읽는다.] * [[미금역]] * [[금촌역]] * [[금릉역]] * [[금곡역(경춘선)|금곡역]] * [[금곡역(부산)|금곡역]] * [[금련산역]] === [[창작물]] === * [[금병매]](金[[甁]][[梅]]) * 탄금([[呑]]金) * [[金色へのプレリュード]] * 龍ヶ嬢七々々の埋蔵金([[류가죠 나나나의 매장금]]) === 기타 === * [[김종면]](金[[鍾]][[麪]]) * [[김여사]](金[[女]][[史]]) * [[월화수목금금금]]([[月]][[火]][[水]][[木]]金金金) * [[황금시간대]]([[黃]]金[[時]][[間]][[帶]]) == 유의자 == * [[鐵]](쇠 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舍]](집 사) * [[全]](온전할 전) == 여담 == * 金을 두 개 합치면 [[鍂]](악기이름 편), 세 개 합치면 [[鑫]](기쁠 흠), 네 개 합치면 [[𨰻]](보/옥)이 된다. * 2000년, 2012년, 2016년, 2021년 [[올해의 한자]]로 선정되었다.[[https://www.kanken.or.jp/project/edification/years_kanji/2000.html|2000년]][[https://www.kanken.or.jp/project/edification/years_kanji/2012.html|2012년]][[https://www.kanken.or.jp/project/edification/years_kanji/2016.html|2016년]][[https://www.kanken.or.jp/project/edification/years_kanji/2021.html|2021년]] [[올해의 한자]] 문서의 [[올해의 한자#2000년|2000년]], [[올해의 한자#2012년|2012년]], [[올해의 한자#2016년|2016년]], [[올해의 한자#2021년|2021년]] 문단 참고. [[올해의 한자]]를 선정하기 시작한 1995년 이래 가장 많이 선정된 한자이다. [[분류:8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금]][[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