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5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다른 뜻1,other1=팝픈뮤직의 수록곡,rd1=説)]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說}}}말씀 설, 달랠 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言|{{{#000,#fff 言}}}]],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ツ, (ゼイ), {{{#c88 エ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と-く, {{{#c88 よろこ-ぶ}}}}}}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uì, shuō, {{{#c88 yuè}}}}}}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說은 ''''말씀 설'''' 또는 ''''달랠 세''''라는 [[한자]]로, '말씀' 또는 '달래다'를 뜻한다. 말씀 설 외에도 달랠 세, 기뻐할 열, 벗을 탈 등의 훈음이 있으나 '말씀 설'이 가장 흔히 쓰인다. 아예 '말씀 설' 외에 따로 한자가 만들어진 경우도 있다. [[홍콩]]에선 표준자형으로 説를 쓰고 있다 == 상세 == ||<-5><#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말씀 ||달래다 ||기쁘다, 기뻐하다 || || {{{-1 '''음'''}}} ||설 ||세 ||열 || ||<-5>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uō ||shuì ||{{{#c88 yuè}}} || || {{{-1 '''[[광동어]]'''}}} ||syut3 ||seoi3 || || || {{{-1 '''[[객가어]]'''}}} ||sot ||soi || || || {{{-1 '''[[민동어]]'''}}} ||siók ||- || || || {{{-1 '''[[민남어]]'''}}} ||soat[*文 [[문독]]] / seh[* [[백독]], 타이베이 등], soeh[* [[백독]], 가오슝 등] ||sòe || || || {{{-1 '''[[오어]]'''}}} ||seq(T4) ||soe(T2) || || ||<-5> || ||<|2> '''[[일본어]]''' || {{{-1 '''음독'''}}} ||セツ ||(ゼイ) ||{{{#c88 エツ}}} || || {{{-1 '''훈독'''}}} ||と-く ||- ||{{{#c88 よろこ-ぶ}}} || ||<-5> || ||<-2> '''[[베트남어]]''' ||<-2>thuyết || || [[유니코드]]에는 U+8AAA에 배당되었고, [[주음부호]]로는 ㄕㄨㄛ 또는 ㄕㄨㄟˋ 또는 ㄩㄝˋ[* 주음부호는 음을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음이 여러 개인 한자는 입력 방법도 그만큼 다양하다.]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口金口山(YRCRU)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兌]](바꿀 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언어별 발음 표에서 보듯이 이 한자는 다음자로, 일반적인 뜻으로 사용될 때는 [[사성|입성]]으로 읽고, '달래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사성|거성]]으로 읽는다. 사실상 遊說(유세)라는 단어를 제외하면 거성으로 읽을 일은 없다고 무방하다[* 단 대만에서는 說服를 shuìfú로 읽는다.]. 그밖에, 이 글자는 [[悅]](기쁠 열) 자와 [[脫]](벗을 탈)의 [[통가자]]로 쓰이기도 한다. [[논어]]의 첫 구절로 유명한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에서 說은 悅의 통가자로 쓰인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說 자는 [[완성형/중복 한자]]에 중복 배당되었다. {{{#!html 說}}}(세, U+F96F), {{{#!html 說}}}(열, U+F9A1)가 그 호환용 한자이다. 완성형 한자에 세 번 이상 중복 배당된 몇 안 되는 한자 중 하나다.[* 나머지는 [[龜]](땅 이름 구), [[寧]](편안할 녕), [[率]](거느릴 솔), [[樂]](풍류 악)]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점이 있다면 說은 두음법칙이 아닌 일반 음들로만 중복되었다는 것이다. == 용례 == === [[단어]] === ==== 설 ==== * [[가설]]([[假]]說) * [[결정적 시기 가설]]([[決]][[定]][[的]] [[時]][[期]] [[假]]說) * [[기대효용가설]]([[期]][[待]][[效]][[用]][[假]]說) * [[귀무가설]]([[歸]][[無]][[假]]說) * [[대립가설]]([[對]][[立]][[假]]說) * 각설([[却]]說) * 강설([[講]]說) * [[귀토지설]]([[龜]][[兔]][[之]]說) * 낭설([[浪]]說) * 논설([[論]]說) * [[담설]]([[談]]說) * [[대륙이동설]]([[大]][[陸]][[移]][[動]]說) * 망설([[妄]]說) * [[사설]]([[師]]說/[[社]]說/[[私]]說/[[辭]]說) * [[설교]](說[[敎]]) * [[설득]](說[[得]]) * [[설득력]](說[[得]][[力]]) * [[설명]](說[[明]]) * [[설명서]](說[[明]][[書]]) * [[설문]](說[[問]]) * [[설문해자]](說[[文]][[解]][[字]]) * [[설법]](說[[法]]) * 설복(說[[伏]]) * [[설원]](說[[苑]]) * 설토(說[[吐]]) * 설파(說[[破]]) * [[설화]](說[[話]]) * [[성선설]]([[性]][[善]]說) * [[성악설]]([[性]][[惡]]說) * [[성호사설]]([[星]][[湖]][[僿]]說) * [[소설]]([[小]]說) * [[단편소설]]([[短]][[篇]][[小]]說) * [[소설가]]([[小]]說[[家]]) * 소설책([[小]]說[[冊]]) * [[신소설]]([[新]][[小]]說) * [[영웅소설]]([[英]][[雄]][[小]]說) * [[장편소설]]([[長]][[篇]][[小]]說) * 속설([[俗]]說) * [[역설]]([[逆]]說/[[力]]說) * [[역옹패설]]([[櫟]][[翁]][[稗]]說) * [[연설]]([[演]]說) * 명연설([[名]][[演]]說) * 예설([[禮]]說) * [[오행설]]([[五]][[行]]說) * [[욕설]]([[辱]]說) * [[이설]]([[異]]說) * 일설([[一]]說) *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 * [[전설]]([[傳]]說) * [[정설]]([[定]]說) * [[지봉유설]]([[芝]][[峯]][[類]]說) * [[통설]]([[通]]說) * 학설([[學]]說) * [[해설]]([[解]]說) ==== 세 ==== * [[유세]]([[遊]]說) ==== 열 ==== * 부열([[傅]]說)[* 중국 은나라 때의 재상이다.] * 열감무정(說[[感]][[武]][[丁]])[* 부열이 들에서 역사([[役]][[事]])하며 무정의 꿈에 감동하여 재상이 되었다는 뜻으로, [[천자문]]의 구절이다.] *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고사성어]]/[[숙어]] === * [[감언이설]]([[甘]][[言]][[利]]說) * [[설왕설래]](說[[往]]說[[來]]) * [[어불성설]]([[語]][[不]][[成]]說) * [[횡설수설]]([[橫]]說[[竪]]說) * [[이사난열]]([[易]][[事]][[難]]說) === [[인명]] === 인명에서는 주로 '열'로 쓰이는 편이다. * 김은열([[金]][[殷]]說) - [[경순왕]]의 아들. * 박동열([[朴]][[東]]說) - [[조선]]의 [[문신(동음이의어)|문신]] * [[유동열]]([[柳]][[東]]說) * [[장열]]([[張]]說) * [[중항열]]([[仲]][[行]]說) === [[창작물]] === * [[방법서설]]([[方]][[法]][[敍]]說) * [[伝説のFLARE]] === 기타 === * [[설명충]](說[[明]][[蟲]]) * [[야설]]([[冶]]說) * [[자소설]]([[自]][[小]]說) * [[世界青年说]]: 중국의 예능 == 유의자 == * '''말씀''' * [[談]]/[[譚]](말씀 담) * [[辯]](말씀 변) * [[詞]]/[[辭]](말씀 사) * [[語]](말씀 어) * [[言]](말씀 언) * [[話]](말씀 화) * '''기뻐하다''' * [[喜]]/僖/[[憘]](기쁠 희) * [[怡]](기쁠 이) * [[欣]](기쁠 흔) * [[歡]](기쁠 환) * [[娛]](즐길 오) * [[樂]](즐길 락) * [[耽]](즐길 탐) * [[愉]](즐거울 유) * [[甘]](달 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𣇋]](저물 만) * [[哾]](맛볼 설) * [[䬽]](강신제 세, 제사이름 유/휴/서/뢰) * [[稅]](세금 세) * [[𨁑]](세금 세, 가시밟을 열) * [[帨]](수건 세) * [[裞]](수의 세) * [[挩]](씻을 세, 칠 탈) * [[祱]](작은제사 세/서, 문제 뢰) * [[涗]](잿물 세) * [[蛻]](허물 세/태) * [[悅]](기쁠 열) * [[𧇓]](범잠잘 열) * [[䂱]](갈아없앨 예) * [[銳]](날카로울 예) * [[𠮄]](짧은모양 철) * [[侻]](가벼울 탈, 알맞을 태) * [[梲]](막대기 탈, 동자기둥 절) * [[脫]]/[[𨉋]](벗을 탈) * [[鮵]](작은가물치 탈) * [[𩊭]](기울 태) * [[㟋]](깊고펀펀한모양 태) * [[駾]](말빨리달릴 태) * [[綐]](명주 태) * [[㙂]](바꿀/기쁠 태, 담이무너질 현) * [[𥹲]](싸라기 태) * [[娧]](아름다울 태) * [[𩎰]](자루 혜) * [[𪡜]] * [[𨹪]] * [[𥆟]] * [[𥡉]] * [[𦩃]] * [[𨌔]] * [[𫎙]]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𧭚]](강) * [[𡣛]] * [[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