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禮}}}예도 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示|{{{#000,#fff 示}}}]], 1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レイ, ラ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やま-う, のり}}}}}}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ǐ{{{#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禮는 ''''예도 례'''' 또는 ''''예절 례''''라는 [[한자]]로, 예도(禮道), [[예절]](禮節)을 뜻한다. == 상세 == 이 글자의 본자는 豊이다. [[豐]](풍성할 풍)과는 원래 다른 글자이며 설문해자에서도 豊(예도 례)와 豐(풍성할 풍)은 서로 구별된다. 단지 豐의 약자가 豊일 뿐이다. 갑골문 상으로는 그릇([[豆]])[* 사람에 따라 북([[壴]])으로 보기도 한다.] 위에 옥([[玉]]) 두 개가 올려져 있는 모습으로 본래 뜻은 제사에 쓰이는 기물이다. 후에 [[제단]]를 뜻하는 [[示]]가 붙어 禮가 되었다. [[유니코드]]는 79AE에 배당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결례([[缺]]禮) * [[경례]]([[敬]]禮) * [[거수경례]]([[擧]][[手]][[敬]]禮) * [[관례]]([[冠]]禮) * 길례([[吉]]禮) * [[다례]]([[茶]]禮) * 답례([[答]]禮) * [[동상례]]([[東]]廂禮) * [[무례]]([[無]]禮) * [[묵념|묵례]]([[默]]禮) * [[배례]]([[拜]]禮) * [[사례]]([[謝]]禮) * [[상례]]([[喪]]禮) * [[세례]]([[洗]]禮) * [[순례]]([[巡]]禮) * [[실례]]([[失]]禮) * [[예가]](禮[[家]]) * [[예기]](禮[[記]]) * [[예물]](禮[[物]]) * [[예배]](禮[[拜]]) * 예법(禮[[法]]) * 예복(禮[[服]]) * [[예부]](禮[[部]]) * [[예식]](禮[[式]]) * [[예식장]](禮[[式]][[場]]) * 예악(禮[[樂]]) * 예우(禮[[遇]]) * [[예의]](禮[[儀]]) * [[예절]](禮[[節]]) * 예찬(禮[[讚]]) * [[예포]](禮[[砲]]) * [[의례]]([[儀]]禮) * [[장례]]([[葬]]禮) * 장례비([[葬]]禮[[費]]), [[장례식]]([[葬]]禮[[式]]) * [[제례]]([[祭]]禮) * [[조례]]([[朝]]禮) * [[종례]]([[終]]禮) * [[주례#s-1|주례]]([[主]]禮) * [[차례]]([[茶]]禮) * [[할례]]([[割]]禮) * [[혼례]]([[婚]]禮) === [[고사성어]]/[[숙어]] === * 과공비례([[過]][[恭]][[非]]禮) * 백배사례([[百]][[拜]][[謝]]禮) * [[번문욕례]]([[繁]][[文]]縟禮) * 빈주지례([[賓]][[主]][[之]]禮) * 삼지지례([[三]][[枝]][[之]]禮) * 여불비례([[餘]][[不]][[備]]禮) * [[예의범절]](禮[[儀]][[凡]][[節]]) * 인의예지([[仁]][[義]]禮[[智]]) * 창가책례([[娼]][[家]][[責]]禮) * [[허례허식]]([[虛]]禮[[虛]][[飾]]) === [[인명]] === * [[강예봉]]([[姜]][[禮]]鳳) * [[고예진]]([[高]]禮[[鎭]]) * [[고판례]]([[高]][[判]]禮) * [[김예징]]([[金]]禮[[徵]]) * [[니레 히카리]]([[仁]]礼 [[光]]) * [[레이 마코토]](礼 [[真]][[琴]]) * [[마메즈쿠 라이]]([[豆]][[銑]] 礼) * [[산카 레아]]([[散]][[華]] 礼[[弥]]) * [[억례복류]]([[憶]]禮[[福]][[留]]) * [[오례사벌]]([[汚]]禮[[斯]][[伐]]) * [[와카쓰키 레이지로]]([[若]][[槻]] 禮[[次]][[郞]]) * [[왕사례]]([[王]][[思]]禮) * [[이레이 에리]]([[伊]]礼 えり) * [[이예림]]([[李]]禮[[琳]]) * [[예지(1994)|이예지]]([[李]]禮[[智]]) * [[조지례]]([[趙]][[知]]禮) * [[천마 모레이]]([[天]][[魔]] [[母]]禮) * [[코토미네 키레이]]([[言]][[峰]] [[綺]]礼) * [[타카하시 레이]]([[高]][[橋]] 礼) * [[테이레이다 마이]]([[丁]]礼[[田]] [[舞]]) * [[예지(ITZY)|황예지]]([[黃]]禮[[志]]) * 히에다노 아레([[稗]][[田]] [[阿]]礼) * [[대부 례|예]](禮) === [[지명#s-2]] ===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進]]禮[[面]]) * [[진례역]]([[進]]禮[[驛]]) *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嘉]]禮[[面]]) *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知]]禮[[面]])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禮[[安]][[面]]) * [[난리스루역]]([[南]]礼[[士]][[路]][[站]]) * [[라이하이역]](礼[[拝]][[駅]]) * [[예성강]](禮[[成]][[江]]) * [[위례]]([[慰]]禮) * [[위례동]]([[慰]]禮[[洞]]) * [[위례성]]([[慰]]禮[[城]]) * [[위례신도시]]([[慰]]禮[[新]][[都]][[市]]) * [[남위례역]]([[南]][[慰]]禮[[驛]]) * [[전라남도]] [[구례군]]([[求]]禮[[郡]]) * [[구례구역]]([[求]]禮[[口]][[驛]]) * [[충청남도]] [[예산군]](禮[[山]][[郡]]) * [[신례원역]]([[新]]禮[[院]][[驛]]) * [[예산역]](禮[[山]][[驛]]) * [[충청남도]] [[서산시]] [[예천동]](禮[[川]][[洞]]) === [[창작물]] === * [[가례혹문]]([[家]]禮[[或]][[問]]) * 의례상복편주소의([[儀]]禮[[喪]][[服]][[篇]][[注]][[疏]][[義]]) * 향례삼선([[鄕]]禮[[三]][[選]]) * [[향례합편]]([[鄕]]禮[[合]][[編]]) * [[礼賛歌]] * [[一礼して、キス]]([[인사하고, 키스]]) === 기타 === * [[가례증해]]([[家]]禮[[增]][[解]]) * 나례가([[儺]]禮[[歌]]) * [[성지순례]]([[聖]][[地]][[巡]]禮) * [[숭례문]]([[崇]]禮[[門]]) * [[예기]](禮[[記]]) * [[예조]](禮[[曹]]) * [[위례성]]([[慰]]禮[[城]]) *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주례#s-3|주례]]([[周]]禮) * [[奇幻加冕礼]] === [[중국어]] === * 礼 [lǐ] * 의식 * 예) 婚礼 [hūnlĭ]: 혼례 * 예2) 丧礼 [sānglĭ]: 상례 * 예의 * 예) 敬礼 [jìnglĭ]: 경례 * 선물 * 예) 寿礼 [shòulĭ]: 생일선물 === [[베트남어]] === [[베트남어]]에서는 이 글자를 어원으로 하는 단어가 2개 존재한다. 하나는 lạy로, [[한나라]] 시대에 들어왔으며 '엎드려 절하다'를 뜻한다. 나머지 하나는 [[당나라]] 무렵에 들여온 lễ로, '예식'을 뜻한다. 옛날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구체적인 유교 예법보다는 가장 중요한 [[인사]]법 위주로 중국의 禮가 전례되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 상대자 == * [[䢱]](무례하고 방자할 독) * [[肆]](방자할 사) * [[恣]](방자할 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鱧]](가물치 례) * [[醴]](단술 례) * [[澧]](물이름 례) * [[艶]](고울 염) * [[䌡]](동일 체) * [[體]](몸 체) * [[䪆]](연할 체) * [[札]](편지 찰)[* [[신자체]]이자 [[간체자]]인 礼와 비슷하다.] [[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