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 U+FFFD, REPLACEMENT CHARACTER [[문자 깨짐|텍스트의 인코딩과 디코딩이 잘못됐을 때 생기는 것.]] [[Windows]], [[macOS]],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에선 생김새는 [[마름모]](◆)에 [[물음표]](?)가 들어간 모습이다. 글꼴이나 운영체제에 따라, 대표적으로 [[iOS]], [[Linux|리눅스]], [[닌텐도 스위치]]에서는 마름모 대신 배경이 흰 사각형(□) 모양이 대신 표시되기도 한다. 또는 이 흰 사각형 안에 [[가위표]] (X)가 들어가 있기도 한다. [[나무위키]]에서도 네트워크 연결이 안 될때 □ 안에 (X)가 들어가며 문서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검색하기 등의 UI에서 이렇게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Windows XP]] 등 옛 [[운영체제]]에선 물음표 없이 그냥 사각형만 등장한다. [[파이어폭스(웹 브라우저)|모질라 파이어폭스]]에서는 이 글자 자체([[유니코드|U+]]FFFD)를 제외한 깨진 문자들을 회색 사각형 안에 회색 글씨로 16진수의 유니코드의 번호를 표시하는 식으로 표현한다. == 발생 원인 == 문서를 [[UTF-8]]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뭔가 꼬여서 문서가 온전하게 저장되지 못하면 이렇게 된다. 문서를 UTF-8로 저장할 때, UTF-8에서 유효하지 않은 바이트나 byte sequence는 이 �로 대체된다. 따라서 이 문자는 정상적인 경우에는 절대 출력되지 않는다. 쉽게 말해 '''오류 문자'''. == 기타 == 제대로 저장되지 못한 UTF-8 문서를 EUC-KR나 EUC-CN으로 읽으면 [[占쏙옙]], [[锟斤拷]] 등이 출력된다. 유니코드에서만 사용되는 인코딩이기 때문에 [[EUC-KR]](완성형)이나 EUC-CN(간체자), [[Shift_JIS]](일본어) 등의 [[MBCS]] 인코딩이나, Windows-1252(서유럽어) 등의 [[ANSI]] 인코딩에서는 이 문자를 표시하거나 저장할 수 없으며, 따라서 물음표(?) 내지는 언더바(_)로 바뀌어서 표시되거나 저장된다. 단순히 폰트가 없어서 발생하는 [[tofu]]와는 다르다. tofu는 데이터가 깨지지 않고 온전히 보존되어 있어 환경만 바뀌면(글꼴 설치, 다른 컴퓨터 사용 등) 정상으로 돌아온다. === [[나무위키]]에서 === 지원하지 않는 [[이모지]]를 입력하면 이 문서로 이동된다. == 관련 문서 == * [[문자 깨짐]] * [[占쏙옙]] * [[锟斤拷]] [[분류:특수 문자]][[분류: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