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王}}}임금 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玉|{{{#000,#fff 玉}}}]],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オ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きみ}}}}}}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wáng, {{{#c88 wàng}}}}}}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王은 ''''임금 왕''''이라는 [[한자]]로, '임금', '[[왕]](王)'을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2>임금 || || {{{-1 '''음'''}}} ||<-2>왕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wáng ||wàng || || {{{-1 '''[[광동어]]'''}}} ||wong^^4^^ ||wong^^6^^ || || {{{-1 '''[[객가어]]'''}}} ||vòng ||vong || || {{{-1 '''[[민북어]]'''}}} ||uâng ||uāng || || {{{-1 '''[[민동어]]'''}}} ||uòng ||uông || || {{{-1 '''[[민남어]]'''}}} ||ông ||ōng || || {{{-1 '''[[오어]]'''}}} ||hhuaan (T3) ||hhuaan (T3) || ||<-4> || ||<|2> '''[[일본어]]''' || {{{-1 '''음독'''}}} ||<-2>オウ || || {{{-1 '''훈독'''}}} ||<-2>{{{#c88 きみ}}} || ||<-4> || ||<-2> '''[[베트남어]]''' ||vương ||vượng || [[유니코드]] 상에서는 U+738B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에서는 一土(MG)로 입력한다. [[갑골문]]에서는 주로 세 가지 자형이 관찰되는데, 1. 현재의 王 자 형태 2. 현재의 大 자 형태 밑에 一 자가 붙어 있는 형태 3. 2의 형태 위에 一 자가 또 붙어 있는 형태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주로 [[도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라고 해석한다. 고대 사회에서는 최고형벌이 사형인만큼, 사형에 사용되는 도끼가 권력의 집행을 의미하므로 최고 권력인 왕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갑골문이 발견되지 않았던 고대에는 주로 [[三]](석 삼) 자를 중간의 세로 획이 꿰뚫고 있는 모양을 바탕으로 해석을 내놓았다. 예를 들어 한나라 때의 관료 동중서(董仲舒)는 "옛날에 글자를 만들었던 사람은 획 세 개를 긋고 가운데를 이어 王이라고 했다. 세 획은 각각 하늘, 땅, 사람을 말한다. 즉 참선하여 이 세 가지를 두루 꿰뚫는 사람을 왕이라고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설문해자]]에도 이 설이 수록되어 있다. [[임금]]을 뜻하는 글자로, [[주나라]] 때부터 [[중국]]에서 국가 최고 통치자의 호칭이었으나,[* 일례로, [[춘추#s-4]]는 "元年春王正月"(元年 봄 周王 정월이다)라는 구절로 시작한다.] 진시황이 [[황제]]라는 제도를 도입하자 중원에서는 [[제후]]를 뜻하는 말이 되었고, 그 이후 황제국보다 한 등급 낮은 제후국의 최고 통치자가 갖는 명칭이 되었다. 이외에도 크다, 뛰어나다고 할 때 왕○○하다-, 왕○○ 등의 표현을 쓰곤 하는데 이건 현대에 와서 생긴 속어가 아니고 원래 이 한자가 옛날부터 가지고 있던 뜻 중 하나였다. 부수는 구슬 옥([[玉]])부. 본래 [[설문해자]]에서는 王부가 별도로 존재했는데 [[강희자전]]에서 부수 체계를 고치면서 王부를 해체, 王부에 속해 있던 [[閏]](윤달 윤)은 [[門]](문 문)부에, [[皇]](임금 황)은 [[白]](흰 백)부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王은 玉이 부수로 쓰일 때는 王으로 변형된다는 점 때문에 玉부에 편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 글자 [[한문]]에서는 다음자로, 명사로서 '왕'의 뜻으로 쓰일 때는 [[사성|평성]], 동사로서 '왕이 되다', '다스리다' 등의 뜻으로 쓰일 때는 [[사성|거성]]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왕]](王)''' * [[국왕]]([[國]]王) * 군왕([[君]]王) * 근왕([[勤]]王) * [[대왕]]([[大]]王) * [[명왕성]]([[冥]]王[[星]]) * 번왕([[藩]]王) * [[법왕]]([[法]]王) * [[선왕]]([[先]]王) * [[성왕]]([[聖]]王) * [[시왕]]([[十]]王) * 시왕청([[十]]王[[廳]]) * [[여왕]]([[女]]王) * 왕가(王[[家]]/王[[駕]]) * [[왕국]](王[[國]]) * [[왕궁]](王[[宮]]) * [[왕권]](王[[權]]) * [[왕기]](王[[氣]]) * [[왕도]](王[[道]]) * [[왕도]](王[[都]]) * [[왕릉]](王[[陵]]) * [[왕명]](王[[命]]) * [[왕모]](王[[母]]) * 왕백(王[[白]]) * [[왕비]](王[[妃]]) * [[왕성]](王[[城]]) * [[왕세자]](王[[世]][[子]]) * [[왕실]](王[[室]]) * [[왕위]](王[[位]]) * [[왕자]](王[[子]]) * 왕저(王[[鴡]]) * [[왕조]](王[[朝]])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왕족]](王[[族]]) * [[왕후]](王[[侯]]) * [[왕창(고려)|왕창]](王[[昌]]) * [[용왕]]([[龍]]王) * [[인왕경]]([[仁]]王[[經]]) * [[제왕]]([[帝]]王) * [[제왕절개]]([[帝]]王[[切]][[開]]) * [[천왕성]]([[天]]王[[星]]) * [[해왕성]]([[海]]王[[星]]) === [[고사성어]]/[[숙어]] === * 왕고좌우이언타(王[[顧]][[左]][[右]][[而]][[言]][[他]]) * 왕공거경(王[[公]][[巨]][[卿]]) * 왕공대인(王[[公]][[大]][[人]]) * 왕자무외(王[[者]][[無]][[外]]) * 왕자무친(王[[者]][[無]][[親]]) * 왕자승세(王[[者]][[乘]][[勢]]) * 왕자승시(王[[者]][[乘]][[時]]) * 왕자지민(王[[者]][[之]][[民]]) * 왕정복고(王[[政]][[復]][[古]]) * [[왕좌지재]](王[[佐]][[之]][[才]]/王[[佐]][[之]][[材]])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 '''[[왕씨]]인 인물들 전부''' * [[니마이야 오에츠]]([[二]][[枚]][[屋]] 王[[悦]]) * [[단군왕검]]([[檀]][[君]]王[[儉]]) * [[미야코노죠 오도]]([[都]][[城]] 王[[土]]) * [[시노지 린도]]([[汐]]王[[寺]] [[竜]][[胆]]) * [[시노지 마츠리카]]([[汐]]王[[寺]] [[茉]][[莉]][[花]]) * [[오도 유히]](王[[道]] [[遊]][[飛]]) * [[오도로키 호우스케]](王[[泥]][[喜]] [[法]][[介]]) * [[오마 코키치]](王[[馬]] [[小]][[吉]]) - [[뉴 단간론파 V3 -모두의 살인 신학기-]]의 등장인물 * [[왕오춘]](王[[獒]][[春]]) * 왕발(王[[勃]]) * 왕지환(王[[之]][[渙]]) * [[왕위푸]](王[[玉]][[普]]) * [[왕샤오훙]](王[[小]][[洪]]) * [[자오우 타이시]]([[蔵]]王 [[大]][[志]]) * [[쥬오인 카케루]]([[十]]王[[院]] カケル) * [[토키타 오우마]]([[十]][[鬼]][[蛇]] 王[[馬]]) === [[지명#s-2]] === * [[문무대왕면]]([[文]][[武]][[大]]王[[面]]) * [[왕숙천단층]](王[[宿]][[川]][[斷]][[層]]) * [[인왕산]]([[仁]]王[[山]]) [[旺]](왕성할 왕)을 써서 '仁旺山'으로 쓰기도 한다. * [[의왕시]]([[義]]王[[市]]) * [[천왕봉]]([[天]]王[[峰]]) === [[창작물]] === * [[제왕운기]]([[帝]]王[[韻]][[紀]]) * [[第六天魔王]] * [[龍王の霊廟(Mausoleum Of The Primal Dragon)]]([[용왕의 영묘]]) === 기타 === * [[왕고]](王[[古]]) == 유의자 == * [[君]](임금 군) * [[辟]](임금 벽) * [[帝]](임금 제) * [[主]](임금 주) * [[皇]](임금 황) == 상대자 == * [[臣]](신하 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田]](밭 전) * [[五]](다섯 오) * [[玉]](구슬 옥) * [[壬]](북방 임) * [[𡈼]](빼어날 정) * [[主]](임금/주인 주) == 여담 == * [[식스팩]]의 모양과도 닮아 배에 '왕' 자가 있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 2021년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한 [[윤석열]]이 [[윤석열 토론회 손바닥 王자 논란|손바닥에 王자가 적힌 채로 TV 토론회에 참가했다가 구설에 올랐다.]] 윤석열은 지지자 중 한 명이 손바닥에 적어 준 것이며 의미는 잘 모르겠다고 해명하였으며, [[홍준표]] 등 당내 경선 경쟁자들은 주술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비난하였다. [[분류:8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